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P by neo 1일전 | ★ favorite | 댓글 2개
  • 디자이너의 영향력이 떨어지는 이유를 조직 맥락과 관계 형성 실패라는 관점에서 정리한 글로, 기술적 실력보다 태도와 행동 패턴이 더 큰 한계를 만든다는 점을 강조
  • 주변 환경을 읽지 못해 조직이 실제로 원하는 것과 본인의 야망이 어긋나는 상황에 스스로 갇히는 경향이 반복됨
  • 타인을 판단하고 고립되는 태도가 쌓여 아이디어를 설득할 수 없는 구조를 만드는 점이 주요 문제
  •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변화할 수 있다는 감각을 잃어버리는 학습된 무기력과 성장 의지를 잃은 태도가 경력을 갉아먹는 요소
  • 디자이너가 소수 직군이라는 특성상, 신뢰·협업·호기심 같은 기본 역량이 결여되면 조직에서 더욱 쉽게 주변화되는 구조적 취약성이 커짐

  • 이전에 소개된 최고의 디자이너들이 가진 습관들 이 큰 반응을 얻었으며, 이번 글은 그 후속편

    최고의 디자이너는 효과적이며, 자기인식·사회성·실용성이 높아 더 나은 결정을 이끌어냄
    재능은 집착할 만한 요소처럼 보이지만, 결정의 질을 높이지 못한다면 가치가 거의 없음
    진짜 창의적 재능이라면 아이디어를 사람들이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방식도 함께 찾아야 함

  • 반대로 최악의 디자이너는 비효과적인 습관을 지님. 그들의 제안은 무시되고, 사기가 떨어지며, 스스로 변화시킬 힘이 없다고 느끼게 됨

최악의 디자이너의 습관

  • 방을 읽지 못함 (Reading the room 실패)

    • 클라이언트의 재정 상황, 조직의 리스크 선호도, 예산 한계 등 현실적 조건을 고려하지 않음
      • 조직이 자신에게 무엇을 기대하는지 파악하지 못한 채 개인적 야망에 머무름
      • 권력 구조와 프로젝트 진행 방식, 동료들의 동기 등을 이해하지 못해 영향력을 잃음
    • 결과적으로 주장이 무시되고, 아이디어가 채택되지 않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함
  • 잘난 척과 평가적 태도

    • 디자인 지식을 모르는 사람을 가르치려 들거나 깎아내리는 태도로 관계를 망침
      • 타인을 판단하는 습관은 신뢰를 떨어뜨리고 협업 의지를 약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함
      • 일부 디자이너가 ‘아티스트 자아’를 조직 안에서 그대로 투영해 스스로 고립됨
    • 유명 예술가처럼 ‘까다로운 사람’으로 대우받을 수 있는 환경이 아님에도 그러한 태도를 지속함
  • 수동적 고립

    • 직장은 사회적 네트워크이며, 설득력이 필요한 역할임에도 혼자 일하며 알아주길 바라는 판타지에 머무름
      • “좋은 아이디어면 알아서 빛난다”는 비현실적 기대를 가짐
      •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지 않고 타인을 설득하는 노력을 회피함
    • Dieter Rams나 Paula Scher 같은 거장도 조직 내 설득 과정을 거쳤음
  • 학습된 무기력

    • 조직의 문제(독성 리더십, 무능한 동료, 차별 문화 등)를 정확히 보지만 불만만 말하고 행동하지 않음
      • 현실이 불공정하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바꿀 수 있는 지점을 찾지 않음
      • 바꿀 수 없는 문제(‘중력 문제’)와 바꿀 수 있는 문제를 구분하지 못함
    • 좌절을 재구성해 액션으로 바꾸는 능력이 부족해, 점차 agency를 잃고 소진됨
  • 호기심 부족

    • 디자이너 커뮤니티 안에서만 공부하며 업계가 반복해 온 오류를 그대로 반복
      • 디자인 관련 책과 정보만 소비해 시야가 좁아짐
      • 새로운 질문을 하지 않고, 오래된 불만과 핑계를 되풀이함
    • 자신의 블라인드 스폿을 인정하지 않고 변화를 거부해 성장 가능성을 스스로 차단함

디자이너 직군의 구조적 맥락

  • 디자이너는 대부분 조직 내에서 소수 직군이며, 이미 영향력이 약한 위치에 있음
    • 따라서 신뢰성·협업 능력·시간 약속 등 기본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요도가 더욱 커짐
    • 신뢰를 잃을 경우 “무시해도 되는 역할”로 쉽게 분류되는 위험성이 큼
  • 기술과 재능이 본질적 문제는 아님
  • 대부분의 조직에서 평범한 실력의 디자이너도 충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음
    • 문제는 ‘영향력을 잃는 습관’이며, 스킬 자체가 한계를 만드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음

Reading the room는 보통 분위기를 파악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본문의 맥락을 고려하면 '현실적인 요건들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어서.
탁상공론이나 뜬구름 잡는다는 표현도 좋을 것 같고,
사람의 특징을 나열하는 중이니 공상주의자 같은 표현도 좋은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