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최초로 UN 오픈소스 원칙 공식 지지한 정부
(social.numerique.gouv.fr)- 프랑스 정부가 UN 오픈소스 원칙을 세계 최초로 공식 지지함
- 이 결정은 프랑스 디지털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발표됨
- 실제 조치로 이어질지, 혹은 단순 의향 선언에 그치는지에 대해 의문 제기됨
- 한편, 프랑스 교육부는 여전히 Microsoft 솔루션 도입 계약을 체결함
- 관련 정책의 실질적 실행 여부와 구속력 논의가 진행 중임
프랑스 정부의 UN 오픈소스 원칙 공식 지지
- 프랑스는 세계 최초로 UN 오픈소스 원칙을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정부가 됨
- 디지털 전환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공공부문 확산을 위해 여러 정부 기관 및 관계 부처가 관련 내용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에 공유함
실제 실행과 선언 사이의 논의
- 정책적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이 만들어질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함
- 오픈소스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공식적 동의가 행정적, 법적 실행으로 이어질지에 관해 관심이 높아짐
교육부의 Microsoft 솔루션 도입
- 2025년 3월 14일 발표된 공식 입장에 따르면, 프랑스 교육부와 고등교육·연구 부처는 중앙 및 대학기관을 대상으로 Microsoft 솔루션을 도입하기 위한 계약을 다시 체결함
- 이는 오픈소스 정책 의지와 상반되는 행보로, 실제 현장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채택이 제한적임을 시사함
향후 정책 방향 및 과제
- 오픈소스 원칙 공식 지지 이후, 이를 실제로 공공부문에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 조치와 정책 보완이 요구됨
- 구속력 있는 법적 장치 마련과 현장 적용 사례 확대가 앞으로의 주요 과제임
관련 문의와 참고 링크
- 프랑스 국민의회 공식 질의문: 여기서 확인하기
- 일부 시민과 관계자는 단순 선언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질적 실행력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함
Hacker News 의견
-
이건 보여주기식 행동이고, 실상은 다르다는 생각임. 프랑스 정부가 오픈 소스를 지지한다고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님. 실제로는 대부분의 공적 자금이 독점 소프트웨어에 쓰이고, 오픈 소스는 예외임. 두 달 전에 프랑스 정부가 Microsoft와 'Éducation Nationale' 부서용 ‘open bar’ 계약을 체결했음. 1억 5200만 유로인데 오픈 소스는 아님. 며칠 후 주요 국영 기관(Polytechnique)에서 MS Office 365로 이전 발표도 함(이메일 시스템 포함). 몇몇 법과 공식 명령을 위반하는 행위임(반군사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
이 상황은 좀 더 복잡한 측면이 있다는 생각임. 한 번 오픈 소스를 선택한 서비스를 사람들이 크게 이슈 삼지 않는 경향이 있음. CNLL이 Polytechnique를 비난할 수 있는 이유는 명확한 지침이 있어서임. 그런 지침조차 없다면 훨씬 더 나쁜 상황이라는 생각임. 또 ‘대부분의 공금’과 관련해선, 오픈 소스 계약이 대부분 수십억 단위로 이뤄지지 않고 내부 인력 채용에 많은 돈이 들어가고 외주에는 일부만 쓰인다는 점이 있음
-
지켜봐야 할 일이지만, 예전의 구체적인 실적을 보면 낙관적으로 보기 어려운 상황임
-
여전히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첫걸음이라는 생각임. 미국과 트럼프의 관세 문제를 계기로 등장한 움직임임. 내 나라의 정부 기관에서도 미국 소프트웨어 대기업에서 벗어나자는 논의가 많아지고 있음. 최근 한 부서가 AWS에서 Hetzner로 옮겨서 예산도 절약함. 유럽 기반 오피스 제품을 만들자는 논의도 들은 적이 있음
-
-
나라에서 공공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오픈 소스가 기본 값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신뢰를 구축하는 유일한 방법임. 장기적으로는 오픈 소스와 폐쇄형 정부 소프트웨어가 독재국과 민주국을 구분 짓는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임
-
‘독재국과 민주국의 구분’이라는 말이 처음엔 과장으로 느껴졌지만, 곰곰 생각해보니 오히려 사실이라고 봄. 투표, 인구 조사, 세금, 보고, 규정 준수에 관련한 모든 인프라가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고 있으니, 정부의 완전한 투명성이 필수인 상황임
-
자유롭고 개방된 기술이 자유롭고 개방된 사회의 기반이라는 확신임
-
-
더 많은 공적 자금이 오픈 소스에 투입되는 걸 보고 싶다는 생각임. 설령 그게 민간 기업의 클라우드 CI 서비스에 쓰이더라도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함. 많은 프로젝트가 사용 가능한 CI 리소스와 빌드/테스트 설정 수를 균형 있게 맞추기 위해 고생하는 현실임
-
미국의 오픈 소스 원칙과 비교하면, 미국에서는 기본적으로 것들이 퍼블릭 도메인화된다는 점이 흥미로움
-
전 세계에 오픈 소스가 더 널리 퍼져서 사람들이 Windows, MacOS, iOS, Android,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벗어나는 방책을 보고 싶다는 기대임. 미국 기술 기업들이 이런 비교적 간단히 대체 가능한 제품들로 수십억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생각함
- 하고 싶다면 직접 실천하라는 조언임
-
이런 소식이 놀랍지 않음. 2017년에 ETAlab과 교류한 이후로 프랑스 정부가 오픈 소스에 대해 매우 진취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는 인상을 받음. g0v.tw나 vTaiwan 프로젝트 등 최신 시빅 테크 흐름을 누구보다 빨리 추적하고 있었음
-
중요한 건 이 조치가 단순히 상징적인 것에 그칠지, 아니면 국가가 실제로 조달 정책과 공급업체 요건에 원칙적으로 변화를 주는지임. 예컨대 모든 공급업체가 기본적으로 오픈 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오픈 소스 인프라 유지에 자금을 보탠다면 더 인상적일 수 있음. 그렇지 않으면 선언문 수준에서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임
-
시간이 좀 걸릴 거라 보지만 이미 실질적 적용 사례가 많다는 점을 말하고 싶음. Libre office가 50만 대 이상의 정부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음. 연구자로서 프랑스 박사들과 협업할 때 그들이 Libre 문서와 시트를 보내오는 일이 많았다는 경험이 있음
-
이걸 공공 소프트웨어를 위한 지침 원칙으로 보는 편임. 예를 들어 시민들이 세금 신고, 신분증 갱신 등에 이용하는 앱이 해당됨
-
-
이런 움직임이 LLM(대형 언어 모델)에도 적용되는 건지 궁금함. 적용된다면 오픈 소스를 어떻게 정의할지도 궁금함. 특히 Meta의 ‘Open’이라는 허상을 프랑스 정부가 부인하는 것을 보고 싶음
-
https://www.comparia.beta.gouv.fr/modeles에서 여러 모델을 비교하는데, Llama의 다양한 라이선스를 ‘오픈 소스’로 잘못 표기하지 않음. 참고로 https://opensource.org/ai/endorsements에서 code.gouv.fr가 리스트에 포함됨
-
딱 그 여덟 가지 지침이 전부임. 별로 구체적이지 않고, 정의보단 의도가 더 중요함. 정책이 아니라 목표 선언임
-
나는 데이터는 ‘소스’라고 보지 않음. 책이든 사운드트랙이든 영상이든 나에겐 해당 안 됨. 훈련용 코드, 실행용 소프트웨어가 오픈 소스의 핵심이라는 인식임. 훈련된 데이터와 벡터화된 데이터도 자유로워야 하느냐?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음. 하지만 이 UN 이니셔티브에선 그런 것까지 다루지 않는다고 생각함
-
-
프랑스에도 Sovereign Tech Agency 같은 기관 혹은 그에 대한 자금 지원이 언제 생길지 궁금함
-
프랑스는 이런 분야에서 과소평가된 명성이 있다고 생각함. 프랑스 시민으로서, 행정 업무를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게 얼마나 쉬워졌는지, France Connect 같은 도구 하나로 어디서든 로그인 가능한 시스템을 보면 감탄하게 됨
-
프랑스에서 암호화 기능이 있는 iOS 앱을 유통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큰 불편함이 있었음. 관료 절차가 너무 복잡해서 결국 프랑스 앱스토어에서 앱을 제거하고, 항의가 들어오면 국회의원에게 이 법을 바꿔달라고 요청하라고 말함. ‘실례합니다, monsieur, 그 수학에 라이선스 있으신가요?’라는 농담도 할 수밖에 없음
-
프랑스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공공 일자리가 있는지, 아니면 정부 기관 소속(이 역시 공공 분야이긴 하지만 성격이 조금 다름)으로 일하는 시스템인지 궁금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