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지하철역 모델
(stations.albertguillaumes.cat)- 유럽 주요 도시의 지하철역 및 환승 구조를 상세히 비교 설명함
- 역사적, 지리적, 기술적 요소에 따라 각 도시 지하철역의 특징이 다양함
- 환승역 구조는 이동 효율성과 연계성 향상에 초점을 두어 설계함
- 지하 깊이, 승강장 배치, 경로 길이 등이 도시/노선별로 크게 다름
- 각 도시별 지하철 발전 역사와 개별 최적화 방식도 함께 서술함
Alicante
Alicante 도시의 대중교통인 TRAM은 지하 구간에서 3개의 역만 운행함. 승강장들은 2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역은 지하 주차장과 직접 연결됨.
Amsterdam
Amsterdam은 최근 개통된 North-South Line(Noord/Zuidlijn, M52)과 기존의 M50, M51, M53, M54 노선으로 크게 나뉨. 대부분의 지하역은 -1층에 중이층, -2층에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짐. 지상 및 고가역도 대체로 섬식 승강장이지만, 출입구와 매표기는 지상에 배치됨. 주요 철도와 병행 구축되어 있어 환승 편리성이 높음.
Antwerp
Antwerp의 Premetro는 지하 트램 시스템으로, 대규모 트램 네트워크에 비해 짧으나 구조가 복잡함. 철도역과 연계한 Astrid, Diamant역 등은 트랜스퍼 허브를 이루고, 플랫폼이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하는 복층 구조를 사용함.
Barcelona
Barcelona는 100m 이상의 긴 환승 통로가 특징적이며, 독립적인 노선 발전, 느린 확장 속도 등으로 인해 장거리 연결이 흔함. 1980년 이후에는 환승 효율성을 높인 설계가 도입되었고, 최근에는 수직 이동(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이 많은 'vertical transfers' 구조가 적용됨. 과거에는 측면 승강장 구조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역은 중앙 승강장 비중이 높음. Barcelona solution(스페인 솔루션) 으로 불리는 3플랫폼 구조도 대표적인 설계임.
Berlin
Berlin은 U-Bahn(지하철)과 S-Bahn(도시철도)이 병행함. 초기에는 얕은 지하, 직통 출입구 구조였으나 현대적 역은 더 깊고 복층 환승이 가능함. 대다수 환승역은 단순하고 섬식 승강장이 우세함.
Bilbao
Bilbao 대중교통은 기존 협궤 철도를 토대로 개발됨. 지리적 고저차로 인해 역마다 구조가 다르며, 중심부는 지하, 외곽은 지상의 구성을 띔. 일부 환승역은 특히 효율적인 디자인을 보유함.
Boston
Boston의 지하철은 초기 트램터널 설계 흔적이 역구조에 남아 있으며, 일부 역은 승강장이 층마다 오프셋되어 있음. 대부분 얕은 지하에 위치함. 네트워크 계획이 없이 발전하였으나, 효율적 환승 구조가 특징임.
Brussels
Brussels 지하철은 계획적으로 개발되어, 일시적 프레메트로 이후 완전 메트로화가 진행됨. 표준화된 역레イアウト과 효율적인 환승 시스템을 보유하나, De Brouckère역 등은 예외로 긴 통로가 존재함. 크로스플랫폼 환승이 일부 역에서 가능함. 최근 몇 년간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 게이트가 도입됨.
Budapest
Budapest는 유럽 대륙에서 최초로 메트로를 도입한 도시로, 노선별 터널 깊이와 승강장 형태가 다름. Line 1은 얕은 지하와 좁은 터널을 사용, Line 2, 3, 4는 깊은 평행 갤러리형 섬식 승강장을 채택함. 환승 방식은 역에 따라 다르며 긴 통로나 에스컬레이터 등을 통해 연결됨.
Bucharest
Bucharest 지하철은 얕은 깊이의 cut-and-cover 공법으로 건설됨. 승강장은 -1 또는 -2층에 위치하며 구조에 따라 중앙 또는 측면 플랫폼을 사용함.
Buenos Aires
Buenos Aires의 Subte는 남미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임. 대부분 얕은 지하에 위치하며 독립 플랫폼 출구가 많음. 환승역은 노선별로 역명이 달라 혼동이 있을 수 있음.
Copenhagen
Copenhagen은 자동화, 명확한 표준형 역구조(중이층, 착륙, 섬식 플랫폼)를 가지고 다양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로 환승 및 이동이 용이함.
Frankfurt
Frankfurt의 U-Bahn은 Stadtbahn(경전철) 성격이 강하며, 거의 모든 환승역이 빠른 연결에 초점을 맞춤. Hauptwache역에서는 크로스플랫폼 환승이 제공됨.
Glasgow
Glasgow는 독특한 원형 지하철 시스템으로, 대부분 좁은 섬식 플랫폼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개수요가 높거나 환승 거점인 역은 완전히 재설계되기도 함.
Hannover
Hannover의 Stadtbahn은 세 개의 메인트렁크가 한 역에서 만나는 복합 구조로, 일반적으로 -1층 중이층과 -2층 측면 플랫폼을 사용하는 표준 구조임. 크고 복잡한 환승역(Kröpcke 등)을 보유함.
Lyon
Lyon은 노선별로 기술 차이가 큼. 일부는 고무 타이어, 일부는 랙 철도 방식 적용, 노선·역마다 플랫포머 깊이 및 구조가 상이함. 여러 환승역은 매우 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주요 철도역과의 연계 통로는 상당히 긴 편임.
Lisbon
Lisbon은 최근까지 네트워크가 Y자형 단일 노선이었다가 다수 노선으로 분화함. 신형 역일 수록 깊이가 깊어지고 단일 중이층+플랫폼 구조가 일반적임.
London
London Underground는 sub-surface(얕은 지하)와 deep tube(깊은 원형터널) 의 두 네트워크로 구성됨. 초기 기업별로 독립 운영되어 환승 불편이 있었으나, 점차 개선됨. 일부 환승역은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해 일방통로 구조가 채택됨.
Madrid
Madrid은 좁은 프로파일과 넓은 프로파일 라인으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깊이와 플랫폼 구조를 가짐. 주요 환승역에 대형 중이층 및 다양한 이동수단과의 연계를 제공함.
Marseille
Marseille은 교차점에서 짧은 환승 통로 제공, 지하 구조의 깊이에 따라 다양한 승강장 레이아웃이 있음. 옛 트램터널이 환승 회랑으로 사용됨.
Milan
Milan은 슬러리월 공법의 선도적 도입과 승객 흐름 최적화를 위한 일방향 계단/통로를 주요 역에 적용함. 일부 환승역에서만 긴 통로가 있음.
Paris
Paris Metro는 유럽에서 가장 복잡한 환승 구조를 가짐. 20세기 초부터 bidirectional passageway, 자동문 도입 등을 통해 점차 복잡화됨. RER 개통 후 역간 거리의 이점을 살려 복수역 간 지하 연결망을 구축함.
New York
New York 지하철은 로컬·익스프레스 별 4선 병렬 구조가 도드라짐. 얕은 지하 터널과 특유의 강철기둥을 가지며, 환승역은 대체로 효율적으로 설계됨.
Prague
Prague는 방사형 네트워크로, 주요 환승역들은 다양한 깊이와 짧은 연결통로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됨. 일부 역은 타 매표소와 상점이 매표홀에 입점함.
Rome
Rome은 비교적 적은 노선수, 대규모 환승역과 혼잡 완화를 위한 일방통로·에스컬레이터 등 다양한 동선 설계를 보유함.
Rotterdam
Rotterdam은 간결한 레이아웃을 갖고 있으며, 일부 환승역은 수직직결 계단으로 빠른 이동을 제공함.
São Paulo
São Paulo는 신생 대도시 지하철로, 대형 승강장과 Barcelona solution(하차-승차 플로우 분리)로 승객 흐름을 효율화함.
Saragossa
Saragossa는 사실상 도심 통근열차의 지하 구간으로 환승과 플랫폼 접근성이 뛰어남.
Valencia
Valencia는 기존 협궤선을 도시 중심부 터널로 연결해 도심에서는 지하철, 교외에서는 철도 성격을 갖음. 독특한 레이아웃의 일부 환승역이 있음.
Warsaw
Warsaw는 지역마다 각기 다른 플랫폼 구조(지상 측면, 도심 섬식, 깊이 차이)를 가짐. 효율적인 환승 허브를 보유함.
Vienna
Vienna의 U-Bahn은 Stadtbahn에서 진화하였고, 시대별로 아르누보 스타일, 심플 오프셋 구조, 복수 중이층 등 다양한 역 구조를 가짐. 1970년 이후 모든 환승역은 효율성 극대화 설계임.
Oslo
Oslo는 과거 교외 트램망과 현대 메트로의 통합으로 구성됨. 대부분 지상이나 얕은 지하/램프, 일부 깊은 역은 대용량 엘리베이터로만 접근 가능함.
Gothenburg
Gothenburg 트램은 단 한 개의 지하역(Hammarkullen)이 깊은 터널에 위치함. 플랫폼에서 대형 에스컬레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출구로 연결됨.
Hamburg
Hamburg는 U-Bahn과 S-Bahn의 조합, 얕은 지하역과 복합 승강장, 효율적 환승 구조(크로스플랫폼, 평행 승강장, 직결 계단 등)를 다양한 환승역에서 제공함.
Essen
Essen의 Stadtbahn은 두 개 주요 라인과 다양한 승강장 형태(얕은 측면, 깊은 중앙)를 가짐.
Dortmund
Dortmund는 저상 트램/고상 경전철 혼합 운용, 중앙역 부근 여러 승강장 조합과 복수의 도시철도 시스템(H-Bahn 포함)이 존재함.
Bochum
Bochum Stadtbahn은 북-남 방향의 복수 지하철 노선과 지하 트램이 혼합됨. 대부분 섬식 승강장, 중간층 입구 구조를 가짐.
Mülheim
Mülheim Stadtbahn은 루르강 하부 구간의 깊은 터널이 특징이며, 일반 Stadtbahn 배치를 채택함. Hauptbahnhof는 복합 교통 허브임.
Duisburg
Duisburg의 Stadtbahn/트램역은 주로 중앙 섬식 승강장을 채택하며, 두 환승역(Hauptbahnhof, König-Heinrich-Platz)은 복층평행 승강장 구조임.
Düsseldorf
Düsseldorf는 두 개의 주 도시철도선과 지하트램 메인라인을 가짐. 복수 트랙 평면 환승, 오버랩 플랫폼, 지하트램의 저상 플랫폼 등 다양한 구조를 혼합함.
Turin
Turin 메트로는 일관적 표준 구조(2측면 승강장, 중이층) 적용. 대형 환승역에서는 복잡한 복수 중간층과 연결통로, 대형 캐노피 건축이 특징임.
Lausanne
Lausanne 메트로는 m1, m2 두 노선. m1은 경전철, m2는 자동화·고무타이어형이며, 지형에 따라 매우 다양한 승강장 구조를 보임. Flon, Riponne 등 특정 지점은 엘리베이터 복수로 연계.
Porto
Porto는 신설 경전철 네트워크로, 일반 노면역/지하역 모두 플랫폼 배치와 이용 방식이 다양함.
Munich
Munich U-Bahn은 중심부에 다수 노선이 합쳐지며, 대체로 섬식 승강장+중이층 레이아웃, 명예 시스템을 사용함.
Hacker News 의견
-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역인 도쿄 신주쿠역의 3D 모델을 소개함 https://satoshi7190.github.io/Shinjuku-indoor-threejs-demo/ 신주쿠역은 하루 360만 명이 이용하며, JR East의 메인 역과 인접한 사철까지 총 35개 플랫폼, 지상/지하 상가, 그리고 여러 복도에 17개 플랫폼이 더 있음 다른 역 다섯 곳과도 바로 연결되는 복도 덕분에 외부로 나가지 않고도 이동 가능함 출구 개수만 200개가 훌쩍 넘음
- 기차 이야기 할 때 일본이 너무 자주 언급되는 게 좀 불공평하다는 생각임 실제로 대부분의 기차 관련 데이터에서 아시아 여러 나라, 특히 한국이나 대만은 아예 다루지도 않음 상하이처럼 도쿄 못지않게 발전한 도시철도도 많고, 뭄바이 같은 중아시아 도시들도 혼잡하기로 유명함 이런 정보도 같이 깊이 있게 다뤄야 진짜 글로벌한 시각이 생긴다고 봄
- 모델이 실제 스케일 그대로인지 궁금함 특히 거의 수직에 가까운 점선들은 경사 리프트나 에스컬레이터인지 궁금함 브뤼셀 Porte de Hal/Hallepoort 같은 역과 비교했을 때 너무 가파르게 보임 http://estacions.albertguillaumes.cat/img/brusselles/porte_de_hal.png
- 모바일에서 시각화가 정말 잘 작동되어서 감탄함 디자인도 너무 멋짐 일본 아티스트들의 SF 디자인 능력은 여전히 최고라 생각함
- 하루 360만 명이면 진짜 미쳤다는 느낌임 이 수치면 도쿄 인구 비율로 꽤 큰 비중일 것 같음
- 신주쿠의 출구 8번은 애들 장난처럼 느껴질 정도임 Saint-Lazare가 내가 직접 본 역 중에서 제일 복잡했음 (길 잃어버림)
- 이 프로젝트 정말 놀랍고, 공식 자료도 적극 활용한 디테일이 인상적임! 개발자가 카탈루냐 출신이라길래, 지금 바르셀로나에서 진행 중인 지하철 관련 행사도 알리고 싶음 바르셀로나에는 “고스트” 지하철역이 여러 개 있는데, 그 중 Gaudí와 Correus 역이 지금 공개 투어로 일반인에게 개방됨 https://obrimelmetro.cat 10년 전쯤엔 Gaudí 역을 비공식적으로 들어가 본 적 있는데, 이번 정식 투어는 아직 못 해봐서 얼마나 재미있을지 보장 못하지만, 단 5000명만 신청 가능함 밤에 하는 투어도 있다는 소문이 있어서 현역 지하철 레일을 달리지 않아도 도시탐험 느낌 가까이 느낄 수 있을 것 같음
- 런던에도 이런 “고스트 역” 투어가 상시로 운영되고 있는데 가격은 비싸지만 그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음 생각함
- 취리히에 있는 역들은 사실상 메트로역이 아니고, 원래는 메트로용으로 설계, 건설되었지만 시민들이 메트로 도입을 반대해 이미 지어진 역들을 노면전차용으로 개조함 트램은 거의 터널에 끼어들 듯 지나가야 할 만큼 높이가 아슬아슬함 판토그래프가 터널 진입 시 거의 완전히 눌린 상태로 변형됨 트램 문이 한쪽에만 있어서, 도로의 좌측으로 바꿔 주행해야 함 https://cdn.dreso.com/fileadmin/processed/0/3/csm_Tierspital_final_3000X1680_web_2599de9f1f.webp https://de.wikipedia.org/wiki/…
- 판토그래프(pantograph)와 사진(photo) 용어를 헷갈리셨던 것 같음 판토그래프는 차량의 전력을 받아오는 장치임 https://en.wikipedia.org/wiki/Pantograph_(transport)
- 취리히 시민들은 대체 왜 메트로 도입을 반대했는지 이유가 궁금함
- Tierspital 역이 왜 이렇게 특이한지 늘 궁금했는데 이제 알게 됨
- 트램이 한쪽 문만 있어서 좌측 주행을 한다니 이건 진짜 이상한 비용 절감 시도인 것 같음
- 한 사람이 지난 10년 동안 전 세계 약 2,547개 역을 그리고 3D 모델로 공개해 왔다고 함, 지금까지 인터넷에서 본 것 중 최고임 대단함
- 이런 규모의 지도는 처음 봤고, 하나 아쉬운 점은 줌 속도가 느림 (Leaflet 말고 더 좋은 지도 엔진 추천?) 그리고 파리의 주요 역 Châtelet-Les Halles가 빠져 있음 그 외에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퀄리티임
- Leaflet도 설정만 잘하면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OP가 3,000개 마커를 한 레이어에 이미지를 dom에 다 올려서 그런 것 같음 마커 클러스터링을 쓰면 더 좋을 것 같음
- Châtelet 역은 사실 들어가 있음 3D 아이콘을 클릭하면 미로 같은 복도가 3D로 나타남
- 내 갤럭시 S23에서는 줌 잘 동작함 Châtelet les Halles도 'Château d'eau' 바로 다음에 나옴
- 놀라운 작업임 바르셀로나에서 환승통로가 너무 길어서 줄곧 의아했는데, 역사적으로 각 지하철 라인이 독립적으로, 다른 회사들에 의해 제각기 확장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어 있음 실제로 1932년에 1호선과 4호선이 Urquinaona에 도달했지만, 회사가 달라서 1972년이 되어서야 두 노선이 연결됨 이 때문에 미리 긴 복도가 생긴 것임
- 런던도 여러 회사가 각자 노선을 운영하다 보니 비슷한 현상이 있음 예전 King’s Cross/St Pancras 리뉴얼 때 Piccadilly와 Victoria 노선 사이 환승길이 공식적으로 훨씬 길어졌음 (분 단위로 걸어야 함) 사실 두 노선 플랫폼 끝이 거의 붙어 있는데도 관광객용 계단은 먼 길로 유도해서, 혼잡 완화를 노린 선택 같음 실제로 출근 시간엔 혼잡으로 플랫폼 입장을 막는 경우도 여러 번 경험함
- 더블린의 Connolly처럼, 원래 두 개의 역이 합쳐진 복합역 구조임에도, 환승이 불편할 수 있음 본선 역을 통과해 10분 정도 걸어가야 다른 노선에 탈 수 있는데, 제대로 된 입구만 있으면 이런 불편함이 없을 것임 새 입구를 만든다는 얘기는 있지만, 실제로 될지는 지켜봐야 알 것 같음
- 뉴욕도 옛날엔 각각의 회사가 경쟁적으로 자기 고객을 확보하려다 보니 길고 긴 통로가 많아진 배경이 있음
- 정말 멋진 작업임 우크라이나의 Kyiv와 Kharkiv 역들이 빠져 있어서 아쉬움 이 도시는 지하에 매우 깊은 역(예를 들면 Arsenal'na는 105m 깊이에서 바로 지상역 Dnipro와 연결)도 있고, 옛 소련 시대와 새로운 역이 공존함 무엇보다 요즘 전쟁 중에는 수백만 명 시민이 공습 대피소로도 지하철을 활용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함
- 이런 정보를 공격자가 활용해서 악용할 수도 있으니 본의 아니게 빠졌을 수도 있음
- 함부르크 Jungfernstieg 역은 너무 복잡해서 아예 공식 3D 모델 기반 안내 앱까지 만들어졌음 https://zaubar.com/app?url=zaubar.dev/hochbahn?scene=010
- 라이프치히의 Hauptbahnhof(중앙역)은 데이터가 너무 간단하거나, 반대로 너무 꼼꼼하게 디테일만 강조한 나머지 실제 필수 구조물이 빠져있음 “Westseite”와 트램 9호선 정차 구간이 안 나와 있는데, 실제로는 환승이 자유로움 S-Bahn 노선도 바로 아래에 있지만 표기되어 있고, 역 이름도 “Leizpig”처럼 잘못 표기되어서 좀 웃김 Bayerischer Bahnhof랑 Wilhelm-Leuschner-Platz처럼 트램 정류장도 빠져 있음
- 예전에 베를린의 Nollendorfplatz를 이용하다 10분 정도 길을 잃은 경험이 있음 (역이 엄청 큰 곳도 아닌데도) 36시간 넘게 잠을 못 잔 상태라 내 탓으로 돌렸지만, 이 사이트 구조도를 보니 의심했던 대로 U1과 U3가 방향별로 서로 다른 층에 있어서 정말 헷갈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