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312] 장난감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즐거움

2025-06-23 ~ 2025-06-29 사이의 주요 뉴스들

요즘은 LLM을 비롯한 다양한 AI 도구와 이미 잘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들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직접 무언가를 만들어보는 경험이 점점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버튼 하나만 눌러도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보니, 개발자로서 느끼던 본질적인 재미창의성이 점점 사라지는 것 같아 아쉬울 때가 있습니다.

리처드 파인만의 연구실 칠판 맨 위에 적혀 있던 "내가 만들지 못하는 것은,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라는 말처럼, 직접 만들어보는 경험이야말로 진짜 이해로 이어진다는 점을 다시 생각해볼 때인 것 같습니다. 이론이나 독서만으로 얻을 수 없는 깊이 있는 통찰은, 결국 손으로 만들어보고 부딪혀보는 과정에서 나오곤 합니다.

장난감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즐거움』글에서는 복잡한 완성품이 아니라, 작고 단순한 토이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어보는 과정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개발의 본질적인 즐거움과 창의성을 되찾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저자는 ‘20%의 노력으로 80%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장난감 프로젝트의 원칙으로 제시하며, 직접 구현해본 다양한 예시와 난이도, 소요 시간 등을 함께 공개해 누구나 따라 해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요즘 개발자로서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다고 느낀다면, 이번 리스트를 참고해 작은 토이 프로젝트부터 하나씩 도전해보는 것도 좋은 리프레시가 될 것 같습니다. AI 도구 없이, 나만의 방식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진짜 성장의 즐거움을 다시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Feedback : 긱뉴스 위클리 어떻게 읽고 계신가요? 의견과 제안 부탁드려요

Show GN - 직접 만드신 오픈소스나, 재직중인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를 소개해주세요.

Ask GN - 다양한 질문을 올려주세요.


매주 월요일 아침, 지난 일주일간의 GeekNews 중 엄선한 뉴스들을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 장난감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즐거움

    장난감 소프트웨어 제작은 개발의 즐거움과 창의성 약화를 극복하고, 최소한의 코드로 핵심 원리를 익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직접 간단한 프로젝트를 구현하며 얻는 기술적 통찰과 경험은 실무 문제 해결에도 큰 도움이 되며, 개발자 스스로 진정한 배움과 성취감을 쌓을 수 있습니다.

  • "평범한" 엔지니어를 찬양하며

    실제 생산성비즈니스 임팩트는 소수의 탁월한 개인보다 엔지니어링 팀의 협업과 시스템에 의해 좌우된다고 강조합니다. 정말 뛰어난 조직은 특별히 탁월한 사람만이 아니라, 평범한 엔지니어가 꾸준히 좋은 결과를 내는 환경을 만드는 곳입니다. “최고의 인재”보다 적합한 사람을 채용하고, 10x 팀을 만드는 전략에 집중해야 합니다.

  • 어떤 문제를 풀 것인가 – 리처드 파인만 (1966)

    파인만은 제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진정 가치 있는 문제란 직접 풀거나 기여할 수 있는 것임을 강조하며, 작고 단순해 보이는 문제라도 자신이 직접 풀 수 있다면 충분히 의미 있다고 설명합니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편지네요.

  • Cursor를 더 똑똑하게 사용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팁 12개
    • 전략적으로 모델을 선택하자
    • 복잡한 앱을 수정할 때는 먼저 Ask 모드로 계획을 짜자
    • 디버깅할 때 바로 파일을 수정하게 하지 말고 테스트와 함께 원인을 파악하자
    • Cursor가 스스로 룰을 관리해서 점점 더 똑똑해지게 하자
    • 다중 탭과 Auto 옵션들을 이용해 생산성을 높이자
    • 하나의 채팅 세션을 오래 지속하지 말자
    • 유의미한 변경이 완료되면 반드시 커밋하자
    • Cursor에게 코드 구조를 알려주고, 파일 길이와 파일명을 조절하자
    • 파일이 길어지면 Cursor가 모듈화하게 하자
    • @을 써서 적극적으로 컨텍스트를 주입하자
    • 보안이 중요하다면 Privacy 모드를 켜자
    • 개발을 편하고 정확하게 만들어주는 MCP와 도구들을 사용하자
  • 큰 돈을 벌고 싶다면 특별한 지식을 갖추세요 [번역글]

    높은 보상을 원한다면 특별한 지식레버리지, 판단력 등 차별화된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입니다. 특별한 지식은 교육이나 훈련 대신, 개인의 타고난 성향호기심, 경험에서 비롯되며 자동화나 저임금 노동과 구별되는 핵심 경쟁력입니다. 진정한 몰입과 피드백을 통해 자신만의 역량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때, 테크 및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 Gemini CLI가 공개 되었습니다.

    Gemini를 터미널에서 바로 사용가능해졌습니다. 100만 토큰 컨텍스트 창을 넘어 대규모 코드베이스 쿼리 및 자동화된 운영 작업 수행이 가능합니다. Gemini의 멀티모달 기능을 활용해 PDF·스케치에서 새로운 앱을 생성가능하며, 도구와 MCP 서버를 이용하여 새로운 능력들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 Genkit - Google의 오픈소스 AI 풀스택 프레임워크

    Google Firebase 팀이 직접 개발·관리하는 풀스택 AI 애플리케이션 구축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양한 언어에서 일관된 API로 AI 기능을 개발 가능하며, 여러 AI 모델과 웹·모바일 프레임워크 연동, 구조화 출력 및 멀티모달 기능을 단일 플랫폼에서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CSS만으로 구현하는 Scroll-driven Animation 가이드

    CSS의 animation-timelineanimation-range 속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자바스크립트 없이 스크롤 동작이나 뷰포트 진입에 따라 인터랙티브한 모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최신 브라우저(Safari 26 beta 등)에서 지원이 확대되면서, scroll(), view() 타임라인 기반 애니메이션과 세밀한 구간 제어가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prefers-reduced-motion 미디어 쿼리를 통해 모션 접근성 요구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나의 윈도우 터미널 사용법 – tmux와 커스텀 워크플로우로 구현한 극강의 터미널 자동화

    tmux, nvim, ssh, 정규표현식 스크립트를 결합해 GUI 없이도 원격 파일 탐색·검색·수정이 가능한 효율적 터미널 워크플로우를 구축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 누가 최고의 CDO(Chief Data Officer)인가

    CDO 역할을 게임 방식으로 직접 체험합니다. 쏟아지는 메일속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통해 회사의 예산, 데이터 품질, 수익, 평판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GPU에 대한 기본 팩트들

    GPU 성능의 본질적 한계는 메모리 대역폭과 온칩 연산 능력의 불균형에서 기인합니다.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데이터 재사용 극대화(타일링) 및 중간 메모리 트래픽 최소화(Fusion) 가 필요하며, 고성능 GPU 연산 설계는 이론적 AI 향상, 하드웨어 특성 활용, 실제 데이터 배치 및 사이즈 대응 등 복합적인 고려를 해야합니다.

  • 리눅스 파이프는 실제로 얼마나 빠를까?

    Linux에서 Unix 파이프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파이프를 통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테스트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해가며 점진적으로 성능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고성능 서버, 커널 내부 동작, 메모리 관리 등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최적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를 위한 Go 가이드 (번역)

    5년간 프런트엔드백엔드를 모두 경험한 자바스크립트 개발자가 서버 사이드 개발을 위해 1년간 Go를 실무에 적용한 경험을 공유하는 가이드로 Go의 컴파일 및 실행, 패키지 및 타입 시스템, 포인터, 동시성 등 핵심 개념과 차별점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 AI가 Jira를 해킹하게 될 것임

    대부분의 조직은 산출물생산성 대시보드에 집중하여 엔지니어링의 핵심인 구조 관리시스템 맥락을 간과합니다. AI 코딩 도구저비용 인력만으로 본질적 복잡성을 해결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기술 부채핵심 인프라 붕괴 등의 위험이 커지므로, 결국 AI와 도구보다 상식과 본질적 이해가 진짜 경쟁력입니다.

  •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위한 새로운 로깅 접근법: LogTape

    LogTape는 기존 애플리케이션 중심 로깅의 한계를 극복하고, 라이브러리 제작자와 사용자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 도구는 제로 의존성, 조건부 활성화, TypeScript 우선 설계 등으로 성능과 보안, 호환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 GitHub CEO, AI 붐 속에서도 “수작업 코딩은 여전히 핵심”

    AI 도구 활용이 확산되는 가운데, GitHub CEO는 수작업 코딩 역량AI와 인간 개발자의 하이브리드 접근법이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무분별한 AI 코드 남용품질과 보안 리스크를 높일 수 있으며, AI 자동화와 개발자 전문성의 균형이 기술 생태계의 생산성 및 성장에 핵심입니다.

  • Google Workspace 사용자를 위한 Gemini CLI 설정 방법 (feat. CLAUDE.md 재사용)

    Gemini CLI를 Google Workspace 사용자가 쓰기 위한 인증 과정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CLAUDE.md를 GEMINI.md로 재사용하는 팁도 공유합니다.

  • Claude Code for VSCode 공개

    Anthropic이 VSCode용 Claude Code 확장을 공개했습니다. Claude Code가 별도 설치되어 있어야만 작동합니다.

  • OpenAI는 분당 요금을 청구하니, 오디오 속도를 올려서 시간 단축하기

    ffmpeg 등 오픈소스 도구로 오디오 파일을 2~3배 속도로 변환해 OpenAI API에 업로드하면 트랜스크립션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gpt-4o-transcribe 모델의 25분 입력 제한을 우회하며, 실제로 40분 오디오 기준 33% 비용 절감 효과를 입증하였습니다. 단, 4배속 이상부터는 정확도가 급격히 저하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경험의 설계자들: AI 시대의 소비자 경험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생성형 AI, AI-native 기업의 출현은 플랫폼 변화를 이끌며, 이제 기업들은 무마찰적이고 예측적인 대규모 개인화, 자동화 경험에 전략적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AI 시대는 접근성(인터넷), 즉시성(모바일) 을 넘어 노력 없는 경험(Effortlessness) 이 핵심이며, 진정한 승자는 AI를 비즈니스 모델 그 자체로 내재화하며, 자기 진화 시스템과 보이지 않는 혁신으로 소비자 가치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이 될 것입니다.

  • TPU 심층 분석

    TPU구글이 개발한 대규모 AI 학습 및 추론용 맞춤형 칩으로, GPU와는 다른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확장성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하며, 하드웨어(시스템 온칩 구성, 대형 온칩 메모리)와 소프트웨어(XLA 컴파일러)를 함께 설계합니다. TPU 시스템은 단일 칩에서 초대형 멀티팟까지 계층적으로 확장되어, 대규모 AI 모델 훈련과 효율적 자원 활용이 가능합니다.

  • Apptainer - 리눅스용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

    Apptainer는 단순함/속도/보안을 중심으로 설계된 오픈소스 컨테이너 플랫폼입니다. 불변 단일 파일 컨테이너 이미지 포맷, 그리고 암호화 및 서명 기능을 지원합니다.

  • uv와 PEP 723으로 Python 스크립트 활용하기

    uv 패키지 매니저PEP 723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면 별도의 환경 설정 없이 Python 스크립트를 손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uvx 기능은 Disposable 가상환경을 자동 생성해 의존성 관리패키지 설치 절차를 명령 한 줄로 처리합니다. 이에 따라 Python에서도 단일 실행 파일 수준의 간결한 스크립트 작성과 배포가 가능해졌습니다.

  • -2000줄의 코드

    1982년 애플 Lisa 소프트웨어 팀은 개발자별 코드 라인 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정책을 도입하였으나, Bill Atkinson은 불필요한 코드 제거와 Quickdraw 알고리즘 최적화로 약 2,000줄을 줄이고 성능을 6배 향상하였습니다. 그는 코드 수를 보고하는 관리 양식에 -2000을 적어 생산성 지표로서 코드 분량이 비효율적인 코드 작성을 유도할 수 있음을 사례로 보여주었습니다.

  • DeskHog - 개발자용 데스크탑 장난감

    오픈소스 3D 프린팅 미니 디바이스로 ESP32-S3, 컬러 TFT 디스플레이, WiFi 등으로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손바닥 크기의 게임기 및 데이터 터미널입니다.

  • Snap-QL - Postgres에 AI로 쿼리하는 데스크탑 앱

    "Cursor for Data".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안전하게 로컬 환경에서 탐색하며, AI 기반 자동 쿼리 생성 기능으로 복잡한 SQL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합니다.

  • Cobra - 강력한 Go 기반 CLI 앱 개발 라이브러리

    Go 언어 생태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CLI 앱 개발 라이브러리로, Kubernetes, Hugo, GitHub CLI 등 다양한 대표 프로젝트에서 채택하고 있습니다. 서브커맨드 구조 및 중첩 서브커맨드/계승 플래그도 지원하여 대형 앱에도 적합합니다. 자동 오타 추천, 쉘 자동완성 등도 제공합니다.

  • AI와 Big 5 회사들 현황 점검

    AI 시대의 본격 도래와 함께 Apple, Google, Meta, Microsoft, Amazon 등 빅파이브 기업의 전략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각 회사들의 전략을 살펴봅니다.

  • Claude, AI 앱을 구축하고 공유하는 기능 출시

    클로드 앱 내에서 직접 AI 기반 인터랙티브 앱(artifact)을 개발·호스팅·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개발자는 배포·스케일링 부담 없이 빠르게 반복 개발코드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합니다.

  • Cloudflare Containers - 'Earth' 리전으로 배포하는 서버리스 컨테이너 플랫폼

    Cloudflare는 Cloudflare Containers를 공개하며 한 번의 wrangler deploy로 전 세계 Earth 리전 배포와 자동 Pre-provisioning을 지원합니다.

  • Vertical AI의 통합 문제와 창업자들이 실제로 활용하는 해결 전략

    기존 레거시 ERP의 폐쇄성과 데이터 잠금이 산업별 AI SaaS 스타트업 확장에 큰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창업자들은 로그인 크리덴셜 활용, 파트너십, SMB 타겟팅, ERP 무관 AI, AI 표준 프레임워크 등 다양한 통합 전략을 시도중이며, 앞으로 AI 에이전트 프레임워크AI 기반 RPA/Operator 기술이 새로운 산업 데이터 연동 방식으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 Claude가 작은 가게를 운영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건 왜 중요한가?)

    Anthropic와 Andon Labs는 Claude Sonnet 3.7을 활용해 실제 무인 매점 운영 전체를 AI에게 맡기는 실험을 진행하며, AI가 제품 선정, 가격 결정, 재고 관리, 고객 소통 등의 핵심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게 하였습니다. 실험에서 Claude는 일부 작업을 의미 있게 수행하였지만, 수익 기회 포착 실패, 허위 정보 생성, 비효율적 재고 관리 등 여러 제한점도 드러나, 도구 보강과 장기 메모리, 구조화된 프롬프트 도입 필요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본 사례는 AI가 자율적으로 경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현실성 및 한계를 경험적으로 보여주어, 앞으로의 AI 중간관리자 역할과 노동 시장 변화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 Web Translator API - 브라우저에서 로컬 번역하기

    Translator API는 브라우저 내에서 AI 번역 모델을 직접 활용해 서버 요청 없이 실시간 로컬 번역을 구현합니다. 개발자는 번역 언어 지정문자열/스트림 번역 방식을 자유롭게 설정하며, 쿼터 사용량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크롬 v138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하므로, 실제 서비스 적용 전 브라우저 지원 현황을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 새로운 PNG 스펙 릴리즈

    HDR 지원, APNG(애니메이션), Exif 메타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통합한 새로운 PNG 파일 포맷 스펙이 약 20년 만에 개정되었습니다.

  • Typst로 박사 논문을 작성했어요

    Typst빠른 컴파일 속도, 직관적 문법, 강력한 스크립트 확장성 등으로 문서 작성의 효율성과 커스터마이징 자유도를 크게 높입니다. 하지만 서지 관리, 템플릿 다양성, LaTeX 변환 호환성 등에서 한계가 뚜렷하며, 학술 논문 협업·제출에는 여전히 LaTeX가 표준이긴 합니다. 프로그래밍적 커스터마이징에 중점을 둔 사용자에게는 매력적이나, 초기 생태계의 제약으로 실전 활용에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 Asterinas - 새로운 Linux-호환 커널 프로젝트

    Asterinas는 Rust 기반 Linux ABI 호환 커널로, 프레임커널 아키텍처를 통해 메모리 안전성신뢰 컴퓨팅 베이스(핵심 코드 최소화) 를 결합한 점이 특징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공식 검증(Verus 활용)하드웨어 격리, 컨테이너/클라우드 환경 중심의 설계로, OSTD 프레임워크 등 OS 개발 도구 생태계 확장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x86/RISC-V 아키텍처, Docker 지원, 중국 클라우드 시장을 중점 타깃으로 실용화 및 범용 OS로의 확장을 추진 중입니다.

  • MCP: (우연한) 범용 플러그인 시스템

    MCP(Model Context Protocol) 은 본래 AI 어시스턴트 연결 용도로 설계됐으나, 실제로는 모든 데이터 소스와 도구를 연결하는 범용 플러그인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NFT Base64 등 사례에서 보듯, 프로토콜은 처음 의도와 다르게 현실 데이터를 직접 저장·활용하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진화합니다. MCP 서버가 확대될수록 누구든 손쉽게 새로운 기능과 앱을 연결할 수 있어, 예상치 못한 네트워크 효과플러그인 생태계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입니다.


✓ 사내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GeekNews Bot을 추가해서 멤버들과 함께 새 글을 받아보세요
ㅤ→ Slack봇, 잔디봇, Teams봇, Discord봇, 구글 챗 봇, Swit 봇
긱뉴스는 RSS로도 구독 가능합니다
✓ 주위분들께 긱뉴스 위클리 - https://news.hada.io/weekly 뉴스레터를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