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3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KEYER는 한 손으로 사용하는 코드형 키보드로, 최소한의 손가락 움직임과 자유로운 다른 손 활용이 가능함
  • 오직 10개의 키로 215개 이상 코드 조합 및 다양한 아르페지오 입력을 지원하여 높은 입력 확장성을 가짐
  • 최적화된 레이아웃과 저지연 펌웨어를 제공하며, 원하는 손 모양에 맞춰 직접 제작할 수 있어 극한의 인체공학적 설계 실현이 가능함
  • 일반적인 메커니컬 키보드 대비 저렴하고, 특별한 부품 필요 없이 간단한 공구와 소재로 제작할 수 있음
  • 오픈 소스 펌웨어와 함께 레이아웃 자동화 도구 및 다양한 참고 자료가 포함되어 커스텀 키보드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유익함

KEYER 오픈 소스 프로젝트 소개

KEYER는 한 손으로 작동하는 코드형 키보드(Chorded Keyboard)의 제작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펌웨어와 도구 세트임.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고가 상업 제품이나 복잡한 3D 프린팅, 커스텀 PCB 없이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부품과 간단한 공구로 누구나 직접 인체공학적으로 키보드를 만들 수 있다는 점임.

주요 특징

  • 최소한의 손가락 움직임: 모든 키가 홈 포지션에 가까워 손가락을 거의 움직이지 않고도 빠르게 입력 가능함
  • 자유로운 다른 손 활용: 한 손으로 타이핑하면서 다른 손으로는 마우스 사용이나 음료 등을 들 수 있음
  • 언제나 손 가까이에 위치: 키어를 장갑에 부착해 놓으면 손을 잠시 떼어도 양손 모두 자유롭게 사용 가능함
  • 엄청난 코드수 지원: 10개의 키(엄지 3, 검지 2, 중지 2, 약지 2, 소지 1) 조합으로 215개 코드 구현, 코드 유지 시 두 배 확장도 가능함
  • 아르페지오(rolling motion) 활용: 두 방향 아르페지오 2×78개 실행 가능, 입력 확장성 뛰어남
  • 다중 레이어: 베이스 레이어에만 586개 바로가기 지원, 각 레이어별 다양한 조합 가능
  • 롤링 코드: 두 코드에 공통된 손가락 포지션이 있을 때 변경되는 손가락만 움직이면 되어, 효율적임
  • 레이아웃 최적화 도구: 번들된 옵티마이저로 입력 텍스트 또는 사용자 지정 손 움직임 비용 함수에 기반한 레이아웃 자동 탐색 지원
  • 인체공학적 레이아웃: 손가락 신경-운동 경로 특성상 눌리기 어려운 조합은 방지, 사용성 극대화
  • 저지연 구현: 하드웨어 인터럽트 기반 펌웨어에 소프트웨어 디바운싱까지 더해 반응성과 정확성 우수함
  • 장기간 배터리: 고용량 18650 배터리, 저클럭 CPU, 블루투스 절전 구현, 하드웨어 전원 스위치로 오랜 사용 가능

제작의 간편함

특별한 3D 프린팅이나 커스텀 PCB 불필요. Amazon에서 부품 구매 + 핫글루건 + 납땜인두만 있으면 제작 가능함.

  • 손에 직접 맞게 실리콘 점토로 몰딩하여 극한의 인체공학적 설계 실현
  • 부품비 약 $34로 매우 저렴함, 기계식 스위치 10개만 장착

다양한 참고 자료 및 홍보 링크

  • 소프트웨어 방식(Penti Chorded Keyboard), ESP32용 BLE 키보드 라이브러리, 3D 프린팅 무료 설계(예: Typeware), 기존 상업용 제품(Twiddler, Decatext 등) 정보 포함
  • 블로그 및 타이핑 시연 동영상 링크 제공

제작 가이드 요약

재료 목록

  • LILYGO T-Energy S3 개발보드 ($9.70)
  • 삼성 INR18650-35E 3500mAh 배터리 (~$2.95)
  • FIMO 프로페셔널 점토 또는 효과 점토($2.75)
  • 기계식 스위치 10개 (Gateron G Pro 3.0 추천, $10)
  • 약간의 굵은 절연 구리선, 기타 소모품 및 공구(집게, 칼, 장갑, 핫글루건, 인두기 등) 포함

Skeleton(골조) 제작

  • 구리선으로 GND 루프를 만들고, 보드의 GND 포트에 납땜
  • 각 스위치를 GND 루프에 접촉하도록 고정(처음에는 핫글루, 이후 납땜)
  • 스위치에서 보드 IO 포트로 개별 연결(포트/스위치 매핑을 기록해야 함)
  • 스위치 배열 및 키캡 위치 조정 → 견고해진 구조 확인

점토로 몰딩

  • 스위치 하단 등을 감싸며 점토를 여러 층 추가
  • 점토는 충분히 반죽해서 뭉치지 않게 함, 조각들은 문질러 평탄화
  • 완성 후 오븐에서 110도C로 30분 이상 경화, 내구성 확보

펌웨어 업로드

  • PlatformIO Core 설치, T-Energy S3 보드를 USB로 연결
  • GitHub 저장소 클론, 빌드, 펌웨어 업로드
  • Bluetooth 장치명 확인(프로젝트에서 본인 이름 등으로 수정 가능)
  • 시리얼 출력 등 디버깅 지원

레이아웃 최적화 도구

  • layout_generator/corpus에 입력 텍스트 추가, planner.py로 최적 레이아웃 자동 생성
  • keyer_simulator.cpp에서 손가락 별 움직임 비용등 사용자화 가능

기타 아이디어

  • 6축 가속도 센서 부착 시 에어 마우스 지원
  • 키 개수 축소 등 변형 가능성 제안

저장소 구조

  • layout_generator/: 파이썬 기반 코드/레이아웃 최적화 스크립트
  • src/: ESP32용 펌웨어 소스
  • 기타: SDK 설정, 텍스트 평가 파일, 시뮬레이터 등

결론 및 활용성

KEYER는 손에 꼭 맞는 초소형 코드형 키보드를 직접 제작하고 싶은 개발자, 해커, 메이커를 위한 저비용, DIY, 고확장성 솔루션임.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두 오픈소스로 제공되며, 사용자 맞춤형 레이아웃, 인체공학 설계, 저전력/저지연 펌웨어 등 차별화된 장점을 보임. 키보드 해킹 및 입력 장치 커스텀에 관심 있다면 매우 유용한 레퍼런스임.

Hacker News 의견
  • 인체공학적인 3x10 키만 있는 키보드를 사용해봤던 경험이 있음 (정확히는 분리형이라 2x3x5 배열임) 키 입력 방법이나 특수 문자, 숫자 입력법을 새롭게 익히는 데 시간을 들이고 싶지 않았음 특히 대부분의 연습 시간이 업무 시간에 해당돼서, 초기 생산성 저하를 감수하고 싶지 않았음 결국 ZSA Moonlander를 선택했고, 키가 너무 많다고 느끼는 매니아들에게는 부담일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매우 만족함 이런 핸드헬드 해커 키보드는 어릴 적 꿈꾸던 멋진 사이버 미래를 떠올리게 해서 항상 애착이 생김 정말 멋진 프로젝트라 생각함

  • 전경에 손이 타이핑하는 모습과 배경에 화면을 함께 찍어서 입력 난이도와 속도를 보여주는 짧은 영상을 만들어주면 어떨지 제안함

    • 비디오를 보게 되면 실제 목적이 더 궁금해짐 이게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키보드인지, 아니면 음악을 만드는 키보드인지 혼동됨 본문에서 코드와 아르페지오 이야기가 나와 음악 프로그래밍 도구인 줄 알았음 본 목적이 무엇인지 헷갈림

    • 영상 하나 꼭 부탁함

  • 멋진 작품이라는 감탄과 함께 이런 제품은 키어(keyer)로 알려져 있다는 점을 소개함 참고 링크는 Wikipedia Keyer: Computer interface keyers 임 1980년대 초 젊고 순진했던 시절 아버지 친구가 WriteHander를 가지고 있어서 이런 기기에 대한 애착이 생김 WriteHander 정보는 WriteHander 참고 링크로 남김

    • WriteHander 링크의 사진은 오른손잡이 기기가 아니라 왼손잡이(사우스포) 타깃으로 보인다는 의견임
  • 해커스러운 끝판왕 장치라고 생각함 COTS(기성품) 부품 사용과 점토로 손에 딱 맞게 만든 부분이 특히 인상적임 효율적인 제작 방식임

  • 너무 멋진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며 이런 장치를 언젠가 직접 만들고 싶다는 상상을 자주 해왔음 가끔 Termux로 휴대폰에서 간단한 시스템 관리를 할 때마다 항상 떠오르는 아이디어임 minichord라는 오픈소스 신시사이저/악기도 연상됨 필수 하드웨어와 도구들이 넘쳐나는 시대라 이런 창의적인 장치들이 탄생하는 게 멋지다고 생각함 멋진 프로젝트임

  • 유리를 톡톡 두드리는 걸 싫어해서 실수만 연발하는 스타일임, 그래서 항상 대안 입력방법을 고민함 정말 멋진 프로젝트와 정리 글이라 생각함 하지만 실행하는 영상과 (가능하다면 제작 과정도) 보고 싶으니 꼭 영상도 공개해주면 좋겠음

  • 완전 멋진 작품이라는 평가임 Oculus 정도만 추가하면 진짜 Johnny Mnemonic처럼 될 수 있을 것 같음 참고 영상은 Johnny Mnemonic 유튜브 영상

  • 정말 멋지다고 생각함 Azeron이 비슷한 제품을 내놓지만 휴대용은 아님 (Azeron 측에도 참고가 될 수 있을 듯함) 그리고 키 개수가 훨씬 많음 키가 많기 때문에 코드 입력도 쉽고, 전체 키보드 대체가 가능함 한 쪽 팔/손만 쓸 수 있는 사람(특히 참전 용사 등)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음 60일 환불 정책도 인상적임 본사는 라트비아에 있고 일부 부품은 3D 프린터로 제작됨 웹사이트는 Azeron 웹사이트임 나 역시 Cyro라는 베타수직 마우스를 구매해 사용 중임 이 라인업에서는 이례적인 마우스이며 버튼이 많음 이 분야에서 제일 괜찮은 마우스라고 생각함, 다만 무선이었으면 더 좋겠음 USB2BT 모듈로 무선 개조를 시도했으나 몇 가지 문제가 있었음 사용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코드 입력 방식의 제품 UX에 관심이 있다면 Artsey와 Ardux(Ardux 공식사이트)를 참고해볼 만함 Artsey는 한 손 전용 2x4 코드형 자판이고 Ardux는 그 개선/확장판임, Colemak 레이아웃에서 많은 점을 참조함 개인적으로 2x4의 단순함이 마음에 듦 OP의 장치도 멋지지만 엄지손가락 동작의 인체공학적 설계가 조금 아쉬움

  • 귀엽다고 생각함 나는 Bluehand(Bluehand 사용기)를 사용하는데, 내려놓지 않고 쓸 수 있으면 더 좋을 거라고 늘 생각함

    • 이 장치를 매일 사용하냐는 질문과 텍스트나 코드 입력에도 쓰는지 궁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