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건 크건 웹사이트를 운영하시는 분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 중의 하나는 장애입니다. 언제 어떻게 문제가 생길지 모르기에 다양한 도구들로 서비스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는데요. 좋은 기능을 가진 유료서비스들도 많지만 UptimeRobot 이나 StatusCake 같은 서비스들은 무료로 약 5분마다 Uptime 체크를 해주면서 이메일/슬랙/트위터 등으로 알림도 지원해줘서 많이들 사용합니다. 오픈소스인 Upptime 은 무료인 GitHub의 모든 기능을 잘 활용하고 있어서, GitHub Action 을 활용해서 사이트 접속 체크를 해주고, 문제 상황을 GitHub Issue 로 등록해서 트래킹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훌륭한 오픈소스 입니다. GitHub Pages 로 깔끔한 Status 페이지까지 만들어주고 있으니, 별도의 서비스 상태 페이지가 없으신 분들은 꼭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
웹서비스가 복잡해 지면서 검색 기능은 필수 요소이자 핵심 기능이 되었습니다. 요즘은 다양한 검색 전용 SaaS 및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나와서 이용하기도 합니다만, 자체 구축하는 것이 아무래도 서비스 특징에 맞는 검색을 구현하기에 좋겠죠. 자체 검색을 구현한다면 대부분 ElasticSearch 가 이제 거의 기본처럼 얘기가 되고 있는데요.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인 OKCupid가 자체 검색엔진으로 Vespa를 선택한 이유를 잘 정리해서 공개했습니다. Vespa 는 Yahoo에서 만들어서 공개한 오픈소스 검색엔진으로 "Yahoo가 가진 핵심 기술 중에 절대로 공개하지 않을 것 중에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것"이라는 얘기가 있었던 제품입니다. 검색 인프라를 구축할 생각이시라면 한번 검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긱뉴스에 올라오는 뉴스 중에 특정 제품군들을 뽑아보면 아마도 가장 많은 것이 노트 작성 도구일 것 같습니다. 에버노트를 시작으로 Notion 이나 Roam 을 비롯한 수많은 노트 SaaS 들이 나오고, 여러 가지 형태의 오픈 소스들도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Dendron은 개발자들이 많이 쓰는 VSCode 위에 확장을 설치해서 태깅, 그래프 보기, 백링크 등의 기능으로 Zettelkasten을 가능하게 해주는 노트작성 도구입니다. VSCode 사용자 분들은 한번 설치해서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요즘 현대적인 노트 도구의 특징 중 중요한 건 Backlink 기능인 것 같습니다. 각각의 노트간에 연결되고, 다시 어떤 노트들이 이 노트에 링크되었나를 한번에 볼 수 있게 하는 건데요. 사용하다 보면 이게 꽤 쓸모가 많아서, 윈도우/맥/모바일을 다 지원하면서도 백링크를 쓰기 편하게 구현한 도구가 나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버노트가 백링크를 만들어주면 딱 좋겠는데 왜 안 만들까요!
✓ 사내에서 슬랙을 쓰신다면 뉴스채널에
GeekNews SlackBot 을 추가하여 편하게 새 글을 받아보시고, 멤버들에게도 공유해주세요.
✓ 주위분들께
긱뉴스 위클리 - https://news.hada.io/weekly 를 추천해 주세요.
✓
Twitter ,
Facebook 에서도 긱뉴스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긱뉴스를 팟캐스트로 들어보세요 :
애플,
유튜브,
팟티,
팟빵,
구글,
네이버 오디오클립
upptime - GitHub로 자동 운영되는 오픈소스 업타임 모니터 |
| GitHub Actions로 사이트 모니터링
- 웹사이트가 잘 동작하는지 5분마다 확인
- 응답시간이 6시간마다 확인되고 git 에 커밋됨
- 응답시간 그래프는 매일 자동 생성
GitHub Issues로 사고 리포트
- 엔드포인트가 다운되면 이슈를 생성
- 팀의 멤버들이 이슈에 자동 어사인
- 사고 리포트는 이슈에 코멘트로 작성
- 사이트가 복원되면 이슈가 자동 클로즈
- 변경시마다 슬랙으로 알림 전송
GitHub Pages를 Status 웹사이트로 사용
- Svelte 와 Sapper 로 만들어진, 간단하고 멋진 PWA 사이트를 생성
- 해당 Repo 에서 GitHub API 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표시 |
|
Vespa vs. ElasticSearch |
| - OkCupid가 오픈소스 검색엔진으로 Vespa를 선택한 이유
- 데이팅 추천상대를 실시간 랭킹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기존의 매칭시스템은 계속 바뀌는 사용자의 상태를 빠르게 반영이 어려움
- ElasticSearch는 인메모리 부분 업데이트에 대한 지원이 없음
ㅤ→ 문서는 대부분 정적이지만, 사용자의 정보(좋아요,사람과의 연결/패스,메시징)은 동적으로 계속 바뀜
- Vespa : 빅데이타를 위한 오픈소스 검색엔진 ( 데이터 분석보다는 서빙하는 목적으로 최적화 )
ㅤ→ 전체 문서를 재인덱싱할 필요없이 인메모리 부분 업데이트 지원 (노드당 1초에 40~50K 업데이트 가능 )
ㅤ→ 유연한 랭킹 프레임워크를 재공해서 질의할때 처리가능
ㅤ→ TensorFlow 등의 머신러닝 모델과 직접 연동
ㅤ→ REST 호출시 YQL(Yahoo Query Language) 를 사용한 질의 가능
ㅤ→ Java 컴포넌트를 이용해서 로직 커스터마이즈 가능
ㅤ→ 확장성에 있어서는 샤드에 대한 생각을 할 필요가 없음. 노드를 추가/제거할때마다 데이터가 자동으로 복구되고 복제본에서 재배포됨
- Vespa가 OkCupid 의 내부에 더 잘맞음
ㅤ→ OkCupid 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서 사람을 매칭
ㅤ→ 필터와 정렬기준이 각각 100개가 넘으며 계속 추가므로 이런 워크플로우 지원에 Vespa가 적합
ㅤ→ 데이터 쓰기 및 쿼리도 기존 매칭시스템과 유사
ㅤ→ 랭킹 프렘임워크가 훨씬 유연하고 직관적임
ㅤ→ ElasticSearch 의 이상한 쿼리구조 보다, YQL의 표현능력이 더 우수
ㅤ→ 자동 데이터 배포 기능이 작은 팀에 적합 |
|
Dendron - 계층적 노트 작성 도구 오픈소스 |
| - VSCode 기반의 로컬위주,마크다운기반 노트툴
- 확장 설치후 웍스페이스가 내 노트 저장소로 동작
- 태깅,백링크,그래프보기 지원
- 많은 노트가 있어도 쉽게 찾을수 있도록 지원 : 계층구조, 스키마, 경로기반 검색
- Ad-Hoc으로 관리하거나, Zettelkasten 이나 PARA(Projects,Areas,Resources,Archives) 방식에도 적용 가능
|
|
B2B SaaS 가격책정 하는 법 |
| - 600+개 기업을 분석한 통계를 통해 설명
- 가격 페이지의 중요성
- 가격을 바로 보여줘야 할까? → 버티컬별로 다름
- 적절한 가격플랜의 갯수는? 3>4>2>5>1
- 커스텀 플랜이 필요할까? 대상 기업의 크기, 전체 수익에 따라서 겠지만, 주로 큰 회사들이 적용
- 무료 평가판? 80%가 제공. 결제정보(신용카드 등) 입력없이 사용하게 하는 경우는 40% 미만
ㅤ→ 특정 카테고리에서는 평가판 없는 경우가 많음 : 개발&인프라, 인사관리, 지불 및 재무 관련등
ㅤ→ 통신 및 판매 분야에서는 결제정보 입력없이 평가판 사용하게 해주는 곳도 많음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빠져나가기 힘들기 때문)
- 월 단위 결제 / 년 단위 결제
ㅤ→ 월 결제를 훨씬 많이 사용 (80%)
ㅤ→ 놀랍게도 40%의 회사가 연간 결제 플랜을 지원하지 않음
- Freemium 의 필요성 ?
ㅤ→ "소비가 증가"하는 제품에 적합 : 특히 개발 및 인프라스트럭쳐 관련 제품들
- Upselling : Net Negative Chrun
ㅤ→ Churn Rate를 마이너스로 만들어서 리텐션을 + 로 만들기 * 각 항목에 대해서 회사들을 예제로 들고 있으니 원문을 꼭 보시기 바랍니다. |
|
AI 학습용 텍스트 데이터 모음 |
| OpenAI의 GPT-3가 사용했던 데이터와 비슷한 자료들
- books3.tar.gz : 37GB, 약 197,000권의 책을 txt로 추출한 것
- github.tar.gz : 106G, 깃헙의 여러 repo 들을 모은 것
- stackexchange_dataset.tar : 34G, 스택익스체인지의 질답 자료들
그외 다양한 자료들 다수 |
|
Lisp 구문에 대한 직관 |
| Lisp의 명령 구조는 특이한데요. 여타 언어들은
`func ( param1 , param2 )`
이런 명령 구조를 가지지만. Lisp는
`( func1 param1 param2 )`
라는 명령 구조를 가집니다.
이런 명령 구조를 단순한 스타일이구나. 정도로만 생각했었는데요. 위 글은 해당 명령 구조를 유용하게 사용하여 실용적인 구조를 만들 수 있는지 소개합니다. |
|
기자들이 Youtube-dl 을 사용하는 방식 |
| RIAA에 의해서 GitHub에서 내려진 Youtube-dl 도구는 기자들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음.
테러/살인 관련 증거가 되는 동영상을 지워지기 전에 확보하거나,
심도 깊은 조사를 위해서 몇백번씩 느리게/확대해서/반복적으로/프레임단위로 봐야할 때 비디오를 고화질로 로컬에 다운받는 것은 중요함.
Youtube-dl 의 공익적인 목적을 고려했을때, 이를 제거하려는 RIAA의 노력은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수 있음.
언론자유재단(Freedom of the Press Foundation)은 RIAA가 이 위협에 대해서 재고하고, GitHub가 이 계정을 완전히 복구하길 촉구함. |
|
Google Appsheet, 구글 Workspace의 공식 No-Code 개발도구로 포함 |
| - 올해초 인수한 AppSheet은 코드 작성없이 모바일 대응 앱을 개발하는 플랫폼
- 구글 Sheets/Docs/Forms, Drive, Meet, 캘린더, 지도등과 통합하여 프로세스를 자동화
- 구글/Office365/Salesforce 등의 인증 연동 가능
- 다양한 액션,워크플로우,보고서 및 이메일/SMS/푸쉬 알림 지원
- 사진캡쳐,위치기록,바코드스캔,사인받기 등의 기능도 제공
- 산업분야/용도별 다양한 샘플 앱 제공(약 88+개) |
|
teler - 실시간 HTTP 침입 탐지 오픈소스 |
| - 웹서버등의 로그 분석을 통해서 위협을 탐지하는 터미널 도구
- Apache,Nginx,S3,ELB,CloudFront 로그등에 적용 가능
- 기본 탐지
ㅤ→ 일반 Web Attack
ㅤ→ Bad IP Address / Referer / Crawler
ㅤ→ Directory Bruteforce
- 알림 기능
ㅤ→ Slack / Telegram / Discord(예정) |
|
AWS, 멀티클라우드 지원을 위해 관리도구 개선 예정 |
| 정보에 의하면 관리도구 내에서 Azure 와 Google Cloud 등의 컴퓨팅 리소스를 같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 중이라고
아마도 연말에 있을 ReInvent 온라인 행사에서 발표할 것으로 예상
기존에 클라우드 서비스는 자신들이 전부라는 관점을 탈피한 것으로 보인다고 |
|
핸즈프리 코딩 : 받아쓰기와 아이트래킹으로 코딩하기 |
| 터널 증후군때문에 마우스/키보드를 사용 못하게 된 개발자의 개발 워크플로우
- Talon Voice 로 음성 코딩
ㅤ→ 알파벳은 a=air, b=bat..
ㅤ→ 숫자는 한자씩
ㅤ→ 단축어 지원. 숫자를 서수로 부르면 반복 (ninth = 9회 반복)
ㅤ→ 포매터 지원. camel / snake 등
ㅤ→ 기본은 명령어 모드이고, API로 자신의 명령어 생성 가능
ㅤ→ phones 명령으로 발음이 비슷한 단어중 선택가능 site/sight/cite
- tobii 5 로 Eye-Tracking
ㅤ→ 모니터에 붙이는 적외선 센서
ㅤ→ 눈으로 원하는 곳을 본후에 입으로 "뽑" 이라고 발음 해서 줌인 하고 한번더 "뽑" 하면 클릭
- 언젠가 뉴럴링크가 상용화 되면 생각을 코드로 바꿀수 있지 않을까?
- 현재는 원래 속도의 50% 정도
ㅤ→ vim 으로 바꾸면 더 효율적이라는 얘기를 들어서 고려중 |
|
Adobe Stock, 무료 사진/벡터/일러스트 7만개 공개 |
| - 고해상도의 사진, 벡터, 일러스트, 템플릿, 3D 애셋, 비디오를 포함
- 유료 라이센스 구매한 것과 마찬가지로 개인/사업/유료등 어떤 것에도 무료로 사용가능
- Adobe가 직접 작가들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한 것
|
|
Pyston v2 - 20% 빠른 파이썬 |
| - Python 3.8 대비 20% 정도 빠른 파이썬 호환 구현체
ㅤ→ DynASM을 이용한 아주 적은 오버헤드 JIT 및 여러 최적화 적용
ㅤ→ django 및 flask 등을 이용해서 벤치마크
- 원래 드롭박스에서 개발했던 v1 은 오픈소스지만, 아예 새로 구현한 v2는 아직 클로즈드(차후에 오픈예정)
- Ubuntu 18/20 용 패키지 제공 |
|
ThoughtWorks Radar 23호 발간 |
| 테크닉/도구/플랫폼/개발언어 및 프레임워크 분야의
최신 트렌드들을 Hold/Assess/Trial/Adopt 4단계로 시각화 및 설명하는게 특징
이번호 테마
- GraphQL Grandiosity : 번성중이지만 주의 필요
- The Struggle with the Browser Continues : 성능과 호환성을 위한 수많은 노력들
- Visualize All the Things : 혁신적인 시각화 도구들
- Adolescence of Infrastructure as Code : IaC의 급성장
- Democratizing Programming : NoCode/LowCode 도구가 좀 더 프로덕션 환경으로
|
|
Grafana Tempo - 대규모 분산 추적 백엔드 공개 |
| - 큰 규모에도 운영이 쉽고 비용은 저렴하도록 만들어진 오픈 소스
- S3/GCS 같은 객체 저장소만 있으면 되고, Trace ID 를 빠르게 조회가능하도록 설계.
- Grafana, Prometheus, Loki 와 연동
- Jaeger, Zipkin, OpenCensus, OpenTelemetry 프로토콜과 같이 사용가능
|
|
Wikimedia, GitLab 으로 전환 |
| - 기존 Gerrit 에서 셀프호스트하는 GitLab Community Edition 으로 변경
- 코드리뷰 시스템인 Gerrit에 대한 불만족 : 새 Repo생성 어렵고, CI연동 불편, Pull-Request 기반 워크플로우로가 아님
- GitHub 은 요구사항에 잘 맞지 않았음 : 메타데이타, 개인정보 보호정책, 데이터보존, 백업, 데이터 무결성 검사들에 대한 통제권이 거의 없음 |
|
AI에서 얼굴인식까지: 중국은 어떻게 신기술의 글로벌 표준을 선점하려 하는가? [번역글] |
| 중국은 미국과 경쟁하기 위해 중국 중심의 미래 신산업 표준을 정립하려 합니다.
표준은 현대 기술의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실체가 눈에 명확히 보이지 않습니다.
과거 냉전의 핵심이 핵무기 경쟁이었다면, 앞으로 미국, 중국, 그리고 EU 사이의 경쟁은 주요 산업의 규정과 표준을 둘러싸고 벌어질 것입니다.
- 표준 전쟁을 위한 만반의 태세를 갖추다 : “표준을 장악하는 자가 시장을 지배한다.”
- 군사 부문에 민간 기술을 활용하려는 중국
- 디지털 실크로드
- 표준 관련 국제기구에서 중국의 영향력도 높아져 |
|
TimescaleDB 2.0 공개 |
| - Time-series 데이터를 위한 멀티노드, 페타바이트 지원 RDB (PostgreSQL 기반)
- Timescale License로 완전히 Free
ㅤ→ as-a-service 는 불가
- Docker 또는 Ubuntu/Debian/Centos 용 설치 바이너리 제공
- Time-series Data(시계열 데이터)란 ?
A가 B에게 돈을 보낸다면 양쪽에서 숫자가 빠지고 늘어난 것만 기록하면 되지만,
시계열 데이터는 데이터의 변경을 UPDATE가 아닌 INSERT로 추적하는 데이터 셋.
이 변경 정보를 통해서 이 둘이 어떤 관계가 있거나 둘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게 됨.
시계열 데이터는 금융,제조,전력,유틸리티등 산업에 주로 적용되었지만
지난 몇년간 모니터링, IoT, 암호화폐, 게임, 머신러닝 등의 성장으로 폭발적으로 쓰임새가 증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해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데이터
- TimescaleDB 는 PostgreSQL 기반에서 시계열 워크로드를 위해 특별히 설계됨
- 94+% 이상의 기본압축을 지원하고, PostgreSQL/InfluxDB/Cassandra/MongoDB 보다 10~100배 빠른 쿼리 가능
- 멀티노드 구현을 위해서 분산 Hypertable 이라는 가상 테이블 기법을 도입(여러노드에 자동으로 파티셔닝) |
|
CSS Spider - CSS 즉시 편집 가능한 크롬 확장 |
| - 마우스에 따라다니는 작은 팝업에서 CSS 수정하고 바로 적용 하면서 테스트 가능
- CodePen 으로 해당 엘리먼트/CSS 보내서 편집하기 지원
- 해당 개체의 CSS만 클립보드로 복사 가능
|
|
Wunderpresentation - Notion 문서를 슬라이드로 만들기 |
| - 노션 / 마크다운 / 트렐로 등 구조화된 텍스트에서 슬라이드를 자동 생성하는 도구
- 모든 스크린을 지원하게 자동 크기 조정
- 터치/키보드 네비게이션 지원
- 다크/라이트 테마
- 웹사이트에 프레임으로 임베드 가능
- Figma 및 REST API 도 지원 예정
- 기능은 전체 무료이고, 차후에 브랜딩등의 기능은 유료로 제공 예정
|
|
모질라, 구글 반독점 소송에 우려 제기 |
| - 미국 정부와 구글의 반독점 소송에 대한 모질라의 의견
- 구글과 모질라의 기본 검색엔진 계약이 소송 중 독점 사례로 제시됨
- 그러나 모질라는 이런 사례가 부적절한 예시라고 밝힘
- 이는 이런 검색엔진 계약이 비주류 브라우저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이기 때문
- 소송 결과로 이런 계약을 금지할 경우, 비주류 브라우저 개발사의 주요 수익원이 사라지고,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선택권이 줄어 웹 생태계는 악화될 것을 우려 |
|
페이스북, 클라우드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 출시 |
| - 콘솔과 PC게임을 대체하지 않는 클라우드 게이밍 자체로 성장할 것
- 완전 무료 게임들에 집중하고 차후에 시스템 인프라를 개선하여 다양한/모든 유형의 게임을 제공할 것. 그때까지는 무료
- 기존 HTML5 인스턴트 게임과 같은 방식으로 즐겨서 구별없이 플레이
- iOS용은 출시계획 없음
- 클라우드 스트리밍 게임은 두가지 무료포맷으로 출시
ㅤ→ 새로운 Play 랜딩 페이지에 있는 완전히 무료인 풀버전의 모바일 게임
ㅤ→ Facebook에서 게임을 즉시 플레이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레이어블 광고
- 첫주 제공 게임
ㅤ→ Gameloft의 Asphalt 9: Legends
ㅤ→ Moonton의 Mobile Legends: Adventure
ㅤ→ Concrete Software, Inc.의 PGA TOUR Golf Shootout
ㅤ→ Qublix Games의 Solitaire: Arthur’s Tale
ㅤ→ 앞으로 몇 주 이내에 Red Bull의 Dirt Bike Unchained 추가 제공
- 미국부터 제공 시작 하고 확대 예정 |
|
Next.js 10 릴리즈 |
| - 자체 이미지 컴포넌트 및 자동 최적화 기능 추가
- Routing의 i18n 지원 : 서브패스 및 도메인
- Next.js Analytics 추가 : 지속적인 자체 성능 측정 가능
- Next.js Commerce : 이커머스 사이트를 위한 All-in-one 스타터 킷
- React 17 지원
- getStaticProps, getServerSideProps 편집시 빠른 리프레쉬 지원
- MDX 콘텐츠 편집시도 빠른 리프레쉬 지원
- 써드파티 React 컴포넌트의 CSS 임포트 지원
- href 자동 Resolving
- @next/codemod CLI 지원
- getStaticPaths 에 대한 blocking fallback 지원 |
|
AMD, Xilinx 를 39조원에 인수 |
| - Xilinx는 FPGA 시장 점유율 50%로 1등 (연매출 3조, 4800+개의 특허)
ㅤ→ FPGA 장점 : 유연성, 고성능, 전력 및 비용 효율성 으로 AI,ML,5G,데이터센터에 활용
- 이로써 AMD는 CPU,GPU 에 Xilinx의 FPGA 및 Adaptive SOC 까지 갖춤
- 데이터센터, 게임, PC, 통신, 자동차, 항공우주 까지 사업포트폴리오가 확대되어 인텔과 정면 승부
|
|
eBPF Summit Recap |
| - 2일간 온라인 진행된 eBPF 서밋의 모든 발표 정리
- 약 3시간 분량짜리 비디오 2개
- 키노트 : A Beginner’s Guide to eBPF Programming
- 5분짜리 라이트닝 토크가 27개인데 Adobe,MS,Arm,Facebook,Cloudflare,Cisco,Gitlab,Line 등 꽤 많은 회사들에서 발표를 하고 있어서 기업들이 eBPF를 어떤 용도로 실무에 적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좋습니다. |
|
Babylon.js - 오픈소스 실시간 3D 엔진 |
| - 웹기술로 3D 게임개발 가능한 고성능 렌더링 엔진
- WebGL 1.0/2.0, WebGPU 지원
- 물리,충돌 체크엔진
- Babylon Native : 네이티브 컴파일 가능 (윈/DirectX, iOS&Mac/Metal, Android/OpenGL, Vulkan지원예정)
- Node Material Editor : 코딩없이 커스텀 쉐이더 적용한 매터리얼을 만드는 편집기
- Navigation Mesh : AI를 이용한 경로기반 객체 이동
- WebXR (AR/VR) 지원
- 8th Wall, Blender, Unity, 3DS Max, Maya, Clara.io 연동 |
|
Insider가 Morning Brew 뉴스레터를 850억원에 인수 |
| - 공동창업자 및 60명의 직원과 서비스는 그대로 유지
- 연매출 240억원, 70억원정도의 수익이 나는 회사로 2018년 이후로 계속 흑자
- 5개의 이메일 뉴스레터를 서비스하며 총 30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
ㅤ→ Morning Brew : 일반 비즈니스 관련 250만명 구독자
ㅤ→ Retail, Emerging Tech, Marketing 및 Essentials(라이프 스타일)
ㅤ→ 주 2~3회 발행, 구독자들 평균 연령은 29세
- 공동창업자들은 27/26세로 2017년에 서비스를 시작 |
|
Cloakist - SaaS의 커스텀도메인을 지원해주는 도구 |
| - Medium,Notion,Substack,HubSpot 등 커스텀 도메인을 지원 안하는 서비스에 자신의 도메인으로 연결해주는 SaaS
- Pro 버전은 커스텀 브랜딩(회사 로고)를 마음대로 추가가능하고, 커스텀 스타일과 스크립트도 추가 가능. SEO도 지원
- 지원서비스 : Adobe Spark, Airtable, Substack, ClickUp, Trello, Confluence, Calendly, JotForm 등
|
|
Zola - 정적 웹사이트 엔진 |
| - Rust로 만들어진 빠르고 의존성없는 실행파일 하나로 SaaS, 구문강조등 모든 기능을 처리
- 강화된 마크다운
ㅤ→ Shortcodes : 워드프레스의 기능
ㅤ→ 내부링크 및 딥링킹 지원
- Netlify의 Tera 템플릿 엔진 사용
ㅤ→ Jinja2 및 Djago와 비슷
- 이미지 리사이징 기능 내장
- Table of Contents, Alias, Pagination, Taxonomies, Breadcrumbs
- 검색을 위한 인덱스 생성(Elasticlunr.js 등을 이용한 검색 기능 구현시 사용)
- Netlify , Vercel 등 스태틱 호스팅 서비스 지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