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를 써보고 있는데 시니어 개발자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생산성이 증가한 만큼 신입, 주니어 개발자는 점점 취업이 어려워 질 것 같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디자이너, 기획, 백엔드 다양한 분야의 팀원과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크게 축소될 것 같지 않습니다. 잡스가 했던 말 중에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이런 말이 있는데,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저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번 파일럿을 뽑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크게 줄어들 것 같지는 않습니다. 파일럿을 더 많이 뽑게 될 수는 있겠네요.
반면 백엔드 개발자는 점점 코드 자동 생성과 AI에 의해서 줄어들 것 같습니다. 역시 완전히 사라질 것 같지는 않고 대신 줄어들 것 같습니다. 백엔드 개발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공식과도 같은 부분도 있고 자동화 될 여지도 많아서 이쪽은 좀 줄어들 것 같기는 합니다.
개발자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지만 부분적으로 일자리 감소가 발생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과 레거시를 전환하는 업무가 생기면서 당분간은 괜찮을 것 같습니다.
스펙으로는 gpt 4.5를 이기는 모델들이 없지 않지만... 단순 번역만 시켜봐도 둘의 문장구성 능력은 비슷하지조차 않습니다.(gpt압승)
이제는 벤치마크나 테스트셋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논의도 있어야 할 것 같아요.
LLM자체의 성능도 일반적 task에서 기대 이하라는 평도 심심치 않고 말이죠...
“Remember, kids, Clinton got a blowjob and Obama wore a beige jacket”
은 강한 풍자와 냉소를 담고 있습니다. 이 문장은 단순한 역사 상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치권의 이중잣대, 언론의 선택적 분노, 그리고 부패를 덮는 방식에 대한 비판입니다.
각 요소의 의미:
1. “Clinton got a blowjob”
→ 빌 클린턴 대통령은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스캔들(성적 행위)로 탄핵 위기에까지 갔습니다.
→ 언론과 정치권은 이 사건에 엄청난 관심과 분노를 쏟았습니다.
2. “Obama wore a beige jacket”
→ 앞서 설명했듯, 오바마가 베이지색 수트를 입은 것이 뉴스와 정치권에서 과도하게 비판받았던 사례입니다.
즉, 이 두 사건은 실제로는 상대적으로 사소한 논란이었음에도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 누군가 내부 정보를 이용해 1시간 만에 2.5M → 70M을 벌었다는 의혹이 있음에도
• 언론이나 정치권이 그만큼의 분노나 집중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풍자하는 겁니다.
그래서 의미대로 의역하자면:
“예전엔 대통령이 사소한 일만 해도 나라가 뒤집혔는데, 지금은 대놓고 부패 의혹이 보여도 다들 조용하네?”
ATSC 3.0 BPS vs. NTP 비교
기술 기반
• BPS: 방송 전파 기반 (ATSC 3.0 물리 계층 사용)
• NTP: 인터넷 기반 TCP/UDP 패킷
시간 정확도
• BPS: 수 마이크로초 (μs) 수준
• NTP: 수 밀리초 (ms) ~ 수십 밀리초
전달 경로
• BPS: 방송 송출 전파 (지상파 채널)
• NTP: 인터넷 (WAN/LAN)
지연/지터
• BPS: 거의 없음 (방송 동기된 전파)
• NTP: 변동 가능 (네트워크 품질 영향)
타이밍 소스
• BPS: GPS 등 고정밀 기준에서 방송국이 생성
• NTP: 서버마다 다름 (정확도 불균일)
동기화 대상
• BPS: 방송 수신기 (TV, 셋톱박스, 차량 등)
• NTP: 서버, 클라이언트, 일반 IT 장비
자체 위치 추정 기능
• BPS: 있음 (위치 + 시간 동기 가능, GNSS 대체 가능)
• NTP: 없음 (시간 동기만 가능)
오프라인 사용
• BPS: 가능 (방송 수신만 되면 작동)
• NTP: 불가능 (인터넷 연결 필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기본으로끼는 프론트엔드에 비해 게임이야말로 모든 상태가 모든 상태를 건들이기에 그냥 상남자? 식으로 그냥 하는거라 생각 하고 있긴 한데, 반대로 응용앱에서 ECS를 쓴다는것은 패턴화된 상태관리를 각 개발자 혹은 자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것과 비슷할텐데, 이런부분은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네요
댓글이 흥미롭네요
공유 감사합니다.
대박꿀팁... 감사합니다
어느정도 제 생각과 비슷하네요.
GPT를 써보고 있는데 시니어 개발자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생산성이 증가한 만큼 신입, 주니어 개발자는 점점 취업이 어려워 질 것 같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디자이너, 기획, 백엔드 다양한 분야의 팀원과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크게 축소될 것 같지 않습니다. 잡스가 했던 말 중에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이런 말이 있는데,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저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번 파일럿을 뽑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크게 줄어들 것 같지는 않습니다. 파일럿을 더 많이 뽑게 될 수는 있겠네요.
반면 백엔드 개발자는 점점 코드 자동 생성과 AI에 의해서 줄어들 것 같습니다. 역시 완전히 사라질 것 같지는 않고 대신 줄어들 것 같습니다. 백엔드 개발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공식과도 같은 부분도 있고 자동화 될 여지도 많아서 이쪽은 좀 줄어들 것 같기는 합니다.
개발자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지만 부분적으로 일자리 감소가 발생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과 레거시를 전환하는 업무가 생기면서 당분간은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일부 정류장에 UHD 재난정보 수신기가 설치된걸 봤는데 이것도 ATSC 3.0방식이면 BPS를 재대로 활용할수 있으려면 낮은 신호 감도에서도 수신이 가능해야 겠네요
📝 The Post-Developer Era – 상세 요약(by ChatGPT)
글의 배경과 목적
기업들의 AI 도입 현황
Devin: 개발자 대체 AI의 실제 결과
바이브 코딩(vibe coding)
현재의 개발자 취업 시장
프론트엔드는 더 위험할까?
LLM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기
신입 개발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기술 발전의 현재 상태
우려되는 점
📌 결론 요약
정말 배울 게 많은 글이네요. 아침에 2시간씩 활용하여 글도 쓰고 여러 프로젝트도 완성하다니...!
plex 와 jellyfin 을 사용하고 있어서 코드와 문서를 확인했는데, bun sqlite 사용했다면 성능이 좀 좋아 졌을 거 같고, jellyfin 문서는 아직 준비되지 않아 좀 아쉽습니다
이런 프로젝트가 있다는게 감사합니다
국내도 지방 도시에서는 커버되지 않는 곳들이 꽤 있는데, 다른 나라의 외곽도시는 더 심하지 않을까요?
GPS랑 커버링되는 영역이 다를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번들링한 파일을 토대로 llm이 retrival해서 원래 코드를 가져오는 것 아닌가요?
저도 비슷한 생각
이걸 보는 순간, 멋져보인다고 생각한 나는 아무래도 구시대 감각을 가진 사람일까?
미국식 해고는 볼때마다 야만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같이 시간을 보낸 사람들인데 내보낼땐 내보내더라도 "정리하고 나가세요" 라는 말을 못하나
모든 사람이 한순간에 접근불가될걸 생각하고 stateless하게 업무를 구성해야하는건가...?
굉장히 쿨한 반응들이 있어서 놀랍네요...
번들링한 파일을 프롬프트에 넣거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해서 LLM에 쿼리하는 것이 RAG라고 할 수 있나요? 어느 부분이 Retrival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스펙으로는 gpt 4.5를 이기는 모델들이 없지 않지만... 단순 번역만 시켜봐도 둘의 문장구성 능력은 비슷하지조차 않습니다.(gpt압승)
이제는 벤치마크나 테스트셋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논의도 있어야 할 것 같아요.
LLM자체의 성능도 일반적 task에서 기대 이하라는 평도 심심치 않고 말이죠...
배울 게 많은 글입니다. 결국 SaaS도 고객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하는 제품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이런거 해석엔 역시 ChatGPT네요 글의 내용과 댓글을 주고 물어봤습니다.
이 댓글:
“Remember, kids, Clinton got a blowjob and Obama wore a beige jacket”
은 강한 풍자와 냉소를 담고 있습니다. 이 문장은 단순한 역사 상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치권의 이중잣대, 언론의 선택적 분노, 그리고 부패를 덮는 방식에 대한 비판입니다.
각 요소의 의미:
1. “Clinton got a blowjob”
→ 빌 클린턴 대통령은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스캔들(성적 행위)로 탄핵 위기에까지 갔습니다.
→ 언론과 정치권은 이 사건에 엄청난 관심과 분노를 쏟았습니다.
2. “Obama wore a beige jacket”
→ 앞서 설명했듯, 오바마가 베이지색 수트를 입은 것이 뉴스와 정치권에서 과도하게 비판받았던 사례입니다.
즉, 이 두 사건은 실제로는 상대적으로 사소한 논란이었음에도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 누군가 내부 정보를 이용해 1시간 만에 2.5M → 70M을 벌었다는 의혹이 있음에도
• 언론이나 정치권이 그만큼의 분노나 집중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풍자하는 겁니다.
그래서 의미대로 의역하자면:
왜 NTP 사용안할까 싶었는데 방송에서는 마이크로초 수준의 동기화가 필요하다네요.
ATSC 3.0 BPS vs. NTP 비교
기술 기반
• BPS: 방송 전파 기반 (ATSC 3.0 물리 계층 사용)
• NTP: 인터넷 기반 TCP/UDP 패킷
시간 정확도
• BPS: 수 마이크로초 (μs) 수준
• NTP: 수 밀리초 (ms) ~ 수십 밀리초
전달 경로
• BPS: 방송 송출 전파 (지상파 채널)
• NTP: 인터넷 (WAN/LAN)
지연/지터
• BPS: 거의 없음 (방송 동기된 전파)
• NTP: 변동 가능 (네트워크 품질 영향)
타이밍 소스
• BPS: GPS 등 고정밀 기준에서 방송국이 생성
• NTP: 서버마다 다름 (정확도 불균일)
동기화 대상
• BPS: 방송 수신기 (TV, 셋톱박스, 차량 등)
• NTP: 서버, 클라이언트, 일반 IT 장비
자체 위치 추정 기능
• BPS: 있음 (위치 + 시간 동기 가능, GNSS 대체 가능)
• NTP: 없음 (시간 동기만 가능)
오프라인 사용
• BPS: 가능 (방송 수신만 되면 작동)
• NTP: 불가능 (인터넷 연결 필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기본으로끼는 프론트엔드에 비해 게임이야말로 모든 상태가 모든 상태를 건들이기에 그냥 상남자? 식으로 그냥 하는거라 생각 하고 있긴 한데, 반대로 응용앱에서 ECS를 쓴다는것은 패턴화된 상태관리를 각 개발자 혹은 자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것과 비슷할텐데, 이런부분은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