[GN#323] AI 제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4D 프레임워크

2025-09-08 ~ 2025-09-14 사이의 주요 뉴스들

애플이 아이폰 17 시리즈를 발표했지만, AI 전략이 보이지 않았다는 평가가 많으며 “진짜로 애플의 위기인가?” 라는 질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하드웨어만으로는 차별화를 만들기 어려운 상황에서, 크게 내세웠던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마저 내년으로 연기되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을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으로 비쳐지고 있는데요. 기존 점유율과 충성도 덕분에 주가는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지만, AI 붐에서 전혀 수혜를 받지 못하는 것은 사실상 하락과 다름없죠. 잘나가던 애플조차 AI 제품 전략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다른 회사들이라고 크게 다를까요?

AI를 활용한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생산성은 올라가고, 이에 맞춰 다양한 AI 제품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실제로 돈을 내고 꾸준히 쓰는 AI 제품은 ChatGPT, Claude 정도에 불과한게 사실이에요. 기존 제품에 단순히 “AI Powered”라는 라벨만 붙여서는 팔리지 않고, SaaS와 달리 AI 제품은 사용자가 늘수록 비용도 함께 증가하는 구조라 전략 없이 확장하면 금방 도태될 수밖에 없습니다.

OpenAI의 Product Lead인 Miqdad Jaffer가 정리한 「AI 제품 전략 수립 방법」은 이런 현실 속에서 AI 제품이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는지를 프레임워크로 설명합니다. AI 제품은 SaaS와는 다른 고비용 구조를 가지며, 클론 제품이 순식간에 수백 개씩 등장하기 때문에 방어 가능한 해자를 구축하지 않으면 곧 시장에서 밀려나게 되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사용량이 증가해도 수익성을 유지할 방법, 모델 변경에도 흔들리지 않고 고객을 유지하는 전략, 환각과 프라이버시 문제 속에서도 사용자 신뢰를 구축하는 방법까지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글에서는 이를 위한 4D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 방향(Direction): 독점적 데이터, 유통, 신뢰 등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는 해자(Moat)를 구축하기
  • 차별화(Differentiation): 수많은 유사 제품 속에서 “왜 우리를 선택해야 하는가?”라는 답을 만들기
  • 설계(Design): 사용자가 늘어나도 지속 가능한 비용 구조를 균형 있게 설계하기
  • 배포(Deployment): 빠른 확장 속에서도 마진을 유지할 가격·인프라·팀 전략 수립하기

이 글에서는 가격 책정과 포지셔닝 방법, 성공과 실패 사례, 피해야 할 실수와 이를 피하는 방법, 창업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플레이북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으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기억하세요. AI 시장에서는 기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고, 전략이 곧 성패를 가르는 핵심입니다.


Feedback : 긱뉴스 위클리 어떻게 읽고 계신가요? 의견과 제안 부탁드려요

Show GN - 직접 만드신 오픈소스나, 재직중인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를 소개해주세요.


매주 월요일 아침, 지난 일주일간의 GeekNews 중 엄선한 뉴스들을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 AI 제품 전략 수립 방법

    엄청 긴 글이지만 꼭 읽어보세요. AI 시장에서는 단순히 기능 추가만이 아닌 경제성·방어력·신뢰를 모두 아우르는 전략적 설계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4D 프레임워크(방향, 차별화, 설계, 배포) 외에도 가격/포지셔닝(Pricing/Positioning) 의 2P도 강조합니다.

  • 잘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

    개발자의 커리어 성장에서 단순한 기술적 역량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기 쉽고, 더 큰 영향력을 위해서는 제품 사고, 프로젝트 실행, 협업 능력까지 네 가지 축을 균형 있게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약점을 찾고 빠르게 성장하려면 피드백겸손함이 필수이며, 실제 행동과 주도성(agency) 을 통해 스스로 기회를 만들어야 진정한 차별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한국 사람들이 특히 약한, 성과를 공개적으로 보여주고 공유하는 습관까지 포함해야 의미 있는 커리어 성장이 가능하며, 원하는 위치에 오르려면 그에 적합한 자격과 전략적 접근이 필수입니다.

  • 24년 된 게임큐브용 동물의 숲, 메모리 해킹으로 대화 시스템을 LLM으로 교체하다

    이런게 정말 재미난 해킹인 것 같아요. 2001년 게임큐브용 동물의 숲의 단조롭고 반복되는 대사를, 메모리 해킹외부 Python 스크립트를 활용해 게임 코드 수정 없이 클라우드 기반 LLM 대화 시스템으로 교체한 프로젝트입니다. 이제 동숲 주민들이 실시간 뉴스온라인 소문을 반영하고, 예측 불가한 AI 대화로 이어지면서 고전 게임에 새로운 인터랙션과 생명력을 부여합니다. 전체 개발 과정과 소스 코드는 GitHub에 공개 되어있습니다. 예전 도스 시절의 울티마 같은 게임을 이렇게 바꿔보면 정말 흥미로울 듯.

  • Claude Code 프레임워크 전쟁

    개발자 커뮤니티에서는 Claude를 단순 챗봇이 아닌 프레임워크로 활용하는 다양한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 매니저, 아키텍트, 개발자, 리뷰어 등 여러 역할을 AI가 수행하는 새로운 작업 방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AI가 정해진 규칙과 구조화된 역할 아래에서 인간 개발자와 협력함으로써, 반복적 업무를 줄이고 사양 정의나 설계 등 고부가가치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각 프레임워크들이 어떤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고 있는지 들여다 보면, 클로드 코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게되는 효과도 있겠네요.

  • Term.everything - 터미널에서 모든 GUI 앱 실행하기

    Linux CLI에서 모든 GUI 애플리케이션을 터미널 안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Wayland 기반 커스텀 컴포지터를 통해 터미널로 GUI 화면을 렌더링합니다. SSH 환경에서도 웹 브라우저, 파일 매니저, 게임 등 다양한 앱을 실행할 수 있어 서버 관리, 원격 개발에 유용하며, kitty·iTerm2 등 이미지 지원 터미널에서는 고해상도 출력도 구현합니다. Typescript(bun)와 C++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 GPU 임대는 말도 안되게 저렴해요

    최근 NVidia H200 NVL과 같은 140GB VRAM GPU를 시간당 단 2달러 선에 임대할 수 있어, 구매 대비 실사용 비용 효율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GPU 임대는 초기 자본 부담 없이 전기·유지보수·인프라 부대비용까지 포함된 총비용 관점에서 빠른 가용성비용 절감을 제공합니다. 실제 사용 사례와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보면, 클라우드 임대는 실험 및 프로토타이핑, 단기 프로젝트 수행에 특히 유리하며, 보안·프라이버시 요구가 높지 않다면 자동화·스토리지 관리 등 실무적 최적화 전략을 통해 최소 비용으로 유연하게 GPU 리소스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 opcode - Claude Code를 위한 강력한 GUI 앱 & 툴킷

    Tauri 기반 데스크톱 앱으로 Claude Code 세션 관리, 사용자 정의 에이전트 생성/운영, 사용량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UI로 제공하여 개발 생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도구입니다. 프로젝트 및 세션 브라우저, 분기형 타임라인/체크포인트, 내장 Claude.md 에디터 등 통합 워크플로우가 지원되며, 프로세스 격리 기반 보안 모델권한 제어로 안전한 운영 환경을 구현합니다.

  • 왜 언어 모델은 환각을 발생시킬까? by OpenAI

    언어 모델이 생성하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은 AI의 핵심 신뢰성 문제로, 잘못된 정보가 확신에 차게 제시될 때 발생합니다. 이런 현상의 중요한 원인은 모델 평가 및 훈련 방식이 ‘불확실성’을 인정하기보다는 추측을 높게 평가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구조에 있습니다. 단순히 정확성 점수만을 기준으로 삼으면, 실제 정보 제공 능력은 떨어질 수 있고, 이는 AI의 신뢰성 및 활용 확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앞으로는 불확실성 인식과 그에 대한 적절한 평가, 환각의 근본적 원인 규명이 AI 시스템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연구 축이 될 전망입니다.

  • AI 덕분에 세탁실에서 구글 경쟁 서비스를 운영하는 남자

    한 개발자가 세탁실에 설치한 개인 서버 한 대와 LLM(대형 언어 모델) 을 활용해, 구글에 준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대안 검색엔진을 구축하는 실험을 진행 중입니다. 전통적 색인에 LLM 기반 키워드 확장과 문맥 이해를 결합해, 단일 서버 환경에서도 2~40억 문서의 대규모 인덱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저렴한 중고 서버 부품과 저비용 SambaNova Llama 3 API를 적극 활용해 개발·운영 비용을 극적으로 절감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개인이 코드 자동화오픈 데이터의 힘을 빌려 검색엔진의 품질·정확성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니치한 검색 분야 진입을 꿈꾸는 개발자와 스타트업에 실질적인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Mediabunny - 순수 TypeScript 기반 미디어 처리 툴킷

    브라우저와 Node.js 환경에서 MP4, WebM, MP3 등 다양한 미디어 파일을 직접 읽고 변환할 수 있는 TypeScript 기반 오픈소스 툴킷입니다. 목표는 웹 기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FFmpeg 대체 도구가 되는 것으로 하드웨어 가속 인코딩/디코딩, 마이크로초 단위 정밀도, 스트리밍 I/O 등 고성능 미디어 처리가 가능하며, 트리 셰이킹을 통해 번들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MPL-2.0 라이선스로 상업·비상업 환경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5년 된 커널 드라이버를 Claude Code로 현대화하기

    25년간 방치됐던 ftape 커널 드라이버를 최신 리눅스 커널에서 동작하도록 Claude Code로 리팩토링하며, AI 코딩 에이전트가 구식 함수와 구조체를 자동 변환하고 개발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높이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AI와의 협업을 통해 수작업으로는 수주 걸릴 복잡한 드라이버 현대화 작업을 며칠 만에 완료하고, 실제 하드웨어 연동까지 성공함으로써 주니어 개발자와 협업하는 듯한 실험적 경험도메인 특화 키워드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AI 개발 에이전트의 활용이 신규 기술 온보딩과 복잡한 시스템 코딩의 접근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예상해 볼 수 있는 글입니다.

  • 4개의 Raspberry Pi 5에서 Qwen3 30B A3B로 초당 13개 토큰 달성

    4대의 Raspberry Pi 5분산 클러스터로 구성해 대규모 Qwen3 30B MoE 언어 모델을 실행하면서, 저가형 하드웨어에서도 초당 13개 토큰 생성이 가능한 AI 추론 환경을 구축한 사례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양자화(A3B Q40) 기반 모델과 분산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적은 비용과 자원으로 고성능 AI 모델 구동이 가능한지를 보여주며, 온프레미스나 엣지에서의 비용 효율적 연구·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git-quick-stats - Git 저장소의 다양한 통계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조회하는 도구

    Git 저장소커밋, 기여자 통계파일 변화 이력을 한 번에 집계할 수 있는 Bash 기반 CLI 도구로, 복잡한 git 로그 분석 작업을 간단한 명령이나 인터랙티브 UI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각종 통계는 요일, 시간대, 연도, 기여자, 타임존별로 세분화해 제공하며, 브랜치 트리 그래프파일 변경 기반 리뷰어 추천 등 실무에 유용한 시각화와 부가기능도 포함합니다. CSV/JSON 내보내기, 경로·기간 제한, 정렬 기준 선택 등 자동화와 고급 필터링을 직관적으로 지원하며, 설치와 사용이 간편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서버리스 공포 이야기

    최근 서버리스SaaS 환경에서 예상치 못한 대규모 요금 청구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비상식적인 과금 구조투명성 부족 문제가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들도 DoS 공격, 사용량 급증 등으로 인해 단 하루 만에 수만 달러에서 많게는 십만 달러를 초과하는 청구서를 받는 사례가 공개되었으며, 일부 플랫폼은 지출 한도를 설정했음에도 이를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시스템적 한계가 드러납니다. 서버리스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사소한 실수나 공격 하나로 막대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Andromeda - Rust로 구현된 JavaScript/TypeScript 런타임

    Rust 기반의 차세대 JavaScript/TypeScript 런타임인 Andromeda는 Nova 엔진과 Oxc 컴파일러를 활용해 빠른 실행 속도와 뛰어난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별도 설정 없이 TypeScri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GPU 가속 Canvas, Web Crypto, SQLite 등 다양한 포괄적 Web API와 통합 개발툴 체인, 내장 LSP까지 지원해 개발 생산성을 높입니다. 기존 Node.js, Deno 대비 더 낮은 메모리 사용량과 강력한 보안, 단일 파일 컴파일, 그래픽 처리 성능으로 웹앱, 데이터 시각화, 게임 등 범용 고성능 스크립트 및 서비스 구축에 적합합니다.

  • AI 시대에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을 다시 돌아봐야 할까?

    AI와 플랫폼 혁신이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를 크게 높였음에도, 프로젝트 실패율성과 부진은 여전합니다. 진짜 병목은 속도가 아니라, 검증과 팀 정렬, 사용자 중심 피드백인간적 가치의 부재임을 강조하며, XP(익스트림 프로그래밍)는 페어 프로그래밍·지속적 통합 등 의도적 제약을 통해 품질·학습·협업을 촉진하는 방법론으로 다시 되돌아보게 됩니다. AI 코드 자동화가 가속될수록 XP의 소통·신뢰·명확한 방향성 같은 원칙이 더욱 중요해지며, 본질적으로 소프트웨어는 여전히 사람을 위한 것임을 상기시킵니다. AI 시대의 진정한 지속적 혁신팀 성공을 위해선, 툴체인보다 팀 중심의 프로세스와 운영 리듬 재정렬이 핵심입니다.

  • [2025/09/01 ~ 07] 이번 주에 살펴볼 만한 AI/ML 논문 모음

    최근 AI/ML 분야에서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환각(hallucination) 을 이론적으로 완전히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근본적 한계가 수학적으로 제시되어, AI 시스템의 신뢰성과 설계 기준에 중요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고효율 사전학습 옵티마이저통신 효율 강화 기법(SparseLoCo) 을 활용한 분산 학습 등, LLM 훈련 성능 및 비용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의 혁신적인 협업 구조절차적 메모리 개선 기술이 제안되며 복잡한 AI 작업의 확장성과 적응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토큰 사용량 37.91%를 감소시킨 단 한줄의 프롬프트

    코드의 구조 개선(예: 전략·팩토리 패턴 도입, 파일 분리, 규칙 정리)을 한 줄 프롬프트로 적용한 후 동일 AI 기능 요청을 실행했을 때, 토큰 사용량이 최대 37.91%까지 대폭 절감된 실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코드 리팩터링이 단순 가독성 향상을 넘어 AI 프로그래밍 비용과 효율에도 실질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정량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 러그풀, 포크, 그리고 오픈소스 봉건주의

    오픈소스 생태계에서 대형 클라우드 업체단일 기업 주도 프로젝트가 권력을 행사하며, 이에 맞선 전략으로 러그풀(재라이선싱)포크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권력 이동의 사례로 Elasticsearch→OpenSearch, Terraform→OpenTofu, Redis→Valkey 등에서는 커뮤니티 재편외부 기여자 이동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중립 재단의 빠른 도입이 커뮤니티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데이터가 보여줍니다. 한편 CLA 채택기업 중심 지배구조는 러그풀 위험 신호로, 권력 불균형 및 기여자 권한 약화를 초래할 수 있어 거버넌스 중립성과 외부 기여 저변 확대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궁극적으로 포크의 가능성 자체가 기업 정책 결정에 억제력으로 작용하며, 프로젝트의 건강성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거버넌스와 다양한 기여자 기반 확보가 핵심입니다.

  • Postgres 커뮤니티에 이제 OrioleDB 특허가 자유롭게 공개됨

    Supabase가 OrioleDB 특허를 인수한 뒤 공개하여, Postgres 생태계 내 고성능 저장소 엔진의 오픈 소스 활용과 지적재산(IP) 보호를 동시에 강화하고 있습니다. OrioleDB는 드롭인 방식클라우드 최적화를 바탕으로 기존 Postgres 대비 최대 5배 이상의 처리 성능을 제공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비독점적 특허 라이선스가 함께 제공됩니다. 향후 Postgres 커뮤니티와의 협업을 통해 OrioleDB의 표준화와 메인라인 합류가 추진되고 있어 Postgres의 더 큰 성장이 기대됩니다.

  • Pico CSS – 시맨틱 HTML을 위한 미니멀 CSS 프레임워크

    Pico CSS시맨틱 HTML 태그에 직접 스타일을 적용하여 클래스 사용을 최소화하며, 외부 라이브러리나 JavaScript 없이 순수 CSS만으로 반응형 UI와 라이트/다크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130개 이상의 CSS 변수와 다양한 커스텀 테마, 컴포넌트를 통해 손쉽게 맞춤화할 수 있으며, 가볍고 간결한 코드로 프론트엔드 성능 최적화에 도움을 줍니다.

  • Claude, 이제 직접 파일을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음

    Claude가 이제 Excel, 문서, PDF, PowerPoint 파일을 대화만으로 직접 생성·편집할 수 있어, 단순 텍스트 응답을 넘어 실제 작업 산출물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재무 모델링, 프로젝트 관리 등 복잡한 업무를 수분 만에 자동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략과 목적만 제시하면 Claude가 기술적 구현을 담당하는 구조로, 아이디어 구상부터 실행까지의 간극을 크게 좁히는게 가능해 졌습니다. 단, 이 기능은 인터넷 접근 권한을 활용해 작동하므로, 민감한 데이터 보안과 사용 결과에 대한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macOS에서 로컬 LLM 실험하기

    macOS에서 로컬 인공지능 언어 모델(LLM) 을 직접 실행하면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술을 자유롭게 실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 도구로는 경량 오픈소스 기반의 llama.cpp와, 직관적인 UI와 다양한 모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LM Studio가 대표적이며, 모델 선택 시 메모리 용량, 런타임 호환성, 양자화 수준 등의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만, 답변 신뢰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정보 전달이나 요약 등 단순 자동화 업무에 적합하며, 다양한 소규모 모델을 테스트해 적합한 워크플로를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 Ripple - 우아한 TypeScript UI 프레임워크

    React, Svelte, Solid의 강점을 결합한 RippleJS/TS-우선 설계와 자체 .ripple 언어로 타입 안전·반응형 UI 컴포넌트를 구현하는 신규 프레임워크입니다. $ 접두로 관리하는 반응 변수세밀한(fine-grained) 렌더링 구조, 그리고 VS Code 익스텐션·** TypeScript 통합** 같은 현대적 DX를 지원하여 개발자 생산성과 코드 이해도를 높입니다. 아직 SSR 미지원·** 타입 미비** 등 알파 단계의 한계가 있으나, JS/TS-firstLLM 친화적 문법 실험을 통해 차세대 프런트엔드 아키텍처와 개발 경험의 미래를 엿볼 수 있습니다.

  • OpenAI, MCP 지원하는 ChatGPT 개발자 모드 공개

    ChatGPT의 Developer mode는 엔드투엔드 MCP 커넥터 자동화고급 도구 오케스트레이션을 원하는 개발자를 위해 풀 읽기/쓰기 권한을 제공하는 베타 기능입니다. 모든 액션은 명시적 도구 호출페이로드 승인 절차가 요구되며, 프롬프트 인젝션·데이터 파괴 위험을 피하기 위해 도구 별 권한 설정보안 관리가 중요합니다

  • Awesom-Nano-Banana-Images

    구글의 Nano-banana 이미지 생성 툴을 활용해 실제 커뮤니티에서 수집된 실용적 이미지 편집·변환 사례를 선별해 집약한 오픈소스 갤러리입니다. 다양한 프롬프트 설계와 입력 이미지 조합을 통해 캐릭터/제품 스타일 전환, 이미지 복원·합성, 데이터 시각화, 교육 등 복합적인 이미지 생성 및 편집 활용법을 한눈에 정리하고 있습니다. 나노 바나나가 정말 능력치가 뛰어나다는 걸 알게 해주는 페이지네요.

  • Jiratui – 쉘에서 Atlassian Jira와 상호작용하는 텍스트 기반 UI

    터미널에서 직접 Jira 이슈를 검색, 생성, 수정, 관리할 수 있는 CLI 기반 UI 툴킷인 Jiratui는, 복잡한 웹 인터페이스 없이도 JQL 편집, 작업 필터링, 댓글 및 연관 이슈 관리 등 Jira의 핵심 기능을 빠르게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에서 반복 업무를 줄이고 생산성 및 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효용이 높아, Jira를 터미널 환경에 긴밀히 연결하고자 하는 개발팀에 적합합니다.

  • 애드블로커가 감지되지 않습니다

    이 블로그는 광고 차단 기능이 감지되지 않을 때, 방문자에게 uBlock Origin 같은 신뢰할 수 있는 광고 차단기를 설치하도록 권장합니다. 메시지를 비침해적·선택적 방식으로 구현하는 방법도 소개하는데, 광고 차단기가 렌더링 요소나 네트워크 요청을 차단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사라지며, 사용자가 한 번 닫으면 쿠키로 기억되어 다시 나타나지 않습니다.

  • AI 파일럿의 95%가 실패하는 이유 — 그리고 당신이 피하는 법

    대다수 기업이 AI 도입에서 단기 ROI 달성에 집착해 조직 내 신뢰·협력 기반을 스스로 훼손하고 있어, 실제로 95%의 AI 파일럿 프로젝트가 실패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성과 압박·지연된 의사결정·혁신 슬랙 고갈 등 부작용이 누적되며, 장기적으로는 집단적 신뢰 붕괴인재 이탈, AI 활용의 본질적 효과 상실로 이어집니다. Donella Meadows의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해법은 분산 권한·재투자·적응성 확보를 통해 운영체계 자체를 혁신하는 것으로, 기업의 지속 가능한 AI 활용은 기술적 도입이 아니라, 전사적 운영철학과 신뢰 구조의 전환에 달려 있음을 보여줍니다.

  • LLM 트래픽은 오가닉 검색보다 전환율이 높을까?

    최근 54개 사이트의 6개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형 언어 모델(LLM) 기반 트래픽의 전환율은 오가닉 검색과 거의 차이가 없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우위가 없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전체 세션 내에서 LLM 트래픽 비중은 1% 미만으로 매우 작고, 전환 건수 역시 제한적이어서 오가닉 검색이 여전히 핵심적인 유입 채널임을 보여줍니다. 산업별·B2B/B2C 구분에서도 명확한 차이는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LLM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현 시점에서는 오가닉 검색이 여전히 핵심 채널임을 보여줍니다.


✓ 사내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GeekNews Bot을 추가해서 멤버들과 함께 새 글을 받아보세요
ㅤ→ Slack봇, 잔디봇, Teams봇, Discord봇, 구글 챗 봇, Swit 봇
긱뉴스는 RSS로도 구독 가능합니다
✓ 주위분들께 긱뉴스 위클리 - https://news.hada.io/weekly 뉴스레터를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