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엑셀기반 전처리가 좀 편해지려나요?

저는 회사 맥으로 개인 맥을 제어하는데 시너지를 썼거든요. 이제는 개인 맥을 처분하고 리눅스만 쓰는지라 워크플로우가 번거로워졌습니다.

그런데 이 툴을 쓰면 회사 맥의 터미널에서 개인 리눅스 데스크탑으로 접속해서 마음껏 이런저런 작업을 할 수 있다는거네요?

아무래도 보안팀은 싫어할 것 같습니다.

네 파폭 익스텐션 포팅도 고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ilys 는 들어보기는 했는데 잘 알지는 못합니다.
저는 지식의 캡처와 제텔 카스텐식 노트 정리 및 활용에 관심이 많습니다~
API 비용 문제는 지원 받는게 있어서 어느정도 괜찮습니다. 편하게 써주세요 ^^

로컬에서 해결하고 배포 전에 테스트 하고 싶을 때를 말씀하시는거죠?
원격지에서 작업하기, 내부망 접속이 어려워 제한된 환경이었을때...

서버에서 웹 관련 실험(via 로컬호스트) 진행할 때 유용할 것 같습니다

재밌는 아이디어네요 ㅋㅋㅋ
https://crates.io/crates/iroh-ssh/0.1.1 이런 것도 있습니다

Bun도 아직 nodejs api 100% 호환되려면 멀었는데 이건 얼마나 걸리려나요

와 이북리더기 많이 쓰는 입장에서 아주 기대되는 소식이네요

저도 고인물이라 그렇겠지만, 이게 필요한가요?

수많은 npm 라이브러리 생태계와 어떻게 통합하느냐가 이런 프로젝트의 성공 포인트로 보입니다... nodejs와 동일한 API 스펙으로 개발하되, 런타임만 바꾸면되도록... 기존 개발/운영중인 코드베이스를 변경 비용을 최소화하고, 호환되게 한다면... 근데 애초에 nodejs도 메모리를 많이 쓰지를 않아서 ㅎㅎ

,그러게요 저도 그생각부터 하면서 읽었네요

좋네요~

제가 자주 이용하는 Lilys AI 서비스와 핵심 컨섭에 비슷하네요.
요약하는 부분 LLM 서비스를 이용하실거 같은데, 비용 문제는 괜찮으세요?

파폭 익스텐션으로도 출시하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ㅋㅋㅋ 진짜 웃프네요

Bun 얘기는 왜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