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26.2, 일본서 제3자 앱 스토어 허용 예정…규제 시한 앞두고 미리 개방
(macrumors.com)- iOS 26.2 베타 버전에서 일본 지역에서도 대체 앱 마켓 설치 기능이 활성화됨
- 사용자는 AltStore PAL, Epic Games Store 등의 앱 마켓을 설치하고 앱을 내려받을 수 있음
- 현재까지는 EU 회원국 한정 기능이었으나, 일본의 새 법률에 따라 적용 지역이 확대됨
- 일본 정부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경쟁법 가이드라인을 통해 애플·구글의 대체 결제 및 앱스토어 차단 금지를 명시
- 정식 시행일인 12월 18일 이전 공개 예정인 iOS 26.2가 이를 반영함, Fortnite 역시 연내 일본 iOS 복귀 예정
일본에서의 제3자 앱스토어 허용
- iOS 26.2 개발자용 첫 베타 버전이 공개되며 일본 내에서 대체 앱스토어 설치 기능 확인됨
- @Tzzlala가 X(구 트위터)에 공유한 내용에 따르면 AltStore PAL과 Epic Games Store에서 앱 설치 가능
- Fortnite 인앱결제는 현재 지역 제한으로 차단 상태임
기존 EU 한정 기능의 확장
- 기존에는 EU 27개국 사용자만 대체 앱마켓을 통해 앱 설치 가능
- 해당 기능은 디지털시장법(DMA) 준수를 위해 iOS 17.4 / iPadOS 18에서 처음 도입
- 일본은 EU 외 첫 적용 국가로 추가될 예정
일본의 관련 법률 및 규제
-
2024년 6월, 일본 국회가 제3자 앱스토어 및 결제 허용 법안 통과
- 대형 기술 기업의 시장 지배력 완화 목적
-
2025년 8월, 일본 공정거래위원회(JFTC)가 모바일 소프트웨어 경쟁법 가이드라인 발표
- 애플·구글 등 플랫폼 사업자가 대체 스토어·결제 제한 금지
출시 일정 및 전망
- 가이드라인은 2025년 12월 18일 발효 예정
-
iOS 26.2 정식 버전은 12월 9~16일 사이 배포 예상
- Epic Games는 연내 Fortnite 및 자체 스토어 일본 출시 계획 발표
Hacker News 의견
-
특정 지역에서는 공식 공증(notarization) 강제를 할 수 없는지 궁금함
이 제도가 사실상 Apple의 게이트키퍼 지위를 유지하게 만드는 것 같음. App Store 가이드라인의 많은 부분이 여전히 공증 절차에 적용되고 있음- 공증은 결국 어떤 앱이 실행될 수 있는지를 Apple이 결정한다는 뜻임
이는 제3자 앱스토어를 열어야 한다는 DMA(디지털시장법) 의 취지에 반함
유럽위원회가 Apple이 여전히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것에 지금은 신경 쓰지 않는 듯함
- 공증은 결국 어떤 앱이 실행될 수 있는지를 Apple이 결정한다는 뜻임
-
농담 하나 던짐. “바닥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은? MacRumors에게 ‘그건 Tim Cook의 부츠’라고 말하는 것임”
관련 링크- Tim Cook은 ‘사용자 중심’ 회사 운영에는 재능이 없음을 보여줬음. 이제는 퇴진할 때라고 생각함
텍스트 에디터에서 스크롤도 제대로 안 되는 1조 달러 기업이라니 - 그 스레드에는 Cook 언급이 전혀 없음
- 아니지, MacRumors에게 “Bloomberg가 이번 주 Power On 뉴스레터에서 Tim Cook의 부츠라고 보도했다”고 말해야 함
그러면 그 바닥은 심장 수술도 할 만큼 깨끗해질 것임
- Tim Cook은 ‘사용자 중심’ 회사 운영에는 재능이 없음을 보여줬음. 이제는 퇴진할 때라고 생각함
-
“규제 마감일 전에”라는 제목이 너무 웃김. 실제로 마감일은 새해임
공식 문서에 따르면 법 시행일은 공포 후 1년 반 이내로 정해짐
Apple만이 이런 변화를 1년 반 만에 내놓고도 “기한 전에 했다”고 말할 수 있음- 그 제목이 웃긴 이유가 ‘정확해서’ 그런 거냐고 묻고 싶음
-
Apple은 하드웨어 중심 기업으로, 독자 CPU 등으로 이미 강력한 진입장벽을 가짐
OS를 오픈소스로 풀어도 결국 Apple 하드웨어를 사야만 제대로 쓸 수 있을 것임
문제는 앱스토어 수수료임. 그게 너무 수익성 높아서 게이트를 놓지 않으려는 것 같음- 서비스 부문은 하드웨어보다 두 배 높은 마진을 내며 빠르게 성장 중임
이제 Apple은 하드웨어 회사라기보다 서비스 매출 중심의 기업이 되어버렸음 - 서비스 매출은 iPhone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
관련 논의는 이 스레드에서도 있음 - macOS/iOS는 PowerPC→x86→ARM64로 이식된 만큼 이식성 높은 구조임
전체 스택이 오픈소스화되면 일주일 내에 Intel/AMD용 포크가 나올 것임
최적화는 부족하겠지만, 데스크톱 Linux를 위협할 수도 있음 - 이런 이유로 우리는 자유로운 스마트폰 환경이 필요함
지금은 Pixel에 Graphene을 설치하는 게 가장 현실적인 자유 소프트웨어 선택지임 - 이번 분기 서비스 매출은 iPhone 다음으로 크고, 성장률은 가장 높았음
하지만 대부분은 App Store 수수료·Apple Pay 수수료·Apple Card 수익 같은 통행세임
Apple Music이나 TV+는 실제로는 작은 비즈니스에 불과함
- 서비스 부문은 하드웨어보다 두 배 높은 마진을 내며 빠르게 성장 중임
-
앞으로 10년은 기술기업 vs 정부의 싸움이 될 것 같음
Apple은 강제되지 않는 한 전 세계적으로 정책을 바꾸지 않을 듯함
개인적으로 App Store의 보안성은 좋아하지만, 여러 앱스토어가 생기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함
EU에서는 이미 대체 마켓이 허용되었는데, 써본 사람이 있는지 궁금함- Apple은 EU 규정을 악의적으로 준수함. 대체 스토어를 운영하기 어렵고 비싸게 만들어놨음
또 사용자에게 경고창을 띄워 정상적인 온보딩이 불가능하게 함
App Store는 사실상 보안을 보장하지 않음. 요즘은 iOS 취약점을 사는 게 더 싸게 먹힘 - 나는 Alt, Epic, Setapp을 설치해봤음
Alt는 아직 콘텐츠가 적지만 여러 소스를 추가해 사이드로딩이 가능함
시장은 아직 알파 단계이고, Apple이 일부러 불편하게 만든 것도 있음
하지만 결국은 수요 부족이 더 큰 문제로 보임 - 직접 시도해보고 싶다면 이 가이드를 참고할 수 있음
EU 계정, Faraday 백, ESP32 두 개, EU VPN, 지원 OS 버전의 iOS 기기가 필요함 - “보안이 걱정돼서 제3자 스토어를 막아야 한다”는 논리는 싫음
아무도 강제로 설치하라고 하지 않음. 그 논리를 Mac에도 적용하면 웹이나 Homebrew 설치도 막아야 함
- Apple은 EU 규정을 악의적으로 준수함. 대체 스토어를 운영하기 어렵고 비싸게 만들어놨음
-
Apple이 정말로 법으로 강제될 때까지 게이트키핑을 계속할까 궁금함
복잡한 지역별 규제 체계를 유지하는 게 오히려 비효율적인데, 왜 이렇게 고집스러운지 이해가 안 됨
Google의 코드 서명 발표 이후 iPhone을 고려했지만 여전히 너무 폐쇄적임
장기적으로는 EU와 일본처럼 결국 열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 봄- Tim Cook이 있는 한 Apple은 계속 버틸 것 같음
Phil Schiller는 이게 나쁜 전략이라 했지만 묵살당했음
관련 기사 - Apple의 이런 행동은 파편화를 초래함
지역마다 이메일·지도·결제 정책이 다르고, 결국 각국 규제에 끌려다니게 됨
차라리 먼저 열어버리는 게 현명했을 것임 -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법으로 강제되지 않는 한 죽일 리 없음
Apple과 Google은 모바일 앱 매출의 15~30%를 가져가고 있음 - Google도 마찬가지로 폐쇄적 생태계를 유지하려 함
Sidephone, Light Phone 같은 신기기도 마찬가지로 제한적임 - 아마 Apple은 비용 대비 이익 분석을 하고 지금 방식이 더 이익이라 판단했을 것임
- Tim Cook이 있는 한 Apple은 계속 버틸 것 같음
-
예전에는 MacRumors 댓글이 “EU는 비합리적이다, 직접 OS 만들어라” 같은 말로 가득했는데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뒤바뀐 것 같음- 그런 댓글은 여전히 많음
- 그래도 여전히 “그럼 직접 OS 만들어라”는 말이 나옴
-
일본용 제3자 스토어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많음
일본 VPN을 쓰면 App Store 접속이 가능한지, 혹은 일본에서 설치한 스토어가 해외에서도 작동하는지 알고 싶음
이런 기능이 하드웨어 수준에서 잠겨 있는지도 궁금함
누가 실제로 시도해본 사례가 있다면 알려줬으면 함 -
Google이 Epic 합의로 전 세계적으로 제3자 스토어 지원 강화를 약속했으니
이제 Apple도 결국 미국에서 강제될 것이고, 그 시점에 전 세계 정책을 바꿀 것이라 예상함- 다만 그 변화가 2028년쯤까지 미뤄져서 정치적 왜곡 없이 진행되길 바람
-
Apple이 이렇게 쉽게 양보할 리 없음
분명 악의적 준수(malicious compliance) 가 숨어 있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