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all for Linux
(github.com/rolflobker)- Microsoft Recall 기능을 패러디한 리눅스용 오픈소스 도구로, 개인 정보 수집과 감시 기능을 풍자적으로 재현함
 - README는 윈도우의 ‘모든 활동 기록’ 기능을 흉내 내며, 사용자의 화면을 지속적으로 캡처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과장된 방식으로 설명
 - 설치 안내와 로드맵은 풍자적 유머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보안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내포
 - 향후 기능 목록에는 암호화 지연, AI 추가, 데이터 클라우드 업로드 등 현실적으로 위험한 요소들이 의도적으로 나열됨
 - 전체적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을 일으킨 Microsoft Recall에 대한 비판적 풍자로, 기술 감시와 데이터 남용 문제를 드러내는 의미를 가짐
 
프로젝트 개요
- 
Recall for Linux는 Microsoft의 Recall 기능을 리눅스 환경에 ‘가져온다’는 설정의 풍자 프로젝트로, 실제 동작보다는 풍자적 메시지 전달에 초점
- README 첫 문장은 “리눅스를 써야 해서 불편한가? Microsoft가 당신을 감시하던 그 편리함이 그립지 않은가?”라는 문구로 시작
 - 이는 Microsoft Recall의 지속적 스크린 캡처 및 데이터 인덱싱 기능을 비꼬는 표현
 
 - 프로젝트는 GitHub에서 공개되어 있으며, 460개의 스타와 9개의 포크를 기록
- 저장소는 단일 실행 파일(
recall-for-linux.exe)과 README, LICENSE 파일로 구성 
 - 저장소는 단일 실행 파일(
 
주요 기능 설명 (풍자적 표현)
- README는 Recall 기능을 모방한 ‘24시간 화면 캡처’ , ‘OCR 기반 이미지-텍스트 변환’ , ‘채팅 및 이메일 내용 저장’ 등을 나열
- “친구가 부끄러운 비밀을 잊었더라도, 우리는 그 정보를 저장해두었다”는 문구로 데이터 영구 저장의 위험성을 풍자
 - “3주 전 밤에 방문한 웹사이트도 저장되어 있다”는 표현으로 사생활 침해의 과도함을 강조
 
 - 이러한 기능 설명은 실제 구현이 아닌 Microsoft Recall의 감시적 성격에 대한 비판적 패러디로 구성
 
설치 안내 (풍자적 경고)
- 설치 섹션은 “리눅스는 사용자의 동의 없이 자동 설치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는 문장으로 시작
- 이는 Windows Recall의 자동 활성화 논란을 비꼬는 표현
 
 - 설치 명령으로 
curl -fsSL https://tinyurl.com/2u5ckjyn | bash를 제시하며, “인터넷에서 무작위 명령을 복사해 붙여넣으라”는 문구를 덧붙임- “Virustotal 점수 98/100으로 인증된 바이러스 프리”라는 문장은 보안 신뢰성에 대한 풍자
 
 
로드맵 (풍자적 미래 계획)
- 향후 계획에는 암호화 구현(2028년까지 지연) , AI 기능 추가, 웹캠 사진 캡처, 항상 켜진 오디오 녹음, 데이터 클라우드 업로드 등이 포함
- “우리의 LLM을 당신의 데이터로 학습시키겠다”는 문구는 AI 학습 데이터 남용 문제를 비판
 - “Windows Foresight – 당신이 보기 전에 미래를 본다”는 항목은 예측형 감시 기술의 위험성을 풍자
 
 - “Add more AI, clanker clanker clanker”라는 표현은 AI 남용과 과잉 마케팅 현상을 조롱
 
프로젝트 의도와 의미
- 전체 README는 풍자적 유머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와 감시 기술의 경계 문제를 제기
- Microsoft Recall이 제기한 프라이버시 논란을 리눅스 환경으로 옮겨, 그 부조리함을 드러냄
 
 - 실제로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보안·윤리적 경각심을 일깨우는 오픈소스 풍자물의 성격
 - “Bring Microsoft Recall to Linux!”라는 슬로건은 기술 혁신의 명분 아래 감시가 정당화되는 현실을 비판하는 메시지로 해석됨
 
Hacker News 의견
- 
이건 단순한 풍자처럼 보이지만, 사실 Recall의 문제는 개념이 아니라 실행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Microsoft의 접근 방식 때문임
오픈소스 형태로 데이터 소유권과 투명성을 확보한다면 이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함
나는 e2e 암호화 신봉자들에게 부끄러워할 이유가 없음. 내가 본 모든 것을 검색할 수 있고, 앱별로 갇히지 않은 보편적 데이터 제어권을 갖고 싶음- 개념 자체도 나쁘다고 생각함. 모든 데이터를 제3자 서버로 보내면 언젠가는 인터넷에 공개될 것임
오픈소스든 비MS든 보안은 보장되지 않음. 일부 사용자가 동의하더라도 결국 모두의 안전을 해치는 결과를 낳음 - 나에게는 단지 AI를 끼워넣기 위한 시도처럼 보였음. 해결할 문제도 없는데 괜히 리소스를 낭비하는 느낌이었음
 - “e2e 암호화 광신도”라니, 나는 오히려 감시와 AI 집착에 반대함. 중요한 건 스스로 기록을 남기는 습관이지, 모든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게 아님
 - Windows는 업데이트 관리조차 내 마음대로 못하게 함. 이런 상황에서 Recall은 과도한 간섭의 극치임
Windows 팀이 이런 기능을 책임감 있게 구현할 성숙함이 없다고 봄. 구조적 변화 없이는 Recall 같은 기능은 위험함 - 예전에 Mac에서 Recall과 비슷한 기능을 직접 만든 사람의 글을 본 적 있음
계속 스크린샷을 찍고 로컬에 저장한 뒤,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가 질문할 수 있었음. 모든 처리가 완전히 로컬에서 이루어졌음 
 - 개념 자체도 나쁘다고 생각함. 모든 데이터를 제3자 서버로 보내면 언젠가는 인터넷에 공개될 것임
 - 
풍자이긴 하지만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버전이 존재함
openrecall 프로젝트를 참고할 만함. 대기업 방식이 아니라면 꽤 유용할 수도 있음- 농담처럼 보여도 실제로 꽤 기능적임
recall-for-linux 코드 일부를 보면 단순하지만 작동함 - 다만 이 대안도 스크린샷과 OCR 데이터를 암호화 없이 저장하고, 웹 UI 인증도 없음
대부분의 사용자는 암호화 볼륨을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MS 버전보다 나은 점은 데이터가 로컬에 남는다는 것뿐임 - 
Wayland 지원이 없다는 게 아쉬움
단순 화면 녹화용으로는 gpu-screen-recorder를 쓸 수 있음. 8시간에 약 10GB 정도라 단기 기록용으로 적합함 - 기능 자체는 유용함. 문제는 Microsoft의 추적 행위임
나는 ActivityWatch로 내 작업 시간을 추적해 청구용 데이터를 관리함. 완전 로컬이라 괜찮음 
 - 농담처럼 보여도 실제로 꽤 기능적임
 - 
1980년대 이후 처음으로 Microsoft OS를 완전히 버림
Windows 11은 삭제했고, 이제는 Linux만 사용 중임. 게임 외의 모든 작업은 Fedora 기반 환경에서 충분히 가능함- MS는 기술 사용자 몇 명 잃는 것보다 비전문 사용자로부터 얻는 수익이 훨씬 큼. 그래서 상황은 더 나빠질 가능성이 큼
 - “Windows 11을 버린다”는 건 MS 입장에서 최고의 고객임. 돈은 냈지만 지원 비용은 들지 않음
 - Steam 게임이라면 Linux용 클라이언트로 대부분 잘 돌아감. Proton 덕분에 호환성이 많이 개선됨
 - 나도 최근 완전히 Linux로 전환했음. RTX-3090으로 게임도 문제없음. 단, 침입적 안티치트가 있는 게임은 예외임
 - 가끔 생각함. 게임 산업이 Windows를 얼마나 떠받치고 있는지 궁금함
 
 - 
처음엔 진짜인 줄 알았음. 하지만 “microsoft_recall_linux.exe” 보고 웃었음
그래도 완전 로컬, 오픈소스 버전이라면 AI 학습용 데이터로 쓰고 싶음- 농담이지만 실제로 작동함. 단순한 bash 스크립트로 5초마다 스크린샷을 찍고 Tesseract OCR로 텍스트를 저장함
 - 예전에 감사 업무할 때 화면을 3fps로 녹화하고 10배속으로 돌려보며 기록을 남겼음. Recall 발표 때 꽤 흥미로운 기술이라 생각했음
 - 실제로 동작함. 
grim과tesseract를 이용해 루프를 돌리는 단순한 구조임 - screenpipe도 유망하지만 내 환경에서는 약간 문제 있음. 지금은 ffmpeg + x11grab으로 데이터만 덤프 중임
 - 직접 코드를 보면 진짜 로컬 오픈소스임. 나도 10년 넘게 비슷한 스크립트를 써왔음. 날짜별로 분리 저장하면 관리가 쉬움
 
 - 
Mac 전용이지만 완전 로컬 버전으로는 Dayflow가 괜찮아 보임
로컬 모델이라도 실행하기가 조금 망설여짐- 좋은 정보였음. 나는 ActivityWatch 위에 aw-llm-worker를 얹어 비슷한 걸 만들어봤음
 
 - 
설치 안내에
curl -fsSL https://tinyurl.com/2u5ckjyn | bash가 있어서 웃겼음
직접 실행하진 않았지만 스크립트를 읽어보면 꽤 재치 있는 풍자임. 개발자에게 박수를 보냄- tinyurl을 통해 실행시키는 것도 웃기지만, 원본 스크립트를 직접 읽어보면 더 재미있음
 
 - 
curl | bash설치 방식이 너무 흔함. 이런 프로그램은 제거도 어렵고, 보안상 즉시 경계 신호로 느껴짐- 개발자 탓이라기보다, Linux 커뮤니티가 표준 설치 방식에 합의하지 못한 탓임
 
 - 
“Linux에서도 Microsoft의 감시를 그리워하나요?”
이런 식의 풍자 광고 문구가 상상됨. Recall을 Windows 11의 “그리운 기능”처럼 포장하는 모습이 떠오름 - 
OneDrive 구독 알림이 뜰 줄 알았음
- 맞음, 그건 추악한 버그임. 로컬 저장도 마찬가지로 문제임 /s
 
 - 
예전에 Beagle 프로젝트가 Recall과 비슷한 걸 시도했었음
Beagle (software) 링크를 보면 그 시절의 맥락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