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P by davespark 4일전 | ★ favorite | 댓글 8개

핵심 주장

기술 업계가 두 진영으로 나뉜다:

  • 진영 1: 유행어를 쫓아 복잡한 최신 기술 스택을 무분별하게 도입
  • 진영 2: 상식적이고 실용적인 접근으로 필요한 만큼만 사용

저자는 대부분의 경우 Kafka 대신 Postgres를 pub/sub 및 큐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

벤치마크 결과

Pub/Sub 성능

  • 4 vCPU 단일 노드: 초당 5,036개 메시지 쓰기, 25,183개 읽기 (5배 팬아웃)
  • 4 vCPU 3노드 복제: 비슷한 처리량 유지, 레이턴시 약간 증가
  • 96 vCPU 단일 노드: 초당 243,000개 메시지, 1.16 GiB/s 읽기 속도

큐(Queue) 성능

  • 4 vCPU 단일 노드: 초당 2,885개 메시지
  • 96 vCPU 단일 노드: 초당 20,144개 메시지

주요 논점

  1. 하드웨어 발전: 최신 하드웨어(192코어 CPU, 4TB RAM)로 단일 노드가 매우 강력해짐
  2. Postgres 르네상스: "모든 것에 Postgres 쓰자" 운동이 성장 중
  3. 실용성: OpenAI 같은 거대 스타트업도 여전히 단일 Postgres 인스턴스 사용
  4. 조직적 오버헤드: 새로운 기술 도입은 학습, 운영, 모니터링 등의 비용 발생

결론

"Postgres가 깨질 때까지 그냥 Postgres를 쓰자"

대부분의 회사는 초당 수 MB 수준의 처리량만 필요하며, 이는 Postgres로 충분히 감당 가능합니다. 복잡한 분산 시스템은 정말 필요할 때만 도입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카프카 느린데...

그냥 SQLite가 깨질 때까지 SQLite만 쓸래요

뽀글이가 모든 상황에 좋은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카프카를 쓰지 않아도 되는데 카프카를 써서 추가적인 공수가 들어가는 경우는 많이 본 것 같습니다.

postgresql 찬양글이 또...
중요한 건 필요한 만큼 쓰는거고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설계죠

오 어떻게 title 을 입맛대로 바꾸셨나요

https://news.hada.io/guidelines

Markdown 지원
본문과 댓글에서 모두 지원됩니다.
기본적으로 CommonMark 규약을 따릅니다.
이미지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GeekNews URL인 경우 링크 제목 앞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목이요?

[가장 극단적인 Postgresql 추천글](https://news.hada.io/topic?id=16365)  

딱히 큰 기교를 부리지는 않았는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