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입력되는 소스 크기가 작아질수록 소모되는 토큰량이 줄어든다는것은 잘 알려진 명백한 사실 입니다. .cursorignore 파일이 이것때문에 만들어졌으니까요.

대체적으로 AI에게 구조 개선을 시키면, 거의 대부분 소스 코드 량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어서, 어떤 이유에서든 정리를 시키면 비용이 줄어든다는 말은 신빙성 있는 주장 같습니다.

이 글은 좋은 구조 유도를 통해 추가적인 토큰 사용량 감소를 이루어 낼 수 있다는 주장이 더해진것이구요.

제가 직접 이렇게 테스트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현재 코드를 분석하고, 네가 관리하기 좋은 형태로 구조 개선을 해줘'

라는 프롬프트도 동작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확한 요지는, AI에게 기능 요구사항만 전달 할 것이 아니라, 적절하고 올바른 구조를 잘 유도하는것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라는 뜻으로 생각 됩니다.

Refactor the falling objects’ behaviors to use the Strategy pattern and their creation to use the Factory pattern, split the implementation into separate files, and update .cursorrules to reflect the new file structure.

이 프롬프트를 같이 넣었더니 비용이 줄어들었다는 건가요? 제가 요지를 맞게 이해한건지 잘 모르겠네요

현재 jira rest api v3 버전만 사용해서 jira cloud 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tacenter , server 버전은 못씁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요즘 Rust 관련이 많이 나오고 있네요..

geeknews에 dm이 있나요? 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이트 이용법 의 댓글달기 항목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친절하고 점잖게 얘기해주세요.
반론이 있다면 그 내용만을 적어주세요

공감합니다.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정석만 따라갈 수 있는 시장이 아니기도 하더라고요.

응원 감사드립니다!!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사이트 이용법 의 댓글달기 항목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친절하고 점잖게 얘기해주세요.
글쓴이를 저격하지 말아주세요.
반론이 있다면 그 내용만을 적어주세요

저도 쓰레드나 링크드인에서 이런걸 많이봐서 그런가 좀 피로한 전략이더라구요. 인게이지먼트를 높여 seo 부스팅을 받겠다는건 이해가 되지만...
본문에 있는 글과 계정이 일상 다반사로 짤렸다는게 결국 레딧 커뮤니티 이용 규정에서 권장하지 않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신거라고 이해되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