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328] 개발은 나이와 함께 익어간다

2025-10-13 ~ 2025-10-19 사이의 주요 뉴스들

요즘 AI에게 일을 시키고 결과를 기다리다 보면, “세상이 정말 빨리 변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종종 듭니다. MCP가 세상의 주목을 받았던 게 그리 오래전도 아닌데, 어느새 Anthropic이 Claude Skills 라는 새로운 방식을 들고 나왔습니다. AI가 새로운 능력을 훨씬 쉽게 배우고, 토큰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 명령과 스크립트, 리소스가 들어 있는 폴더 단위필요할 때만 기능을 로드하고, AI와 대화 중에 정리된 능력을 바로 스킬로 만들어 저장하거나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MCP보다 훨씬 간단하면서도 확장성이 좋아서, 이제 AI가 정말 범용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다는 게 실감납니다. 저부터도 당장 Claude Code에 넣어 컴퓨터 관리에 쓸 스킬들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예전엔 코딩 시간이 훨씬 길고, 빌드하는 동안 잠깐 쉬는 게 다였는데 요즘은 AI에게 일을 시키고 기다리는 시간이 늘어나서 그런지 사색하는 시간이 많아졌어요. AI가 코드를 쏟아내는 걸 보면서 “개발이 어디로 흘러가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AI와 함께 개발을 시작하는 세대는 분명 나와는 전혀 다른 개발 철학을 가지겠구나 싶고요. 반대로 경력이 많은 개발자들 중에서 요 몇 년 흐름을 따라오지 않았다면, 지금이 큰 전환기라 안 보면 정말 위험하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저도 한참 개발에만 빠져 살던 시절엔 외부 뉴스엔 관심이 없었다가, 나중에 따라잡느라 꽤 고생했던 기억이 있거든요.

그래서 지금이라도 늦게나마 AI를 들여다보고 있는 노련한 개발자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글이 있습니다. 아마존 CTO Werner Vogels 박사의 개발은 나이와 함께 익어간다(Development Gets Better with Age) 입니다. 그는 경력 많은 개발자로서 생성형 AI로 바뀌어 가는 세상을 관찰하며, 그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를 우리에게 말하듯 들려줍니다. AI 세상이 모든 걸 바꿔버릴 것처럼 보여도, 우리가 추구하는 본질은 같습니다. 결국 개발은 도구를 다루는 일이 아니라 문제를 이해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니까요. Vogels 박사는 말합니다. “세상이 아무리 바뀌어도, 경험은 방향을 알려준다.”

이제 우리는 AI의 도움을 받아, 그 답을 조금 더 빠르고 조금 더 멋지게 찾아갈 차례입니다.


Feedback : 긱뉴스 위클리 어떻게 읽고 계신가요? 의견과 제안 부탁드려요

Show GN - 직접 만드신 오픈소스나, 재직중인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를 소개해주세요.

Ask GN - 다양한 질문을 올려주세요.


매주 월요일 아침, 지난 일주일간의 GeekNews 중 엄선한 뉴스들을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 개발은 나이와 함께 익어간다

    아마존 CTO 워너 보겔스 박사는 현장 경험실패에서 얻은 통찰이 쌓인 노련한 개발자만의 강점을 강조하며, 생성형 AI처럼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도 본질을 잃지 않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최근 AI 기술의 폭발적 변화 속에서 패턴 인식력건전한 회의적 시각 같은 경험 기반 역량이 오히려 더 큰 가치를 발휘하고, 개발자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이 여전히 중심에 있음을 강조합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FOMO(놓칠까 두려움) 때문에 생성형 AI 도입을 서두르기보다, 고객의 진짜 문제와 필요에 다시 집중하는 일이 불확실성을 돌파하는 핵심이라고 짚으며, 경험 많은 개발자들에게 따뜻한 격려를 건네는 글입니다.

  • 모던 리눅스 도구 모음 : 기존 명령어를 대체하는 새로운 CLI 들

    최근 유닉스 명령어를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모던 CLI 도구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Rust·Go 등 최신 언어 기반으로 개발된 CLI 툴들은 성능과 사용성, 시각화 모두에서 뛰어나며, 파일 탐색·검색·데이터 처리·시스템 모니터링 등 리눅스 작업 전반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대표 도구로는 bat(cat 강화 및 git 통합), eza(ls/tree 대체), fd(find 대체), ripgrep(grep 대체), bottom(시각화된 top), zoxide(스마트 cd), tldr(man 요약) 등이 있으며, 글에서는 이외에도 약 30여 개의 도구를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 NanoChat - $100로 구매할 수 있는 최고의 ChatGPT

    Andrej karpathy의 nanochat$100 내외 예산으로 ChatGPT 수준의 대화형 LLM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전체 학습 파이프라인이 8개의 H100 GPU에서 단일 스크립트로 4시간만에 구동될 정도로 극도로 단순하고 해커블한 코드를 제공합니다. 코드베이스는 8,300여 줄·44개 파일로 구성되어 읽기 쉽고, 초보 개발자도 쉽게 실험, 변형, 포크해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etraining, finetuning, 추론, 웹 UI까지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이 지원되며, 1,000달러 미만 비용에서의 저예산 LLM 학습 경험접근성, 단순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Claude Skills는 굉장하다, MCP보다 더 큰 혁신일지도

    Anthropic이 공개한 Claude Skills는 모델이 필요한 작업별 지침, 스크립트, 리소스를 능력 단위 폴더로 관리하고, 실제 필요할 때에만 전체 내용을 동적으로 로드해 토큰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Markdown과 YAML 기반의 단순한 구조로, 범용 LLM은 물론 다양한 코딩 에이전트 도구에서도 바로 활용할 수 있어, MCP 대비 생태계 확장성과 공유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Skills는 범용 자동화 에이전트 구현의 새로운 전형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널리즘부터 브랜드 가이드라인 자동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LLM 기능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합니다.

  • 슈퍼파워즈: 2025년 10월 현재 내가 코딩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방법

    Claude Code 기반의 새로운 코딩 에이전트 확장 도구인 Superpowers는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어, 워크플로우 자동화, 테스트 주도 개발(TDD), 코드 리뷰, Git 워크트리 관리 등 개발 작업을 자동화하고 고도화합니다. 핵심 개념인 ‘스킬(Skill)’ 은 Markdown 문서로 정의되는 지식 단위로, Claude가 특정 작업 시 반드시 참고하며, 사용자는 이를 직접 작성하거나 자동으로 추출해 Claude에게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이 공개된 후에 공식 Claude Skills가 발표되면서, 공식 Skills 기반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pdfly - PDF 파일을 위한 스위스 아미 나이프

    Python 기반 오픈소스 CLI 도구인 pdfly는 PDF 메타데이터 확인, 페이지 병합/삭제, 이미지·텍스트 추출, 파일 압축 등 다양한 기능을 명령행에서 손쉽게 제공합니다. 최근 0.5.0 버전에는 전자서명 추가·검증, 주석 페이지만 추출, 특정 페이지 회전 같은 고급 기능이 더해져, 불편했던 PDF 작업이 한층 효율적으로 바뀌었습니다.

  • SQLite Online – 11년간 1인이 개발, 하루 1.1만 명 사용

    SaaS 기반 웹 SQLite 에디터로 웹 환경에서 손쉽게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지속적인 기능 개선 덕분에 별도의 설치 없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습니다. 서비스 유지를 위해 구독 기반 지원 체계를 도입했으며, 무료 이용 시 저장한 데이터는 3시간 후 자동 삭제됩니다.

  • Amp - 에이전틱 코딩 도구

    Sourcegraph가 출시한 새로운 에이전틱 코딩 도구로 자율적 추론과 코드 편집, 복잡한 작업 실행을 자동화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입니다. 모델 선택기 없이 프론티어 AI 모델을 자동으로 활용하며, 토큰 사용량에 제한이 없어 최신 AI의 성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또한 세션 전역 공유Amp 스레드 PR 첨부 기능으로 팀 내 협업과 코드 유지보수가 훨씬 효율적입니다.

  •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가치 창출만이 중요하다.

    커리어와 비즈니스 성공은 노력의 양이 아니라, 실제 가치 창출문제 해결 역량에 달려있다고 강조합니다. 개인의 고유한 기술이 조직 혹은 시장의 핵심 Pain Point에 정밀하게 맞닿을 때 비로소 큰 레버리지와 인정이 따라오며, 반복 가능한 가치 루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스타트업의 제품-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 개념을 개인과 조직 성장에 적용,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일반화·확장하는 전략이 효과적인 커리어 성과의 핵심입니다.

  • 서버리스를 버리자, 성능이 향상되고 아키텍처가 간소화됨

    Unkey는 Cloudflare Workers 기반 서버리스 구조에서 Go 기반 상태 유지 서버로 전환하면서, 핵심 서비스인 API 인증의 지연(레이턴시) 문제와 아키텍처 복잡성을 대폭 해소했습니다. 서버리스 환경에서 발생하던 캐시 및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과도한 네트워크 지연과 여러 분산 SaaS 도구로 인한 관리 부담이, 상태 서버 전환 후에는 속도를 6배 개선하고 셀프 호스팅·플랫폼 독립성이 확보 되었습니다. 서버리스 모델은 비정기적 워크로드나 단순 요청에는 여전히 효과적이지만, 영속적 상태 관리나 일관된 짧은 응답시간이 필요한 서비스에는 상태 서버가 효율적임을 확인한 사례입니다.

  • Microsoft Amplifier - 초고속 AI 개발 환경

    AI 에이전트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결합한 통합 개발 환경으로, 초기 세션 설정 없이도 지속적인 지식 축적검증된 패턴을 제공합니다. 20개 이상의 전문화된 에이전트가 설계, 디버깅, 보안 등 각 분야에서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프리로딩된 컨텍스트병렬 워크트리로 복잡한 솔루션을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문서에서 개념‧관계‧패턴을 추출해 질의 가능한 지식으로 전환하고, 대화 맥락 보존품질 자동 체크 기능까지 지원해 개발의 일관성과 확장성을 높여 줍니다.

  • Resterm - 터미널 기반 REST 클라이언트 (HTTP, GraphQL, gRPC 지원)

    CLI 기반 API 클라이언트인 Resterm은 HTTP, GraphQL, gRPC를 모두 지원하며, .http.rest 파일을 직접 읽어 Postman, IDE 없이도 쉽고 빠르게 API 요청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Vim 키바인딩의 모달 편집기워크스페이스 탐색기 등 개발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curl 명령어 파싱인라인 요청 실행 등 실시간 협업과 반복 작업에도 편리합니다.

  • State of AI 2025 보고서

    2025년은 AI 추론(reasoning) 모델의 해로 각 모델들이 현실적인 계획·반성·자기수정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인공지능이 실제 문제 해결에 더욱 깊이 쓰이기 시작합니다. 미국(OpenAI)과 중국(DeepSeek·Qwen·Kimi)의 경쟁 구도가 뚜렷해지고, AI 산업화가 가속화되어 연매출 수십억 달러와 기업 내 AI 도구 도입률이 급상승하는 등 AI가 경제 인프라와 생산 시스템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동시에, 산업 인프라와 지정학, 그리고 AI 안전 이슈에서는 추상적인 위협보다 현실적 리스크와 거버넌스, 투명성 확보로 초점이 이동하며, AI는 과학과 산업의 연구 협력자이자 전력·GPU·토지 등 실물 경쟁의 중심 자원이 되고 있습니다.

  • EdgeAI for Beginners: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개한 엣지 AI 입문 교육 과정

    엣지 디바이스에서 AI 모델을 직접 실행하는 실전 역량을 기를 수 있는 무료 오픈소스 교육 과정으로, SLM 배포, 로컬 RAG 파이프라인 구현, 모델 라우팅 등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통해 Windows, 모바일, 임베디드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AI 배포 기술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 ‘취업 인터뷰’ 때문에 거의 해킹당할 뻔한 이야기

    최근 프리랜서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실제 블록체인 기업과 대표 이력, LinkedIn 프로필, 그리고 전문적으로 구성된 코딩 테스트를 내세워 신뢰를 구축한 뒤, 코딩 미션 속에 난독화된 서버 측 악성코드를 숨기는 수법을 쓴다는 사실이 공개 되었습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AI 코드 어시스턴트의 검사 덕분에 암호화폐 지갑과 파일, 비밀번호 등 디지털 자산 탈취를 막을 수 있었으나, 공격자들이 치밀하게 증거 인멸 기능까지 갖춘 것으로 보여서 놀라움을 줍니다. 구직중인 개발자라면 모든 외부 코드를 실행 전 샌드박스 검사신원 확인, 그리고 작은 이상 신호에도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 Zoxide - 모든 주요 셸을 지원하는 더 똑똑한 cd 명령어

    zoxide는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자주 접근하는 디렉터리를 학습해, 짧은 명령만으로 원하는 폴더로 즉시 이동할 수 있는 스마트 cd 툴입니다. 특화된 매칭·에이징 알고리듬을 통해 디렉터리 중요도를 자동 조정하며, bash·zsh·fish·PowerShell 등 주요 셸Linux/Windows/macOS/Android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폭넓게 지원하고, 타 도구의 DB 마이그레이션 및 에디터, 파일 매니저, 런처와의 연동성도 뛰어납니다.

  • React Conf 2025 (Day 1)

    React Conf 의 이틀간 행사를 각 세션 정보와 함께 정리한 글입니다. 첫째날은 React, 둘째날은 React Native 관련한 발표들이 진행되었습니다.

  • 봇이 점점 더 실제 이용자처럼 활동을 모방하고 있음

    이커머스 웹사이트 방문자의 약 73%가 실제 이용자가 아닌 정교한 봇으로 드러나면서, 분석 도구마케팅 ROI가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습니다. 참여형 봇, 장바구니 방치 봇, 소셜 미디어 유입 봇 등 다양한 형태의 자동화된 트래픽이 실제 사용자를 매우 정밀하게 모방하여, 광고 효율 측정, 내부 지표, 그리고 투자 유치 판단까지 잘못된 신호를 제공하게 만듭니다. 광고 플랫폼과 기업들이 이 문제를 암묵적으로 방치하거나 심지어 지표 조작을 위해 활용하면서, 디지털 커머스 생태계 자체가 ‘집단적 가면극’ 에 빠지고 있으며, 이 구조적 이슈는 AI와 자동화 발전과 함께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 유튜브 개발팀의 IE6 퇴출 공모 및 성공 전략

    유튜브 웹 개발팀은 IE6 지원으로 인한 극심한 개발 및 유지보수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공식적인 절차 없이 'OldTuber' 권한을 활용해 IE6 사용자에게만 노출되는 업그레이드 유도 배너를 은밀히 배포하는 전략을 펼쳤습니다. 이 모호한 경고 방식은 유튜브뿐 아니라 다른 구글 서비스와 언론에도 파급되어, IE6 사용자 급감과 함께 웹 전반에 구형 브라우저 퇴출 흐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개발팀은 대형 조직 내에서 특별 권한과 예상치 못한 외부 확산 효과를 활용해, 신속하게 기술적 장애를 제거하고 웹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rm-safely - 안전하게 ‘rm’ 하세요

    macOS 환경에서 중요 파일 삭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기존 rm 명령어를 휴지통(Trash)으로 이동하는 셸 스크립트로 안전하게 대체합니다. 별도의 의존성 없이 순수 셸 스크립트로 구현되어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완전 삭제나 휴지통 관리 기능도 함께 제공합니다.

  • Rift - macOS용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

    맥 사용자들을 위한 오픈소스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성능사용성을 중시하는 동시에 시스템 코드 보안(SIP) 비활성화 없이 동작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i3/sway, bspwm 등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레이아웃 스타일과, 트랙패드 제스처Mission Control과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통해 macOS 네이티브 경험을 제공합니다. 애니메이션 최적화, 실시간 설정 변경(핫 리로드), 그리고 강력한 외부 프로그램 연동 지원 등 독특한 기능들로 인해 기존 윈도우 매니저와 차별화됩니다.

  •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한 Rust 언어의 새로운 기능들

    Rust for Linux 프로젝트가 필드 프로젝션, 제자리 초기화, 임의 Self 타입 등 핵심 언어 기능 개발을 주도하며, 스마트 포인터고정 메모리 같은 리눅스 커널 고유 구조를 Rust에서 효과적으로 지원할 기반을 마련합니다. 커널이라는 명확한 요구 사항 덕분에 Rust 언어팀의 개발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 기능들은 커널뿐 아니라 스마트 포인터 처리 및 비동기 코드 단순화 등 Rust 생태계 전반에도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특히, 필드 프로젝션Receiver 트레이트 도입, 제자리 초기화 기능은 C 스타일의 메모리 관리 및 동시성 패턴을 Rust에서 안전하게 구현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 커널이 현실적인 테스트베드로서 Rust 언어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 Metarank - 실시간 개인화 서비스

    실시간 개인화추천 시스템 구축에 특화된 오픈소스 랭킹 서비스로 기존 검색엔진에 Learning-to-Rank 재정렬LLM 기반 의미 검색을 더해 더욱 정교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고객 행동 신호세션 데이터를 활용해 CTR 최적화실시간 맞춤화를 실현하며, 10–20ms 저지연 처리Redis 기반 수평 확장성으로 대규모 트래픽도 안정적으로 지원합니다. 수십여 랭킹 신호의 즉시 계산로그 유입 자동화, 그리고 1분 내 Docker 배포로 개발·운영 환경에서 빠르게 적용할 수 있어, 현대적인 시맨틱 검색이나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 개발에 적합합니다.

  •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기업의 해부학

    진정한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기업은 단일 제품군을 기반으로 미션 크리티컬한 문제 해결시장 리더십, 규모에 따른 수익 증대TAM(총 주소 시장) 확장이라는 네 가지 특성에서 차별화됩니다. 각 모듈과 워크플로우의 통합을 통해 깊은 고객 인사이트강력한 신뢰를 쌓으며, 이는 장기적인 파트너십과 확장성 있는 매출로 이어집니다. 특히 AI 시대에는 비정형 데이터 활용, 워크플로우 자동화, 개발 주기 단축을 통해 플랫폼 우위가 한층 강화되고, 단일 플랫폼 내 더 넓은 비즈니스 가치를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Anthropic, Claude Skills 공개

    Anthropic의 Claude Skills는 사용자의 업무 흐름에 맞춰 AI의 전문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Skill은 명령, 스크립트, 리소스가 포함된 폴더 단위 구성 요소로, Claude가 작업 시 필요한 순간에만 로드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나 개발자가 직접 Skill을 제작해 Claude 앱, Claude Code, API 전반에서 활용 가능하며, 앞으로는 스킬 마켓플레이스를 통한 제작, 편집, 검색 및 공유 기능도 계획 중입니다.

  • Dayflow - 하루의 타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macOS 앱

    SwiftUI로 개발된 앱으로 1 FPS의 저해상도 화면 기록15분마다 진행되는 AI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타임라인과 요약 카드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타임랩스 재생으로 하루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25MB 내외의 앱 크기와 100MB 미만 RAM, 1% 이하 CPU 사용경량성과 저부하를 목표로 하며, 모든 데이터가 로컬에서 처리되어 개인 정보 보호에 중점을 둡니다. 분석 AI는 Gemini API 키로컬 LLM(Ollama·LM Studio) 중 선택 가능하며, 녹화 데이터는 3일 후 자동 삭제되어 저장 공간과 사생활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곧,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대시보드데일리 저널 기능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 바이브 코딩을 이용한 고급 Ghostty 기능 구현 사례 공유

    macOS용 Ghostty의 비방해형 업데이트 알림 구현 과정을 공개하며, AI 에이전틱 코딩 도구를 활용해 약 8시간 만에 실제 배포 가능한 기능을 완성한 사례를 상세한 내역과 함께 소개합니다. UI/UX 프로토타이핑부터 버그 해결, 반복적 클린업, 시뮬레이션 생성까지, 단계별로 AI의 보조와 개발자의 주도적 수정·리뷰를 결합한 인간 주도-에이전트 보조 전략이 핵심으로, 특히 AI가 반복적이고 지루한 코딩 작업을 대신하는 동안 개발자는 비동기적으로 다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생산성 향상 경험을 강조하며, 모든 AI 작성 코드는 반드시 수동 검증 후에만 배포한다는 원칙을 고수합니다. 실전 코딩 세션 전 과정이 투명하게 공유되어, AI와 함께하는 최신 개발 방법론과 UX 개선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Beads - 코딩 에이전트를 위한 메모리 업그레이드

    AI 코딩 에이전트가 복잡한 프로젝트의 작업 이력 추적 및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량 그래프 기반 이슈 트래커 솔루션입니다. 개발자가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에이전트가 자체적으로 이슈를 생성·연결·요약하여 장기 작업의 맥락과 세부 정보를 놓치지 않고 처리합니다. 모든 이슈는 git과 통합되어 여러 머신에서 공유 가능하며, 변경 이력은 JSONL 라인단위로 기록되어 신뢰성과 감사 복원성을 제공합니다. Claude Code 플러그인다양한 도구와의 연동성까지 갖추어, 에이전트 협업 환경에 새로운 메모리 인프라를 제시합니다.

  • Apple, M5 칩을 탑재한 새 MacBook Pro 14 공개

    새로운 맥북프로 14는 M5 칩온디바이스 AI 가속을 전면에 내세워 프로급 작업과 일상 워크플로 모두를 빠르게 처리합니다. 각 코어에 Neural Accelerator를 통합한 차세대 GPU로 AI 워크플로가 최대 3.5배 빨라지고, 그래픽은 최대 1.6배 향상되었습니다.

  • SQLite는 왜 C로 작성되었는가

    SQLite가 2000년부터 C 언어로 개발된 주요 이유는 최고 수준의 성능, 폭넓은 호환성, 최소 의존성, 그리고 안정성을 실현하기 위해서입니다. C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와 언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하드웨어에 밀접한 제어력으로 경량 데이터베이스 엔진에 최적화된 속도와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개발 초기 당시에는 C++ 및 Java가 미성숙했고, 다양한 언어에서의 라이브러리 호출성을 고려해 C를 선택했으며, Rust나 Go 같은 신생 “안전한 언어” 도 아직은 성능, 품질 관리, 범용성 측면에서 C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안전한 언어 생태계가 충분히 성숙한다면, Rust 같은 언어로의 재작성 가능성도 열려 있으나, 현시점에서는 C의 검증된 안정성이 SQLite의 핵심 경쟁력입니다.

  • 정상적인 소프트웨어에서는 맞지만 인공지능에서는 틀린 믿음들

    AI는 전통적인 소프트웨어와 달리, 오류와 위험의 근본 원인이 코드가 아니라 방대한 학습 데이터에서 비롯하며, 이로 인해 어떤 데이터가 문제를 만들었는지 사람이 파악할 수 없습니다. AI의 행동은 입력 변화에 따라 비결정적으로 달라지고, 예측할 수 없는 결과나 숨겨진 기능이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해, 기존 소프트웨어처럼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방식이 통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와 한계는 기존 IT 업계의 ‘버그 수정’ 관점이 AI 안전성 논의에서 오히려 착각을 낳을 수 있습니다. AI와 기존 소프트웨어 간 사고방식 차이를 팀원들과 공유하고, AI 특유의 위험 평가 방식을 재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Rails, Laravel, Next.js 대신 Elixir Phoenix 를 선택한 이유

    Elixir의 Phoenix LiveView애플리케이션 속도개발 효율성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를 동시에 만족시키면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단일 언어로 모놀리식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납니다. WebSocket 기반 실시간 양방향 통신Oban 내장 백그라운드 작업 처리 같은 특징이 높은 동시성, 자동 장애 복구, 가독성 높은 코드와 어우러져 기존 Rails, Laravel, Next.js 와의 차별점을 보여줍니다.

  • Zed, 이제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

    코드 에디터 ZedWindows에서 공식 지원을 시작하며, DirectX 11DirectWrite 기반의 고성능 렌더링으로 Windows 특유의 시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WSLSSH와의 깊은 통합을 통해 리눅스 개발 환경과의 협업, 원격 서버 작업, 파일 I/O, git디버깅 등 주요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해 유연한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 WebAssembly Components 기반 확장 프로그램은 추가 설정이나 Windows 맞춤 작업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경로 체계도 자동 변환되어 크로스플랫폼 확장 개발이 수월해졌습니다. 또한 AI 기반 편집 기능ACP 지원이 Windows와 원격 환경 모두에서 구현되어, 최신 개발 흐름을 반영하였습니다.

  • 원격 서버 개발용 편집기로 Helix 에디터를 활용하는 방법

    원격 서버 개발 환경에서 Helix 에디터를 활용하면 별도의 플러그인 설치 없이도 강력한 기본 기능과 공급망 공격에 대한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tmux, yazi, lazygit 등 다양한 터미널 도구와 연동해 파일 탐색과 Git 관련 작업을 팝업으로 처리하고, Vim 키바인딩 이식 및 커스텀 상태바/단축키 설정을 통해 익숙한 개발 경험과 높은 생산성을 제공합니다. Tree-sitter 기반 인젝션으로 Python/Go 내부 SQL 쿼리와 Markdown 코드 블록 등 다양한 언어 하이라이트를 지원하며, LSP, 자동 저장, 고급 컬러/진단 옵션 등 최신 기능으로 세밀한 맞춤화가 가능합니다. 최소한의 플러그인 사용, 직관적인 설정, 유연한 확장성을 원하는 개발자에게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 Andrej Karpathy – AGI는 아직 10년 남았음

    Andrej Karpathy는 AGI 개발에는 최소 10년이 더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현재의 AI 에이전트강화학습(RL) 기술은 여전히 지속 학습, 기억, 복합적 지능 측면에서 한계를 보인다고 진단합니다. LLM은 방대한 정보를 단기 기억처럼 압축·활용하지만, 인간 두뇌의 장기 기억/지속 학습 구조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이런 결함이 실제 업무 대체에 걸림돌로 작용합니다. AI 발전은 딥러닝, RL, 그리고 LLM까지 다양한 흐름을 거쳤으나, 앞으로 10년간은 아키텍처, 연산력, 데이터, 알고리듬 등 여러 요소의 동반적 진화가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궁극적으로 AGI의 도입은 경제 성장 패턴처럼 점진적이며, AI의 실제 실용화와 근본적 한계 인식이 앞으로의 주요 쟁점입니다.


✓ 사내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GeekNews Bot을 추가해서 멤버들과 함께 새 글을 받아보세요
ㅤ→ Slack봇, 잔디봇, Teams봇, Discord봇, 구글 챗 봇, Swit 봇
긱뉴스는 RSS로도 구독 가능합니다
✓ 주위분들께 긱뉴스 위클리 - https://news.hada.io/weekly 뉴스레터를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