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P by neo 9일전 | ★ favorite | 댓글 15개

AI가 프로그래머를 대체할 수 있을까?

  • 과거에는 프로그래머를 존중하던 기술 업계가 이제는 "AI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착각"
  • AI가 프로그래밍을 대신할 수 있다고 믿고 "비싼 프로그래머들을 해고하는 움직임"을 보임
  • 그러나 과거에도 엔지니어를 대량 해고한 기업들은 제품 실패와 소송, 절박한 재고용으로 끝났던 것을 기억해야 함

문제 1: 새로운 세대의 프로그래머는 준비가 덜 되어 있음

  • 전통적으로 신입 개발자는 "실제 코드 수정, 시스템 분석, 문제 해결"을 통해 성장
  • 하지만 AI가 코드 생성을 맡으면 기업들은 신입 개발자를 훈련할 이유가 없어짐
  • 결과적으로 다음 세대 프로그래머들은:
    • 성능 최적화, 디버깅,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지 못함
    • AI가 틀릴 때 이를 수정할 방법을 모름
    • 실제 엔지니어라기보다 AI 운영자에 가까워짐
  • 미래에는 진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엔지니어가 부족한 사태 발생

문제 2: 프로그래머를 AI로 대체한 회사는 곧 후회할 것임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해고하고 AI 생성 코드를 사용하는 회사는 실제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괜찮을 것임
  • 그러나 기업이 AI 코드 생성에 의존하면 보안 취약점, 버그, 유지보수 문제 발생
  • 예: 금융 기업이 AI가 생성한 코드로 시스템을 운영할 경우
    • 6개월 후 데이터 유출 및 보안 문제 발생
    • AI는 문제를 해결할 책임이 없으며, 그저 새로운 코드를 생성할 뿐
    • 개발자를 다시 채용하려 해도 이미 떠나고 없음

문제 3: 진지한 프로그래머는 더욱 희귀하고 비싸질 것임

  • 기술을 깊이 이해하는 프로그래머는 AI가 대체할 수 없는 존재임. 이들은 곧 매우 비싸질 것임
  • AI가 모든 것을 해결할 거라 믿은 기업은 결국 개발자 채용 경쟁에서 밀릴 것
  • 진정한 실력 있는 개발자들은:
    •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운영하거나, 컨설팅으로 높은 수익을 올리거나, 전문 분야에 집중
    • 기업이 다시 고용하려 해도 높은 연봉을 요구하며 쉽게 복귀하지 않을 것
    • 남아 있는 소수의 고급 개발자는 초고가 인력을 형성

결론: 기술 업계는 큰 실수를 저지르고 있음

  • AI가 프로그래머를 대체할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혁신을 유지하는 생태계를 죽이고 있음
  • 곧 이런 세상에 들어가게 될 것:
    • 주니어 프로그래머는 훈련이 부족하고 AI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될 것
    • 엔지니어를 해고한 기업들은 AI가 생성한 코드가 남긴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일 것
    • 최고의 프로그래머는 매우 희귀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장 부유한 회사에서만 고용이 가능
  • 하지만 기술기업들이 스스로 무덤을 파고 싶다면 누가 막을수 있을까?
    • 이제 남은 것은 기업들이 스스로 무너지는 모습을 팝콘을 먹으며 구경하는 일뿐
  • 행운을 빌어요, 기술 업계. 여러분에게 곧 필요해 질 테니까.

비유가 적절한지는 모르겠지만, chatGPT와 대화하면서 코딩하는 내내 이 채팅이 마치 운전할 때 사용하는 내비게이션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에 T맵 없이 장거리 운전해야 한다고 하면 솔직히 겁도 나고, 가능할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거든요. 그만큼 많이 의존하고 있고 운전에 있어서 정확한 내비는 획기적인 발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내비게이션이 있다고 해서 모두가 운전할 수 있는 건 아니겠죠. AI가 운전자까지 대체할 수 있냐 없냐의 시기이긴 하지만, 여전히 운전자는 필요하고, 운전을 위한 면허도 필요하니까요. 그리고 막말로 내비가 없어도 운전은 가능하구요.

AI는 그럴싸하게 코드를 알려주고 모르는 개념은 비유를 들어서 설명도 해줄 수 있지만, 그걸 이해하고 실제 코드와 제품을 개발해야 하는 주체는 어디까지나 사람이어야 합니다. 서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지 사람을 대체하는 개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자율 운전 차량이 등장하고 있죠.

비유에서 와닿는 지점이 있네요. 제가 느끼기로는 네비게이션이나 자율주행이 있어도 결국 운전석에 앉는 사람은 운전을 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하는.

IDE로 커서를 쓰면서 커서 없으면 어떡하지 라고 생각했다가도 커서가 장애가 났을 때 의외로 운전이 되는 모습을 보면서 없어도 되네 라고 생각했던거도 그렇고, "대체" 라는 관점에서 보면 괜찮은 비유인것같아요.

위 글은 AI코드작성으로 보안 취약점, 버그, 유지보수 문제를 거론했는데, 그런 문제까지 별도로 검사하고 수정보완까지 수행하는 AI가 나오는건 시간문제 아닐까 싶네요.

저는 20년 뒤에도 지금처럼 신뢰할 수 없는 AI인 채로 남아있을까? 하는 걱정이 듭니다. 20년이면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고, 아주 뛰어난 하드웨어 기술이 만들어지고, 그게 실제로 구현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라고 생각해요.

지금 30대 이상의 분들은 20년 뒤 완??벽에 가까운 AI가 나오더라도 충분한 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적, 금전적 여유가 있겠지만...
지금 10-20대의 분들은 이제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를 쌓아나가고, 학업과 생활 등으로 쌓인 부채를 해결하고 자산의 축적을 시작해나갈 시점에 직격탄을 맞게 되는게 아닐지...

물론 AI가 아닌 다른 신기술들도 동일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지금껏 있었던 직업 소멸의 경우보다 개발 직군은 더 높은 교육 비용을 들여야 하기에 더 리스크가 큰 것 같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지금 우리는 당장 급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죠?ㅎㅎ;;;;;

프로그래머 당사자는 ai가 프로그래머를 대체하기 어렵다는 걸 알지만, "고용"하는 사람들은 그 사실을 모르는게 문제겠죠

실제로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다 말들은 하지만, 뭐하나 제대로 하는 게 없긴 해요. 눈에 띄는 성과는 효율의 측면에서 좋아졌다는 것 외에, 아직 믿을만한 벤치 마크도 없는데, 다들 몇% 좋아졌다는 말만 믿기에는, 실제로 써보면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았어서요. 테스트 셋 이라는게 무의미할정도로, 이미 나와있는 자료들로 학습하고 테스트하는거라, 학습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돌발적인 이슈에 얼마만큼 대처가 가능하냐가 관건이지 싶습니다.

상당히 흥미로운 견해라고 생각하고, 많은 부분이 공감가는 글이었습니다. 저도 어느 정도 기간은 해당 글에서 언급한 측면이 강하게 작동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어느 정도 기간이란 것이 오랫동안 지속될거 같진 않다는 생각도 듭니다.

ChatGPT 출시로부터 겨우 2년 2개월 지났습니다. '세종대왕 맥북 던짐 사건'이 밈 처럼 퍼지며 우습게 여겨지던 기술이 2년 조금 넘어 여기까지 왔습니다. 앞으로의 발전이 지금까지와 같은폭 일 것이란 보장은 없지만, 대체까지 길어봐야 5년 봅니다. 이것도 너무 길게 본것 같아요.

여기서 말하는 고급 개발자가 되려고 노력해야겠군요.. 허허..

그런데, 과연 내가 저기서 말하는 고급개발자라고 할수 있을까 싶긴하네요.

실제 엔지니어라기보다 AI 운영자에 가까워짐
느낌 옵니다.

Hacker News 의견
  • AI 기술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개발자와 헤드라인만 읽는 사람들 사이에 큰 괴리감이 있음
    • AI는 성숙한 코드베이스에 큰 변화를 주기에는 아직 멀었음
    • 작은 코드 조각을 완성하거나 설명하는 데는 유용함
  • 이 기사는 두 가지 잘못된 가정에 기반하고 있음
    • AI의 코드 능력이 현재와 같을 것이라는 가정
    • 기업들이 AI로 사람을 대체할 것이라는 가정
    • AI의 코드 품질은 모델이 발전함에 따라 크게 향상될 것임
    • 지능적인 기업들은 AI만으로 대량 해고하지 않을 것임
  • 2000년대 아웃소싱 붐을 떠올리게 함
    • 그로 인해 많은 수익을 얻었음
  • 기술이 AI 때문에 프로그래머를 해고하는 것이 아님
    • 금융 환경 때문에 해고하는 것임
    • 금융 환경이 완화되면 새로운 기술 채용 물결이 올 것임
  • AI가 이미 프로그래머를 대체하고 있다는 증거가 부족함
    • 이는 해고를 가리기 위한 과장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큼
  • 사람들이 왜 확신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움
    • 5년 후에 돌아보면 알게 될 것임
    • 현재 상황을 이용해 프로그래머를 더 효율적으로 일하게 할 필요가 있음
  • 온라인 게임 앱을 운영하는 소규모 팀의 이야기
    • XCode swift와 python을 사용함
    • AI가 실제로 기능을 올바르게 구현할 수 있는지 의문임
  • 과거의 아웃소싱 물결과 유사한 점이 있음
    • AI는 도구 중 하나로 사용될 것임
  • 모든 프로그래머를 해고했으나 AI와의 작업이 어려움
    • AI가 요구하는 특정 언어로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전문가를 고용함
  • AI로 모든 것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역효과를 낼 것임
    • AI가 간단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
    • 그러나 복잡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만 해당됨

금융 환경이 완화되면 새로운 기술 채용 물결이 올 것임

그런 날이 올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