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ksss | 1일전 | parent | on: uv는 Python 생태계에 지난 10년간 등장한 최고의 혁신 (emily.space)pdm이 uv랑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했는데, pdm관련 이야기가 많지 않네요 ▲sudosudo | 1일전 | parent | on: 버블의 장점 (stratechery.com)이게 무슨 소리죠.. 미사일 부품이 남으니 미사일이 터져도 좋다 같은 소리 인듯 ▲girr311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개인 경험은 부담이나 문제 없었는데요. 부담의 기준이 서로 다를수 있으니 그렇게 생각 될수도 있겠군요. ▲girr311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클라우드, 온프레미스, IDC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결국엔 사용 목적과 규모에 맞는 선택이 핵심이겠죠. ▲lamanus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많죠. 직접 운용해야하는 부담을 말하는거였습니다. 저도 넥서스나 하버 씁니다. ▲lamanus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어떤 서비스를 개발해도 컨테이너 배포를 선호하기때문에 그렇습니다. 배포도 최대한 ssh 직접연결 없이 하는걸 선호하고요. 비용만 생각한다면... 레지스트리 없이 직접 배포 가능한 방법들도 있긴 할거같은데, 예시를 생각해본거고 이메일 서비스라던지 좀 불편한 부분들이 생기는것에 초점을 두고싶어요. ▲girr311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이미지 저장소 오픈 소스 많이 있습니다. ▲leegeunhyeok | 2일전 | parent | on: Show GN: Craby: React Native를 위한 Type-Safe Rust 통합 도구 (craby.rs)최근 New Architecture로 넘어가야하는 상황이 생겼는데요, TurboModule 내부 구현을 살펴보면서 “이렇게 접근해보면 충분히 가능성 있겠는데” 라는 아이디어로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wally | 2일전 | parent | on: Show GN: 서브폰에서 메인폰으로 푸시를 전달 해주는 Notina (notinaweb.tera.co.kr)회원탈퇴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채팅으로 문의메세지 남겼는데 하루가 지나도 답변이 없으시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savvykang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백업 복구만 한 번 경험해도 아마 가치를 느끼지 않을까요? 온프레미스는 백업 복구가 제일 골치아파요 ▲regentag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어떤 서비스를 개발하시기에 컨테이너 이미지 저장소가 필요하신가요? ▲regentag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3일에 한번꼴로 디스크가 죽는건 좀 이상하네요...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것 같아요. ▲carnoxen | 2일전 | parent | on: 애플, App Store의 새로운 웹 인터페이스 공개 (9to5mac.com)저런... ▲jeiea | 2일전 | parent | on: 저작권 등록제도의 함정: 룰렛 저작권 도용 사건의 힘빠지는 전말 (lazygyu.net)게시글 링크를 첨부해서 유튜브 댓글을 신고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행정/절차적으론 문제가 없다는 거니 맥빠지고요 ▲tested | 2일전 | parent | on: Codemaps - 바이브 코딩 전에 코드를 이해하세요 (cognition.ai)VS Code에도 나왔으면 ▲kallare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가장 큰 전제가 '하드웨어 장애는 거의 없다'인데... 겪어본바로는 회사에서 IDC에 랙 대여해서 서버 운영할 때 3일에 한번꼴로 디스크가 사망하느라 디스크 갈고 레이드 복구하러 다니던 기억이 있다보니... 웬만하면 그냥 클라우드 쓰라고 합니다. 하드웨어 망가졌을 때 '딸깍'으로 다시 올리는게 얼마나 큰 가치인데..... ▲ndrgrd | 2일전 | parent | on: AI가 ‘생각한다’는 논거 (newyorker.com)코딩 에이전트 중 만족스러운 것이 없던데... 대부분의 작업을 직접 해야 하고 자동 완성이나 스니펫 수준의 작업 이상을 시키면 실패하더라고요. 본문의 사례에서는 무엇을 사용하는지 궁금하네요. ▲3ae3ae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글쎄요.. '클라우드 비용이 필요 이상으로 비싸다', '대부분의 경우 대형 클라우드 기능이 필요없다'까지는 백번 동의하지만, 마치 클라우드 서비스는 전부 사기라고 주장하는 듯한 어조가 글 읽기를 껄끄럽게 만드네요. '보험 상품은 전부 사기다' 라고 하는 것처럼 들려요. ▲ndrgrd | 2일전 | parent | on: 클라우드가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 친구에게 이 글을 보내세요 (rameerez.com)클라우드는 서버를 관리하기 싫거나 수요가 예측이 쉽지 않을 때 빠른 스케일링을 위해 사용하는거죠. 그 외의 사용례에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ndrgrd | 2일전 | parent | on: Google이 내 회사의 Google Cloud 계정을 세 번째로 정지시켰다 (agwa.name)"Android developer verification would end up just like this. Lots of people would be banned from developing for Android." Hacker News 의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네요. 머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더 불러오기
pdm이 uv랑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했는데, pdm관련 이야기가 많지 않네요
이게 무슨 소리죠.. 미사일 부품이 남으니 미사일이 터져도 좋다 같은 소리 인듯
개인 경험은 부담이나 문제 없었는데요.
부담의 기준이 서로 다를수 있으니 그렇게 생각 될수도 있겠군요.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IDC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결국엔 사용 목적과 규모에 맞는 선택이 핵심이겠죠.
많죠. 직접 운용해야하는 부담을 말하는거였습니다. 저도 넥서스나 하버 씁니다.
어떤 서비스를 개발해도 컨테이너 배포를 선호하기때문에 그렇습니다. 배포도 최대한 ssh 직접연결 없이 하는걸 선호하고요. 비용만 생각한다면... 레지스트리 없이 직접 배포 가능한 방법들도 있긴 할거같은데, 예시를 생각해본거고 이메일 서비스라던지 좀 불편한 부분들이 생기는것에 초점을 두고싶어요.
이미지 저장소 오픈 소스 많이 있습니다.
최근 New Architecture로 넘어가야하는 상황이 생겼는데요, TurboModule 내부 구현을 살펴보면서 “이렇게 접근해보면 충분히 가능성 있겠는데” 라는 아이디어로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회원탈퇴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채팅으로 문의메세지 남겼는데 하루가 지나도 답변이 없으시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백업 복구만 한 번 경험해도 아마 가치를 느끼지 않을까요? 온프레미스는 백업 복구가 제일 골치아파요
어떤 서비스를 개발하시기에 컨테이너 이미지 저장소가 필요하신가요?
3일에 한번꼴로 디스크가 죽는건 좀 이상하네요...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것 같아요.
저런...
게시글 링크를 첨부해서 유튜브 댓글을 신고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행정/절차적으론 문제가 없다는 거니 맥빠지고요
VS Code에도 나왔으면
가장 큰 전제가 '하드웨어 장애는 거의 없다'인데...
겪어본바로는 회사에서 IDC에 랙 대여해서 서버 운영할 때 3일에 한번꼴로 디스크가 사망하느라
디스크 갈고 레이드 복구하러 다니던 기억이 있다보니...
웬만하면 그냥 클라우드 쓰라고 합니다.
하드웨어 망가졌을 때 '딸깍'으로 다시 올리는게 얼마나 큰 가치인데.....
코딩 에이전트 중 만족스러운 것이 없던데... 대부분의 작업을 직접 해야 하고 자동 완성이나 스니펫 수준의 작업 이상을 시키면 실패하더라고요.
본문의 사례에서는 무엇을 사용하는지 궁금하네요.
글쎄요.. '클라우드 비용이 필요 이상으로 비싸다', '대부분의 경우 대형 클라우드 기능이 필요없다'까지는 백번 동의하지만, 마치 클라우드 서비스는 전부 사기라고 주장하는 듯한 어조가 글 읽기를 껄끄럽게 만드네요. '보험 상품은 전부 사기다' 라고 하는 것처럼 들려요.
클라우드는 서버를 관리하기 싫거나 수요가 예측이 쉽지 않을 때 빠른 스케일링을 위해 사용하는거죠. 그 외의 사용례에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Android developer verification would end up just like this. Lots of people would be banned from developing for Android."
Hacker News 의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네요. 머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