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기본으로끼는 프론트엔드에 비해 게임이야말로 모든 상태가 모든 상태를 건들이기에 그냥 상남자? 식으로 그냥 하는거라 생각 하고 있긴 한데, 반대로 응용앱에서 ECS를 쓴다는것은 패턴화된 상태관리를 각 개발자 혹은 자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것과 비슷할텐데, 이런부분은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네요

저도 이제는 제미나이를 더 많이 씁니다. 점점 더 격차가 생기는 경험이었어요.

흥미롭네요. minify된 js로도 어느정도 잘 인지하는군요. https://news.hada.io/topic?id=19552https://news.hada.io/topic?id=19540 에서 소개된 도구 등을 활용해 디렉토리 구조를 추가 맥락으로 제공해줘도 좋겠다 싶네요.

클린턴은 불륜을 저질렀고 오바마는 베이지색 재킷을 입었음을 기억해야 함
이 댓글의 의미를 모르겠어요

늦게나마 답변답니다. vim-lsp 정말 잘 쓰고 있어요 :D
Server 설정 관리는 coc.nvim이 더 좋았지만 ㅎㅎㅎ

요즘 llm이랑 코딩을 워낙 많이 하다보니 항상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고민인데, 흥미로운 실험 감사합니다.

해외에서 codebase syntax를 graph로 추출해서 쿼리했던 시도도 있었는데,
번들링이 좀 더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쉬운 방법일 것 같네요. (언어가 번들링을 지원한다면)
https://x.com/daniel_mac8/status/1908332949251948808

근데 요즘 gemini 성능이 너무 좋아서 o3랑 비교해보시면 더욱 흥미로울 것 같아요.

"작성자는 오랫동안 DeepMind의 팬이었으며,"

오.. 강점은 약점과 함께 존재한다는 것 공감합니다
그런데 아직 이걸 모르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발전하고자 하는 욕심이 너무 큰 나머지 불안장애에 공황까지 터졌습니다

삼각측량방식으로 위치를 판단함
거리를 알기위해 시간을 사용
시간을 알기위해 시간동기화가 필요
GPS 백업용으로 방송신호를 이용해 시간동기화 하겠다는 아이디어

상대적으로 긴 장파를 지원하기 위해 큰 안테나가 필요할거임
백업용으로는 사용할만할 듯?
근데 인터넷도 백업용으로 사용가능해서 효용이 있을지는? 백업에 백업용?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번들링 된 소스코드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이정도까지 추출할 수 있다니... SPA로 작성된 웹앱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 같습니다.

공감합니다. 건축은 2~3년짜리 프로젝트도 일주일 내외의 일정 추정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아직 소프트웨어는 갈 길이 멉니다.

저도 이 의견과 같았습니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현금흐름 자체에 많은 밸류를 주는 것 같아요.

어린 사람인가보네 원래 사람은 모든 관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자기 자신으로써 존재할 수 있어야 어른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음.

저도 gpt가 나은느낌..

감사합니다 ㅎㅎ
Fedora 하니까 옛날 추억이 떠오르네요

이래서 어디에 있든 간에 자기만의 제품이나 사업을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 하지 않나 싶네요.. 언제나 조직에서 해고당할 수 있다는 공포감을 가지고 살아야하는 ㅠㅠ

ㅋㅋ 진짜 주인의식 가지고 일하라지만 페이나 대우에 있어서는 드라이하게 남남일때가 되면 처음 겪을땐 저렇게 속상해할 만하죠

'AI 생성 예술을 지지하는 파시스트 사이트'는 X인 걸까요?

결국 회사의 부품신세라는게 너도알고 나도아는진실이지만

정작 회사에서는 주인인것처럼 일하라고 시키고 압박을 주는 모순이있죠..

그사이 어딘가에서 물흐르는것처럼 사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