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il1032 | 2일전 | parent | on: OpenAI, GPT-5.1 출시 (openai.com)openai 언제 상장하려나요.. ▲hohemian | 2일전 | parent | on: FFmpeg, 구글에 “자금 지원하든가 버그 제보를 중단하라” 요구 (thenewstack.io)이런 사람 때문에 XZ에 백도어가 심긴거죠 ▲secret3056 | 2일전 | parent | on: FFmpeg, 구글에 “자금 지원하든가 버그 제보를 중단하라” 요구 (thenewstack.io)버그 리포트 자체는 S급이긴한데, 캐네디 대통령때나 쓰던 비디오 포맷의 중대한 취약점을 기간 내에 대응하지 못했다고 동내방내 소문내고 다니니까요. 먹을 수 있는 것을 주는게 아니라 먹어야만 하는 걸 주고 왜 기간 안에 못 먹냐고 하는겁니다. ffmpeg는 인력이 한정되어있는데 구글이 AI로 이젠 쓰이지도 않는 포맷에 대한 수십개의 버그 리포트를 쏟아내면서 기간내에 모두 고치라고 압박 하는게 옳을까요? ▲ethanhur | 2일전 | parent | on: 개발자 사이 갈등으로 보는 '내부의 갈등을 만드는 목적의 공백' [번역글] (blogbyash.com)재미있는 글 감사합니다. ▲bungker | 2일전 | parent | on: FFmpeg, 구글에 “자금 지원하든가 버그 제보를 중단하라” 요구 (thenewstack.io)누가 자발적으로 동네청소를 하는데 동네땅 가장 많이 소유한 유지가 청소하는 사람한테 저기 구석에 담배꽁초 있어요 하는 느낌정도 될것 같아요 ▲carnoxen | 2일전 | parent | on: JSON Query - 작고 유연하며 확장 가능한 JSON 쿼리 언어 (github.com/jsonquerylang)jq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버전인가 보네요 ▲nobae | 2일전 | parent | on: FFmpeg, 구글에 “자금 지원하든가 버그 제보를 중단하라” 요구 (thenewstack.io)먹을걸 줬더니 보따리를 내노라고 하네요 버그 리포트도 분명 중요한 기여일텐데... ▲jjpark78 | 2일전 | parent | on: 협업은 쓸모없다 (newsletter.posthog.com)어그로가 너무 강한 글이네요. 글쓴이의 개성이 너무 두드러져서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게 아닌지? 하나의 기능을 만드는데 디자이너, 기획, 프로젝트 매니저, 프론트, 백엔드, QA등등의 롤이 반드시 필요하기 마련인데 ▲coremaker | 2일전 | parent | on: 협업은 쓸모없다 (newsletter.posthog.com)본인이 인식하는 문제를 드러내기 위해 과도한 주장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협업은 아고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는게 아닐텐데요. 다만, ‘let’s discuss’ 남발, 책임 회피 이 두가지 요소는 문제가 확실히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인사이트 있는 리더나 담당자가 존재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것을 위해서 연구하거나, 사람을 키우거나, 채용을 하거나, 솔루션을 사는 것인데 말이죠. 말을 잘 듣는 구성원으로만 팀을 만들어버리면 더 촉발되기도 하죠. 이건 협업 이나 혼자 일하는 것이 만드는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badaim | 2일전 | parent | on: AMD, TSMC 3나노 공정 기반 ‘Sound Wave’ ARM APU로 ARM 시장 진입할 것 (guru3d.com)amd가 코드네임을 괴물?시리즈로 하다가 트랜스포머 관련으로 바꾼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당장 Zen7은 그림록이라고... ▲furyheimdall | 2일전 | parent | on: FFmpeg, 구글에 “자금 지원하든가 버그 제보를 중단하라” 요구 (thenewstack.io)취약점 자체가 공개되어버리는 상황이라 대응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kimjoin2 | 2일전 | parent | on: FFmpeg, 구글에 “자금 지원하든가 버그 제보를 중단하라” 요구 (thenewstack.io)구글이 지적한다고 반드시 대응을 해야하나요? ▲vb6ko | 2일전 | parent | on: zeropod - 0으로 스케일 다운 되는 Pod (github.com/ctrox)lambda. . .. ? ▲fighting23957 | 2일전 | parent | on: Show GN: WORDMORI – 단어 외울 때 쓰는 카드 짝맞추기 웹앱 (wordmori.app)말씀주셔서 단어쌍 4x4뿐만 아니라, 6x6, 8x8, 10x10도 추가했습니다.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fighting23957 | 2일전 | parent | on: Show GN: WORDMORI – 단어 외울 때 쓰는 카드 짝맞추기 웹앱 (wordmori.app)즐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yeorinhieut | 2일전 | parent | on: Ask GN: 여기 긱뉴스는 해커 뉴스 중, 맛있는 글만 가져오는걸 어떻게 할까요 ? 지금 큐레이션은 수동으로 선정일걸요? ▲holdem1 | 2일전 | parent | on: 게임 디자인은 사실 단순하다 (raphkoster.com)혹시 재미이론 말씀하시는걸까요? ▲xguru | 2일전 | parent | on: 협업은 쓸모없다 (newsletter.posthog.com)Posthog 는 항상 이런식으로 강한 워딩의 글을 쓴다는 걸 참고해서 보세요. 너무 어조가 강하다 보니 약간 주제를 지나쳐 엇나가는 듯한 글이 종종 보입니다. (탄산수가 얼마나 좋은데!!!) ▲wedding | 2일전 | parent | on: 게임 디자인은 사실 단순하다 (raphkoster.com)투자자가 보는 재미 결정권자가 보는 재미 프로젝트 리더가 보는 재미 개발자가 보는 재미 플레이 할 게이머가 보는 재미 플레이 안하는 게이머가 보는 재미 다 달라서..인데 입김 쎈 순으로 영향을 많이 끼치니.. ▲dankim0124 | 2일전 | parent | on: Show GN: 반품왕 - 쿠팡 반품 물건의 빠른 검색 및 가격 추적 (banpoomwang.com)링크를 주세요 .. 더 불러오기
openai 언제 상장하려나요..
이런 사람 때문에 XZ에 백도어가 심긴거죠
버그 리포트 자체는 S급이긴한데, 캐네디 대통령때나 쓰던 비디오 포맷의 중대한 취약점을 기간 내에 대응하지 못했다고 동내방내 소문내고 다니니까요.
먹을 수 있는 것을 주는게 아니라 먹어야만 하는 걸 주고 왜 기간 안에 못 먹냐고 하는겁니다.
ffmpeg는 인력이 한정되어있는데 구글이 AI로 이젠 쓰이지도 않는 포맷에 대한 수십개의 버그 리포트를 쏟아내면서 기간내에 모두 고치라고 압박 하는게 옳을까요?
재미있는 글 감사합니다.
누가 자발적으로 동네청소를 하는데 동네땅 가장 많이 소유한 유지가 청소하는 사람한테 저기 구석에 담배꽁초 있어요 하는 느낌정도 될것 같아요
jq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버전인가 보네요
먹을걸 줬더니 보따리를 내노라고 하네요
버그 리포트도 분명 중요한 기여일텐데...
어그로가 너무 강한 글이네요.
글쓴이의 개성이 너무 두드러져서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게 아닌지?
하나의 기능을 만드는데
디자이너, 기획, 프로젝트 매니저, 프론트, 백엔드, QA등등의 롤이 반드시 필요하기 마련인데
본인이 인식하는 문제를 드러내기 위해 과도한 주장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협업은 아고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는게 아닐텐데요.
다만, ‘let’s discuss’ 남발, 책임 회피 이 두가지 요소는 문제가 확실히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인사이트 있는 리더나 담당자가 존재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것을 위해서 연구하거나, 사람을 키우거나, 채용을 하거나, 솔루션을 사는 것인데 말이죠.
말을 잘 듣는 구성원으로만 팀을 만들어버리면 더 촉발되기도 하죠.
이건 협업 이나 혼자 일하는 것이 만드는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amd가 코드네임을 괴물?시리즈로 하다가
트랜스포머 관련으로 바꾼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당장 Zen7은 그림록이라고...
취약점 자체가 공개되어버리는 상황이라 대응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구글이 지적한다고 반드시 대응을 해야하나요?
lambda. . .. ?
말씀주셔서 단어쌍 4x4뿐만 아니라, 6x6, 8x8, 10x10도 추가했습니다.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즐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금 큐레이션은 수동으로 선정일걸요?
혹시 재미이론 말씀하시는걸까요?
Posthog 는 항상 이런식으로 강한 워딩의 글을 쓴다는 걸 참고해서 보세요.
너무 어조가 강하다 보니 약간 주제를 지나쳐 엇나가는 듯한 글이 종종 보입니다.
(탄산수가 얼마나 좋은데!!!)
투자자가 보는 재미
결정권자가 보는 재미
프로젝트 리더가 보는 재미
개발자가 보는 재미
플레이 할 게이머가 보는 재미
플레이 안하는 게이머가 보는 재미
다 달라서..인데 입김 쎈 순으로 영향을 많이 끼치니..
링크를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