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1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독일의 Vodafone이 2025년 말까지 모든 공공 인터넷 교환 지점(IXP) 에서 철수하고, 트래픽을 Inter.link라는 단일 사업자를 통해 전달하는 구조로 전환
  • 이로 인해 기존의 정산 없는 피어링(settlement-free peering) 이 사라지고, 콘텐츠 제공자가 Vodafone 고객에게 도달하기 위해 유료 상호접속을 이용해야 하는 구조 형성
  • 과거 Deutsche Telekom이 유사한 모델을 도입한 뒤 지연(latency) 증가, 패킷 손실, 스트리밍 품질 저하 등 대규모 서비스 열화가 보고된 사례 존재
  • 학계와 규제기관은 이러한 구조가 ‘이중 과금(double-dipping)’EU 망중립성 위반에 해당할 가능성을 지적
  • 독일 내 두 주요 통신사가 모두 폐쇄적 유료 피어링 모델로 이동함에 따라, 유럽 인터넷의 개방성과 다양성 약화 우려 확대

Vodafone의 공개 피어링 철수 결정

  • Vodafone은 2025년 말까지 DE-CIX Frankfurt를 포함한 모든 독일 내 공공 인터넷 교환 지점에서 철수 예정
    • 모든 트래픽은 Inter.link를 통해 전달되며, 이는 Vodafone 고객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기업이 Inter.link를 통해 접속해야 함을 의미
  • Vodafone은 이 조치가 “지연 감소, 복원력 향상, 비용 절감”을 가져올 것이라 주장
    • 그러나 기사에서는 직접 피어링이 제거될 경우 오히려 경로가 길어져 지연이 증가한다고 지적
  • Inter.link는 “peering-as-a-service” 플랫폼을 운영하며, 15개국 40여 거점과 3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연결

정산 없는 피어링 구조의 붕괴

  • 기존 인터넷 구조는 정산 없는 피어링(settlement-free peering) 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간 트래픽을 무료로 교환
    • 사용자는 짧은 경로를 통해 빠른 접속을 경험
  • Inter.link의 정책에는 “Inter.link는 고객과 피어링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음
    • 이는 Vodafone 고객에게 도달하려면 콘텐츠 제공자가 Inter.link의 상업 서비스(FlexPeer) 를 이용해야 함을 의미
  • 예시 비교
    • 과거: Netflix와 Vodafone이 DE-CIX에서 직접 연결 → 월 €500 포트 비용, 추가 요금 없음
    • 현재: Netflix가 Inter.link를 통해 Vodafone에 접근 → 포트 비용 외에 추가 상업 요금 발생 가능성

Deutsche Telekom 사례와 유사성

  • Deutsche Telekom은 유사한 구조로 인해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게임, 스트리밍 등에서 심각한 품질 저하 발생
    • GitHub, Python 패키지 다운로드 속도 저하, 게임 지연 200~3,300ms, 패킷 손실 2~30% 보고
    • VPN을 사용하면 즉시 속도가 복구되어 문제가 콘텐츠 서버가 아닌 ISP의 라우팅 정책에 있음을 확인
  • 소비자 단체와 학계는 Telekom이 망 입구 혼잡을 인위적으로 유지해 콘텐츠 제공자에게 요금을 요구한다고 지적

Vodafone의 품질 저하 징후

  • 2019년 이후 피어링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으며, 2024년 말 Inter.link로의 전환 이후 저녁 시간대 품질 급락
    • YouTube, Netflix, Twitch 등 주요 서비스에서 버퍼링, 낮은 화질, 높은 지연 발생
    • 베를린 지역에서는 BCIX 철수 이후 품질 급락 보고
  • Heise.de는 Vodafone이 “YouTube 등 대형 데이터 소스와의 직접 연결을 중단했다”고 보도

기술적·물리적 모순

  • 연구 결과, 직접 피어링이 평균 12~15ms의 지연 개선을 제공
    • 중간 사업자를 추가하면 경로가 길어져 지연이 증가
  • Vodafone은 “지연 감소”를 주장하지만, 측정 데이터·벤치마크·검증 자료 부재

위성 인터넷의 대안

  • Starlink는 자체 글로벌 백본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와 직접 연결
    • 독일에서 평균 100Mbps 다운로드, 30~40ms 지연, 선택적 트래픽 제한 없음
  • Vodafone이나 Telekom의 품질 저하로 불편을 겪는 이용자에게 위성망이 대안으로 부상

경제 모델 변화와 규제 논의

  • Vodafone의 구조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트래픽 기반 요금을 부과하는 ‘종단 독점(termination monopoly)’ 형태
    • 학자 Barbara van Schewick은 이를 “** 열린 인터넷에 대한 정면 공격**”으로 평가
  • 스위스 규제기관 ComCom은 2024년 판결에서 유사한 모델을 “** 이중 과금으로 불법**”이라 판단
  • 2024년 Meta vs Deutsche Telekom 사건에서, Meta는 €2,000만 피어링 요금 요구를 거부하고 직접 연결을 중단

규제 및 업계 반응

  • 2025년 4월, 독일 소비자연맹·Epicenter.works·Stanford 연구진 등이 Telekom을 상대로 EU 망중립성 위반 소송 제기
    • BEREC 보고서는 ISP가 망 입구 병목을 이용해 온라인 서비스에 요금을 요구하는 행위를 잠재적 위반으로 분류
  • CISPE는 2015년 이후 유럽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 인위적 품질 저하를 통한 부당 요금 요구**”를 겪고 있다고 보고

이용자 영향

  • Vodafone 고객은 저녁 시간대 스트리밍 버퍼링, 게임 지연, 화상회의 품질 저하 경험 가능성
    • 소규모 콘텐츠 제공자는 Inter.link 요금을 감당하지 못해 접속 품질 격차 발생
  • 고객센터의 속도 테스트는 Vodafone 내부망 기준이므로, 문제 원인을 인식하기 어려움

유럽 인터넷의 구조적 변화

  • DE-CIX CTO Thomas King은 “대형 사업자가 상호접속까지 수익화하려는 경향”을 경고
  • IT-Administrator는 Vodafone의 모델이 투명성 저하와 진입 장벽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
  • 기술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Peering Extortion Policy(피어링 갈취 정책) ”으로 지칭
  • 규제가 지연될 경우, 유럽 전역으로 확산될 위험 존재

결론

  • Vodafone의 Inter.link 전환은 열린 인터넷의 근간인 상호 협력형 피어링 구조를 해체
  • 고객은 요금을 지불하지만, 접속 품질은 악화
  • 콘텐츠 제공자도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망중립성 원칙이 흔들리는 구조적 전환점
  • 독일의 사례는 유럽 인터넷의 미래 구조를 가늠할 중요한 시험대임
Hacker News 의견
  • 나는 최근 네덜란드의 비영리 지방 ISP가 운영하는 지역으로 이사했음
    시에서 직접 설치한 대칭형 1Gbps 광케이블과 고정 IP를 월 40유로에 사용 중임
    업셀링이나 트래픽 제한이 전혀 없고, 집에서 직접 호스팅도 잘 작동함
    이런 지방정부 주도의 비영리 ISP 모델이 독점 구조를 완화하고 공정성을 높이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함

    • 왜 이런 모델이 더 흔하지 않은지 늘 궁금했음. 전기, 수도, 인터넷 같은 인프라 서비스는 거의 항상 자연독점이 되는 경향이 있음
    • 미국에서는 나처럼 월 50달러 이상 내고도 20Mb 다운로드 / 0.5Mb 업로드밖에 안 나오는 경우도 있음
    • 이런 모델이 좋긴 하지만, 만약 적자가 나면 세금으로 메워야 하는지, 상업 ISP보다 싸게 제공하는 게 공정한지 등 공공성과 시장 경쟁의 경계가 애매해짐
      나는 이런 비영리 ISP가 존재하는 건 좋지만, 국가 차원에서는 강력한 망 중립성 법제화가 더 중요하다고 봄
  • Vodafone만의 문제가 아님. Google도 IX(Internet Exchange) 에서 점점 철수하고, 대신 PNI나 Verified Peering Provider(VPP) 로 전환 중임
    이로 인해 소규모 네트워크가 인터넷 상에서 존재감을 확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반경쟁적으로 느껴짐
    반면 IX 참여 자체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 — 포트 요금 상승, 주요 네트워크 이탈, 품질 낮은 참여자 증가 등으로 ‘열린 인터넷’의 해가 아니었던 것 같음

    • Google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 설명한 NANOG 94 발표 자료가 있음
    • “품질 낮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뭔지 궁금함. 혹시 bulletproof 호스팅 같은 걸 말하는 건지?
    • 사실 Google은 예전부터 이런 식이었음. 2015년쯤 ISP 업계를 떠났는데, 그때도 Google과의 피어링은 트래픽 볼륨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거의 불가능했음
      작은 ISP들이 IX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많았고, 대형 사업자 입장에서는 수백~수천 개 피어를 관리하는 게 부담이었음
    • 어떤 검증 절차를 거치는지 궁금함. 혹시 BGP 보안 부재가 이런 추세를 부추기는 건 아닌지
    • Equinix Fabric이나 Inter.link 같은 중간 연결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Google이 직접 피어링할 필요가 줄어든 것도 원인일 수 있음
  • Bell Canada는 오래전부터 IX 피어링을 거부해왔음
    오직 다른 백본 사업자나 Google, Cloudflare 같은 대형 네트워크와만 직접 피어링함
    그 결과, 토론토 내 트래픽이 시카고를 경유하는 비효율적인 라우팅이 종종 발생함
    IPv6 지원도 모바일망 외에는 거의 없음

    • 토론토의 Front St. 151은 북미 최고의 연결 지점인데, 이런 정책은 말도 안 됨
    • 캐나다 트래픽이 불필요하게 미국을 경유하는 건 주권 문제로도 불쾌함
    • BCE가 ZiplyFiber를 인수한 뒤에도 IPv6 배포가 계속 지연되고 있음. “IPv6는 늘 실험실 단계에 있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임
    • Bell이 유일하게 전국적으로 광케이블을 제공하지만, IPv6 미지원과 폐쇄적 피어링 정책 때문에 불편함
      대신 Bell의 인프라를 빌려 IPv6를 지원하는 Teksavvy 같은 대안 ISP도 있다고 들음
  • 해결책은 언제나 규제 강화
    ISP들은 이미 독점적 지위와 진입장벽, 요금 통제 부재로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음
    그런데도 추가 수익을 위해 다중 과금 구조를 만들고 있음
    정부와 소비자가 분노해야 하지만, ‘열린 인터넷’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음
    인터넷의 위협은 ISP뿐 아니라 중앙집중화 자체
    대부분의 트래픽이 세 개의 클라우드 사업자를 거치고, Cloudflare의 영향력은 전 세계적임
    결국 정부 개입 없이는 인터넷은 이미 닫힌 구조로 굳어짐
    규제 강화만이 답임 — 주요 사업자들이 이윤을 희생하더라도 개방성을 유지하도록 강제해야 함

    • 하지만 현재 유럽은 반대로 가고 있음. 통신 로비가 Digital Networks Act를 통해 ‘공정 분담금(fair share)’ 제도를 밀어붙이고 있음
      한국은 2016년에 이미 이 제도를 도입했고, 과도한 요금 때문에 Twitch가 2024년에 철수했음
    • 단순 규제만으로는 부족함. 정부가 직접 공공 ISP를 운영해야 함
      도로, 철도, 우편처럼 통신도 공공 인프라로 다뤄야 함
      미국도 과거 Ma Bell 독점 시절을 겪었는데, 그 교훈을 잊은 듯함
      1970년대 철도 국유화처럼, 통신망도 공공화가 필요하다고 봄
  • 기업들은 경쟁사와의 합병을 효율성 향상으로 포장하지만, 실제로는 시장을 과도하게 중앙집중화함
    이렇게 되면 효율의 이익이 고객이 아닌 대기업 수익으로 전환됨
    규제기관은 산업계의 로비와 PR에 휘둘려 이를 반복적으로 허용함
    나는 시장 점유율 50% 이상, 혹은 기업가치 5억 달러 이상을 3년 넘게 유지한 기업은 강제 분할해야 한다고 생각함
    이런 조치는 거칠지만, 시장을 더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구조로 만들 것임
    스타트업에게는 더 치열한 경쟁이 되겠지만, 진입 장벽은 낮아지고 노동시장 유동성도 높아질 것임
    일부 산업은 자연독점적 성격이 있지만, 기능 단위로 모듈화된 분산 구조를 적용하면 경쟁을 촉진할 수 있음

  • 베를린 한복판인데도 Vodafone 케이블만 사용 가능함
    Deutsche Telekom이 광케이블을 깔려 해도, 집주인이 지하실 문을 열어주지 않음
    세입자를 내보내고 새로 임대료를 올리려는 속셈임. 참 기이한 시대

    • Deutsche Telekom은 피어링 요금을 너무 높게 책정해서 Meta조차 계약을 종료했음
      관련 기사 링크
    • 문제의 핵심은 사실 집주인 독점 구조
    • Deutsche Telekom도 Vodafone 못지않게 문제 많음. 정부가 모든 사업자에게 피어링을 허용하라 했지만,
      여전히 지역별로 1Gbps당 5000유로 같은 터무니없는 요금을 부과함
    • 이런 상황을 막으려면, 법으로 집주인이 최소 두 개 유선 ISP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해야 함
      비용 부담은 없더라도, 독점적 계약 관행을 깨는 데 충분할 것임
  • Vodafone이 계약상 속도를 보장하지 않는다면, 고객이 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 궁금함
    1Gbps 요금제를 내고도 Netflix가 0.93Mbps밖에 안 나온다면, 이는 계약 위반 아닌가?
    Cory Doctorow가 이런 상황을 설명하는 단어를 쓴 적이 있었던 것 같음

    • 올해 신설된 디지털 전환부(Federal Ministry for Digital Transformation) 에 민원을 제기할 수 있음
      실제로 효과는 있지만, 절차가 길고 복잡함
    • 광고에 “최대(up to) 1Gbps”라고 명시돼 있어서 법적 책임을 피함
    • 계약상 제3자 서비스 품질은 보장되지 않음. 결국 ISP를 바꾸거나 직접 새로 만드는 것 외엔 방법이 없음
      독일 내에서도 ISP 간 상호접속이 안 되면, 폴란드나 프랑스에서 호스팅하는 게 더 빠를 때도 있음
    • 혹시 경쟁사가 없는 독점 지역인지도 확인이 필요함
  • Deutsche Telekom도 사실상 같은 행태를 오래전부터 보여왔음
    이런 조치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새로운 일은 아님

    • 기사에서도 이 부분이 자세히 언급돼 있음
    • 다만 Deutsche Telekom은 DSL 재판매 사업자가 많아서 선택권이 존재하지만,
      어떤 건물은 Vodafone만 가능해서 완전한 독점 구조가 됨
  • 기사 내용이 너무 AI가 쓴 듯한 문체라 놀랐음
    “이건 효율성의 문제가 아니라 착취의 문제다” 같은 문장은 편집자가 정말 검토했는지 의심스러움

    • 댓글·공유 버튼이 눌러지지도 않고 숫자만 오르는 걸 보면, ‘분위기만 있는 사이트’ 같음
    • 2700단어짜리 반복적인 글이라 싫지만, 요즘 세상에 놀랍지도 않음
    • 나는 AI가 쓴 것 같지 않았음
    • 사이트가 최근 생긴 곳이라, AI 생성 콘텐츠로 수익을 내는 게 유일한 방법일 수도 있음
  • 이번 Vodafone 사태는 사실상 ‘민간판 공정 분담금(fair share)’ 제도
    유럽 통신사들이 Digital Networks Act를 통해 같은 모델을 법제화하려 하고 있음
    관련 해설 링크, 반대 캠페인
    한국은 이미 2016년에 이 제도를 도입했고, 과도한 요금으로 인해 Twitch가 2024년에 철수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