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 by GN⁺ 4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최근 워싱턴포스트가 제프 베이조스의 재정적 이해관계가 얽힌 사안을 다루면서도 이를 독자에게 명시하지 않은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
  • 사설들은 백악관 동관 철거 프로젝트, 소형 원자로 개발, 자율주행차 승인 지연 등 베이조스 또는 Amazon의 사업과 직접 관련된 주제를 다룸
  • 일부 사설은 외부 지적 이후에야 Amazon의 기여 사실을 뒤늦게 추가했으며, 수정 사실을 독자에게 알리지 않음
  • 내부 전·현직 편집자들은 이러한 비공개 관행이 편집 독립성과 독자 신뢰를 훼손한다고 비판
  • 언론 윤리의 핵심인 이해충돌 공개 원칙이 약화된 사례로, 대형 미디어의 소유 구조와 편집 방향의 투명성 문제를 드러냄

베이조스의 소유와 이해충돌 논란

  • Amazon 창업자이자 워싱턴포스트 소유주인 제프 베이조스는 과거 스스로 “이해충돌의 외형상 문제에서 이상적인 소유주는 아니다”라고 인정한 바 있음
    • 그는 2024년 민주당 대선후보 카멀라 해리스 지지 사설 게재를 막은 이유를 설명하며 이같이 언급
  • 그러나 최근 2주간 최소 세 차례, 베이조스의 재정적 이해관계가 얽힌 사안에 대한 공식 사설이 관련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게재됨
    • 각 사설의 논조는 결과적으로 소유주의 경제적 이해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전개됨

백악관 동관 철거 사설과 Amazon의 기여

  • 가장 최근 사례로,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동관 철거 및 대형 무도회장 건설 계획을 옹호하는 사설을 게재
    • 사설은 “트럼프의 시도는 전국의 NIMBY(지역이기주의) 세력에 대한 경고”라고 평가
  • 그러나 Amazon이 해당 프로젝트 비용 일부를 후원한 사실은 처음엔 언급되지 않음
    • PBS 보도에 따르면 Amazon은 주요 기업 기여자로 참여
  • 이후 언론학자 빌 그루스킨(Bill Grueskin) 이 SNS를 통해 이 누락을 지적하자, 워싱턴포스트는 사설에 Amazon의 기여 사실을 뒤늦게 추가
    • 하지만 수정 사실을 독자에게 명시하지 않았으며, 정정·해명 표시도 부재
  • 그루스킨은 이를 “새 워싱턴포스트 오피니언 페이지의 붕괴를 보여주는 사례”라 비판

오피니언 섹션 개편과 내부 반발

  • 베이조스는 2025년 여름 Adam O’Neal을 새 오피니언 섹션 편집장으로 임명하며 대대적 개편 단행
    • 개편 목표는 ‘개인 자유’와 ‘자유시장’ 에 초점을 맞춘 사설 방향 강화
  • 이 과정에서 기존 최고 편집자와 여러 칼럼니스트가 사임하거나 해고됨
    • 해리스 지지 사설 취소 이후 디지털 구독자 30만 명 이상이 해지, 이후 추가 개편으로 7만5천 명 추가 감소
  • Amazon은 트럼프 취임식에 100만 달러 기부, Amazon Prime은 멜라니아 트럼프 다큐멘터리 판권에 4천만 달러 지불
    •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금액의 대부분이 멜라니아에게 돌아간다고 보도

과거의 투명성 원칙과 현재의 변화

  • 언론계에서는 소유주의 외부 사업이 보도나 논평과 교차할 경우 이해충돌 가능성을 최소한 인식 차원에서 공개하는 것이 관례
    • 워싱턴포스트도 과거 Graham 가문 시절부터 Kaplan 교육회사, Slate 매거진 등 관련 이해관계를 공개해 왔음
    • 2013년 베이조스 인수 이후에도 기자들은 관련 보도에서 Amazon이나 Blue Origin과의 연관성을 명시해 왔음
  • 그러나 최근 사설에서는 이러한 투명성 원칙이 무시되고 있음

전 부편집장 루스 마커스의 증언

  • 전 부편집장 루스 마커스(Ruth Marcus) 는 NPR 인터뷰에서 “우리는 공개를 소홀히 한 적이 없었다”고 강조
    • 그녀는 2025년 초 사임하며, 발행인 윌 루이스(Will Lewis) 가 자신이 쓴 비판 칼럼을 게재하지 못하게 했다고 밝힘
    • 사임서에서 “베이조스의 지침으로 반대 의견이 배제되면, 독자들은 칼럼니스트가 진심이 아닌 허용된 의견만 쓴다고 느낄 것”이라 경고
  • 마커스는 백악관 사설뿐 아니라 최근 두 건의 사례도 고립된 실수가 아닌 구조적 문제로 봄

소형 원자로와 자율주행차 사설의 이해관계

  • 10월 15일자 사설은 군용 소형 원자로 개발을 “군사적 용도를 넘어선 가치 있는 도전”이라 평가
    • 그러나 Amazon은 2024년 X-energy 지분을 인수,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용 소형 원자로 개발에 참여
    • 베이조스 개인 투자펀드도 캐나다 핵융합 스타트업 General Fusion에 투자 중
  • 3일 뒤 게재된 사설은 워싱턴 D.C.의 자율주행차 승인 지연을 비판, “안전은 허위 구실”이라 주장
    • 불과 3주 전, Amazon 자회사 Zoox가 D.C.를 차세대 시험 시장으로 발표
  • 마커스는 “이런 경우 독자에게 이해충돌 가능성을 알리는 것이 필수적이며, 특히 소유주 관련 사안일 때는 더욱 중요하다”고 지적

결론: 편집 독립성과 신뢰의 시험대

  • 베이조스는 과거 “워싱턴포스트는 나에게 복잡성을 더하는 존재이며, 나 또한 그 신문에 복잡성을 더한다”고 언급
  • 최근 일련의 사례는 대형 미디어의 소유 구조가 편집 방향과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시험대
  • 언론 윤리의 핵심인 이해충돌 공개와 독립성 유지가 위협받고 있으며, 이는 독자 신뢰 회복의 과제로 남음
Hacker News 의견
  • 이런 류의 보도를 멋지다고 생각한다면 FAIR (Fairness and Accuracy In Reporting)기부하는 게 좋음
    수십 년 동안 편향된 언론을 폭로해온 단체로, 주목할 가치가 있음

    • FAIR도 나름의 강한 편향성이 있음
      개인적으로는 Columbia Journalism Review가 더 나은 미디어 비평 출처라고 생각함
    • 혹은 NPR에 기부하는 것도 좋은 선택임
    • 이제 Facebook AI Research 조직이 해체되었으니, FAIR이 약어 독점권을 되찾은 셈임
  • Bezos가 사람들로 하여금 Washington Post(WaPo) 를 신뢰하지 않게 만든 방식이 놀라움
    부유한 소유주가 있는 신문은 새로울 게 없었는데, 그는 단지 영향력을 드러내지 않기만 하면 됐음
    하지만 그 유혹을 참지 못했음

    • 많은 사람들이 ‘신뢰’ 문제를 과거의 민주적 규칙 안에서만 생각함
      그러나 지금은 권력 중심의 규칙이 지배함
      Bezos는 신뢰보다 권력을 과시하며, 진실보다 영향력을 중시하는 포스트 트루스(post-truth) 시대의 전형임
    • 내 가설은 Bezos의 편집 개입이 사실상 단 한 사람, 즉 미국 대통령에게 잘 보이기 위한 전략이라는 것임
      신문의 명성을 희생하더라도 정부 권력의 호의를 얻는 게 더 가치 있다고 판단한 듯함
    • 이런 억만장자들은 현실과의 피드백 루프가 단절되어 있음
    • Bezos가 직접 “언론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사설을 썼지만, 결국 행동으로는 정반대였음
    • 일반 독자 대부분은 신문의 실제 소유주가 누구인지조차 모름
      WaPo나 Wall Street Journal 모두 마찬가지임
  • 요즘 어떤 미디어 형식이 가장 덜 편향되고, 가장 잘-informed된 대중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 중임
    『Amusing Ourselves to Death』를 읽고 나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매체 형식이 곧 운명이라는 생각이 듦
    텍스트 기반 매체가 TV나 소셜미디어보다 덜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
    장기적으로는 AI 기반 미디어가 이런 편향의 악순환을 되돌릴 수 있을지도 궁금함

  • 가장 좋은 해결책은 Bezos가 소유한 매체를 읽지 않는 것
    WaPo는 사실 보도 외에는 신뢰할 수 없고, 그마저도 Bezos의 의견이 섞여 있음

    • WaPo가 새 편집 정책을 발표한 주에, 나는 uBlock Origin으로 오피니언 사이드바를 차단했음
      지금은 Bezos의 광고판 같음
      그래도 뉴스 섹션은 아직은 괜찮은 편임
    • WSJ는 Bezos가 아니라 Rupert Murdoch 소유임
      사설은 건너뛰더라도, 탐사보도는 여전히 훌륭함 — Theranos, Tesla, Epstein, Amazon 등 사례가 있음
    • WSJ 뉴스룸은 아마도 미국 내에서 가장 전문적인 보도 조직일 것임
  • 이런 일은 한때 좋은 아이디어 하나로 성공한 사람이 더 이상 새로운 아이디어가 없을 때 벌어지는 현상임

  • Bezos가 직접 “나는 WaPo의 이상적인 소유주가 아니다”라고 말한 인터뷰를 보면 놀라움
    스스로 이해 상충(conflict of interest) 을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통제권을 놓지 않음
    결국 신문이 ‘친자본주의’ 색깔로 변한 건 당연한 결과임
    (전 구독자로서, 그때 탈퇴했음)

    • 진정으로 언론을 위한다면 WaPo를 독립 신탁에 넘겼을 것임
      하지만 그는 여전히 통제권을 유지함 — 이유는 명확함
    • 거대 언론을 손에 쥔 권력의 유혹을 뿌리칠 수 없었던 것임
    • 실제로 그는 ‘자유시장’과 ‘개인 자유’ 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오피니언 섹션을 재편했음
      그 결과, 주요 칼럼니스트들이 대거 사임했음
    • WaPo는 그에게 장난감이자 권력 도구
      이런 구조에서는 책임이 사라지고, 인간은 스스로를 합리화함
      꼭 음모가 아니라 인간 본성의 문제일 수도 있음
    • “당신이 재산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재산이 당신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냉소적 현실임
  • NPR 내부자의 회고를 보면, NPR이 대중의 신뢰를 잃은 과정이 드러남

    • 하지만 이 글이 현재 논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는 의문임
  • 모든 언론사는 그 소유주나 법인의 편향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 사설(editorial) 을 일반 뉴스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는지 의문임
    어차피 의견란이라면 편향은 당연한 것 아님?

    • 개별 사설은 괜찮지만, 매체 전체가 한 방향의 편향만 허용한다면 문제임
    • 특히 경제적 이해관계가 있다면, 그 사실을 명시해야 함
    • 편향이 있어도 정직함과 정확성을 잃지 않는 게 중요함
      지금 문제는 그 부분임
    • 예를 들어 “AWS가 최고의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쓰면서, 소유주가 AWS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는다면 이는 언론 윤리 위반
    • 개인적으로는 사설은 명확히 표시되어 있으니 그냥 건너뛰는 콘텐츠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