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1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Cloudflare는 여러 국가의 사이트 차단 정책이 미국 기술 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며 디지털 무역 장벽을 형성하고 있다고 지적
  • 스페인에서는 법원이 과도한 IP 차단 명령을 허용해 수많은 정상 웹사이트와 서비스가 함께 차단되는 피해 발생
  • 이탈리아의 ‘Piracy Shield’ 법은 30분 내 차단 의무를 부과해 Google Drive 등 합법 서비스까지 차단된 사례가 보고됨
  • 프랑스한국에서도 DNS·VPN 서비스 및 CDN 사업자에게 차단 의무를 부과해 미국 기업의 운영 부담이 커짐
  • Cloudflare는 이러한 조치들이 국제 무역 기준에 어긋나는 장벽이라며,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차기 보고서에서 이를 반영할 것을 요청

Cloudflare의 무역 장벽 문제 제기

  •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매년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를 발간하며, 업계의 의견을 수렴함

    • 저작권 단체들은 주로 해적행위 대응을 위한 사이트 차단 강화를 요구해 왔음
    • 반면 Cloudflare는 올해 처음으로 참여해 차단 조치 자체가 무역 장벽이 되고 있다고 제출
  • Cloudflare는 자사를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연결성 중심 클라우드 기업”으로 소개

    • 여러 국가의 차단 정책이 미국 기술 제공업체에 불균형적 영향을 미친다고 명시

스페인: 과도한 법원 명령으로 인한 부작용

  • 스페인 법원은 권리자에게 IP 주소 차단 명령을 광범위하게 허용
    • 하나의 IP가 수천 개 도메인을 호스팅할 수 있어, 정상 사이트까지 대규모로 차단되는 문제 발생
  • Cloudflare는 “수만 개의 무관한 합법 사이트와 디지털 서비스가 반복적으로 중단된다”고 명시
    • 피해자에게 법적 구제 수단이 없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
  • 스페인 정부는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나 개입하지 않아 무역 장벽이 지속되고 있음

이탈리아: ‘Piracy Shield’와 자동 차단의 문제

  • 이탈리아의 ‘Piracy Shield’ 법은 네트워크 사업자와 CDN에 30분 내 차단 의무를 부과
    • 보호 장치 부재로 인해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 인프라가 부적절하게 차단
  • 2024년 2월 Cloudflare IP 차단으로 수만 개 비대상 사이트가 차단, 10월에는 Google Drive가 12시간 이상 접근 불가 사례 발생
  • 법 확대가 DNS 해석기와 VPN 서비스로 이어지면서 일부 미국 기업은 이탈리아 시장 철수 결정
  • 또한 권리자가 법원을 이용해 일방적(ex parte) 차단 명령을 남용할 수 있어, 사전 대응 기회가 없는 강제적 조치로 평가됨

프랑스: 스포츠법 조항과 자동 차단 우려

  • 프랑스 스포츠법 L.333-10조는 DNS·VPN 서비스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차단 명령을 허용
    • 일부 서비스는 기술적으로 명령을 이행할 수 없어 미국 기업의 철수 사례 발생
  • 최근 프랑스는 자동 IP 차단을 허용하는 새 반해적법을 통과시켜 Cloudflare가 과잉 차단 위험을 경고
    • 합법 콘텐츠가 잘못 차단될 가능성과 국경 간 디지털 서비스 중단 위험이 증가

한국: 대규모 차단 목록 유지 의무

  • 한국은 2023년 전기통신사업법(Network Act) 개정으로 CDN에 불법 콘텐츠 접근 제한 의무를 부과
    • 이에 따라 Cloudflare 등 미국 기업은 상세하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차단 목록(block list) 을 유지해야 함
  • 한국 방송통신위원회(KCC)는 150만 개 이상의 URL을 포함한 목록을 전달하며, 매달 3만 개 항목이 추가
    • Cloudflare는 이를 “전례 없는 규제 부담”으로 표현

미국 내 상충된 요구와 향후 전망

  • Cloudflare는 USTR이 이들 국가의 조치를 무역 장벽으로 인식하고 개선하길 요청
  • 반면 저작권 단체들은 더 많은 국가가 차단 조치를 도입해야 한다고 요구
  • 미국 의회에서도 사이트 차단 법안이 논의 중이며, 향후 로비 활동에 영향을 줄 가능성 있음
  • USTR이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는 2026년 보고서 발표 시점에 명확해질 예정
  • Cloudflare의 공식 제출문은 USTR 2025년 보고서용 PDF 문서로 공개됨
Hacker News 의견
  • 나는 Cloudflare를 좋아하진 않지만, 이번 사안에서는 그들이 완전히 옳음
    웹사이트를 차단하기 위한 인프라 자체가 존재해서는 안 됨
    그런 시스템이 허용되면 정치적·기업적 이해관계에 흡수되어 남용의 도구가 되기 때문임
    미국 무역청이 다른 나라의 인터넷 검열을 막는 데 이용될 수 있다면, 그건 오히려 좋은 일이라 생각함

    • “웹사이트 차단 인프라가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 얼마나 극단적인 입장인지 잊은 것 같음
      인터넷에 올라온 순간 국가 법이 적용되지 않고 정부가 외설물, 지적재산 침해, 사기, 도박, 선전물 등을 전혀 통제할 수 없다는 뜻이 됨
      미국조차 국내외에서 이런 원칙을 따르지 않음 — 예를 들어 FBI가 뉴질랜드로 가서 Kim Dotcom을 체포한 사건이나 Pokerstars 사례처럼
      또한 “무역”이라는 명분으로 국가 주권을 무시하는 건 위험함
      Philip Morris vs Australia 사건처럼 어리석은 결과를 낳을 수 있음
    • Cloudflare 자체가 부분적으로는 그런 차단 인프라 아닌가?
      그들도 “악성 트래픽”을 차단하잖음
    • 미국 무역청의 문제가 아니라, 이런 사안은 국제 무역 협정에서 다뤄져야 함
      합법적인 사이트 접근을 방해하는 차단은 무역 협정 위반으로 간주되어야 함
    • 인터넷으로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면, 반대로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음
      결국 문제는 얼마나 정밀하게 차단하느냐임
      일부 국가는 특정 콘텐츠를 막기 위해 아예 글로벌 인터넷 연결을 끊기도 함
  • 미국이 서비스 부문에서 막대한 무역 흑자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굳이 드러내고 싶어 하지 않을 것 같음
    EU 입장이라면 상품 관세 위협에 맞서 서비스 관세로 대응했을 듯
    예를 들어 Office 365, AWS, Facebook·Google 광고 매출에 처음엔 0% 세율을 적용하고, 1년 뒤엔 20%로 올리는 식으로

    • 실제로 EU가 그런 “무역 바주카” 전략을 갖고 있었음
      다만 갈등을 키우지 않기 위해 사용하지 않았을 뿐, 여전히 준비되어 있음
  • 이건 명백히 서비스 무역 장벽
    대부분의 국제 무역 협정은 서비스 분야를 포괄적으로 다루지 않음 — 은행, 컨설팅, 소프트웨어 등 너무 다양하고 규제하기 어렵기 때문임
    Cloudflare 입장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만드는 게 상업적으로 중요함
    하지만 현실적으로 미국의 무역 이익 때문에 이뤄질 가능성은 낮음
    지금 세계는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디커플링하는 추세이고, 미국 클라우드 기술의 지배력 때문에 내 나라가 미국과 서비스 협정을 맺는 건 추천하기 어려움

  • 과거 WTO는 미국이 Antigua의 온라인 도박 사이트를 불법화한 것이 GATS 협정 위반이라고 판결했음
    비슷한 논리로 사이트 차단도 같은 조항을 위반할 가능성이 큼
    하지만 미국이 2019년부터 WTO 상소기구 인사 임명을 막고 있어서 이런 사건은 제소조차 불가능함
    Antigua 온라인 도박 사건, WTO 상소기구 설명

    • 미국이 그 사건에서 진 이유는 외국 사이트에 대한 규제가 국내 사이트보다 더 엄격했기 때문임
      GATS는 규제를 금지하지 않지만, 비차별 원칙을 요구함
      예를 들어 스페인은 국내법상 합법인 저작권 침해 사이트를 외국이라는 이유로만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협정 위반이 아님
  • 20년 동안 Tier 1 ISP에 있지 않았는데, 지금 미국이 중국처럼 인터넷 통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지 궁금함
    2004년 이후 많이 바뀌었을 텐데, 내부 사정을 아는 사람이 요약해주면 좋겠음

    • 중국의 인터넷 차단은 두 단계로 구성됨
      첫째, 국제 회선을 통제하는 GFW(만리방화벽) 로 실시간 트래픽을 분석하고 차단함
      둘째, 내부 통제임 — 모든 사이트는 정부의 ICP 허가가 필요하고, ISP는 국영기업만 가능하며, 개인 IP로는 웹서비스를 운영할 수 없음
      VPN 앱도 불법임. 이런 구조는 다른 나라에서는 훨씬 구현하기 어려움
    • 사실 미국도 이미 다른 방식의 방화벽을 켜둔 셈임
      DMCA 같은 제도로 “원하지 않는 정보”를 정밀하게 제거하면서도 자유의 환상을 유지함
      데이터 수집가들이 중국의 방화벽을 넘는 사람들처럼 행동하고 있음
      엔트로피에 의한 서서히 사라짐 전략이 꽤 효과적임
  • 이제는 고객 평판을 네트워크 단위로 구분할 수 있는 ASN(자율 시스템 번호) 기술이 있음
    Cloudflare가 까다로운 고객에게 ASN을 요구하면, 그들의 평판과 Cloudflare의 평판을 분리할 수 있을 것 같음
    이렇게 하면 불안정한 정적 IP 리스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됨

  • 제발 Cloudflare는 사이트 차단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음
    예전에 내가 쓴 댓글에서도 언급했지만,
    Cloudflare는 국가보다 더 많은 검열을 하고 있음
    그들이 “신뢰할 수 없는 IP”라고 판단하면 인터넷의 절반이 단절됨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이 만든 오웰식 괴물을 자각하고 회사를 떠났으면 함
    아니면 반독점 기관이 그들의 사업을 분해해야 함

  • Cloudflare의 입장은 옳지만, 이건 전형적인 유럽식 접근
    기존의 기득권을 보호하면서 혁신을 억누름
    이로 인해 실제로는 소규모 합법 사이트들이 피해를 보고, 대형 기업만 보호받는 구조가 됨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음

    • 유럽 관련 얘기만 나오면 무조건 EU 탓으로 돌리는 게 웃김
      이건 EU가 아니라 개별 국가의 문제임
      스페인에서는 인기 있는 축구 경기가 있을 때마다 인터넷 절반이 차단되는 현실임
    • “기득권 보호 vs 진보 억제”라는 말을 들으니 미국인 같음
      유럽이 낡았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는 미국이 교통·복지·환경 등에서 더 뒤처져 있음
      유럽의 진보가 부족하다는 주장은 오히려 역설적임
    • EU와는 상관없음. 하지만 시도는 흥미로움
    • “EU식 규제”라면, 미국의 DMCA도 그에 못지않게 강력하지 않나? (농담 반 진담 반)
    • EU는 오히려 기득권 보호를 제거하려는 방향임
      관련 글: Facing Reality in the EU and Tech
  • US Cloud Act 역시 무역 장벽임

  • 흥미로운 관점임
    같은 정부 내에서도 상반된 결정이 내려지는 게 이상함
    Cloudflare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음 — 특정 사이트를 검열하면, 세금을 내는 정상적인 비즈니스도 함께 차단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