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사는 법
(utsavmamoria.substack.com)- 위키피디아 링크를 따라가면 95%가 철학 문서로 귀결됨, 이는 모든 지식이 근원적 사유로 이어짐을 상징함
- 현대인의 "인식 불안(epistemic anxiety)" 은 진실을 알고자 하는 본능과 정보 과잉 사이의 괴리에서 비롯됨
-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세 가지 도구는 만족의 도끼, 호기심의 횃불, 루틴의 노이며 각각 자본주의, 무지, 책임의 강을 헤쳐 나가게 함
- 지식의 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자신의 정점을 내려오고 다른 분야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겸손이 필요함
- 최종적으로 글쓰기를 통해 지적 여정을 기록함으로써, 사고를 정제하고 새로운 통찰을 얻는 것이 중요함
위키피디아와 철학으로의 여정
- 다양한 위키피디아 항목을 클릭하면 거의 모든 길이 ‘Philosophy’ 문서로 이어지는 현상이 발생함
- 이는 지식의 근원은 철학적 사고에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임
- 현대 정보 과잉 사회는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은 인식 불안(epistemic anxiety) 에 시달리게 됨
인식 불안과 진리 추구
- 인식 불안은 진리를 알고 싶지만 방법, 자원, 권한이 부족할 때 느끼는 불안감임
- 진실에 도달하는 길은 혼란과 불확실성으로 가득함
- 이 길을 가기 위해 우리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복잡한 개념에 몰입해야 함
모라도움 숲과 만족의 도끼
- 모라도움(Moradoom) 은 만족을 모르고 탐욕스러운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묘사됨
- 영원히 열매를 요구하는 삼림 속에서 인간은 감정과 관계를 소모함
- 이를 벗어나는 방법은 ‘만족의 도끼’ 로 현재의 삶에 만족하는 법을 배우는 것임
- 히말라야에서의 단순한 삶과 “나는 만족해요”라는 돌마 아주머니의 말이 핵심 메시지임
이그아모르의 동굴과 호기심의 횃불
- 이그아모르(Igamor) 는 무지의 동굴이며,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로 설명됨
- 인간은 불편한 진실 대신 익숙한 그림자를 현실로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있음
- 이를 벗어나는 방법은 감각이 아닌 사유를 중시하는 태도, 즉 ‘호기심의 횃불’ 을 드는 것임
- 도로시 호지킨이 펩티드 구조, 비타민 B12, 인슐린 구조 해독에 도달한 것도 호기심의 힘 덕분임
에버모어 강과 루틴의 노
- 에버모어(Evermore) 는 끝없는 책임을 상징하는 강으로, 이를 ‘루틴의 노(Oars of Routine)’ 로 항해해야 함
- 수많은 일상의 책임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결정 피로를 줄이는 일관된 루틴이 중요함
- 이 루틴은 창의성과 지적 여유를 위한 공간을 창출함
- 예시로, 수학자 장이탕은 서브웨이 회계사로 일하면서도 매일 수학 연구를 지속하여 대수적 정수론의 난제를 해결함
루민스파이어 정상과 지식의 겸손
- 루민스파이어(Luminspire) 는 지식의 산이며, 각자의 분야에서 정점을 찍은 전문가들이 위치함
- 진정한 지적 성장에는 정점에서 내려와 새로운 분야에 다시 배우는 학생으로 돌아가는 겸손이 요구됨
- “학습은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행위다” 라는 토머스 자스의 말을 인용함
- 수학자 에르되시는 500명 이상의 학자와 공동연구를 통해 1,5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 협업의 힘을 증명함
커뮤니티와 협업의 힘
- 저자는 The 6% Club이라는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150명 이상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협업 경험을 쌓음
- 새로운 분야를 배우기 위해서는 호기심, 질문, 피드백, 몰입, 소통의 루프가 반복되어야 함
- 이는 게임 오브 라이프처럼 단순한 시작점이 복잡한 창발성을 낳는 과정과도 유사함
지적 여정의 기록 - 쓰기의 힘
- 지적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마지막 요소는 ‘기록’, 즉 쓰는 것임
- 글쓰기는 사고를 명확히 하고 새로운 연결과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는 행위임
- 수학과 문학이 우주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동일한 목표를 공유한다는 사라 하트의 견해를 인용함
“지적 성장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이해하는 여정이며, 우리는 모두 우주에서의 자신의 자리를 찾고자 함”
Hacker News 의견
-
젊은 시절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Dumas의 _The Count of Monte Cristo_에서 Abbé Faria가 신사로서 인생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100권 이하의 책에 담겨 있다고 주장한 것임
- 젊은 시절, Dewey Decimal 시스템의 주요 섹션에서 한 권씩 읽으려 했으나, 학교 도서관의 부족함으로 인해 좌절했음
- 이후 Project Gutenberg/Librivox에서 이용 가능한 목록을 만들고 있음
- 제안과 추천을 환영함
-
2018년 8월, 3개월의 안식월 마지막 달에 Himachal Pradesh의 Hamta 마을에 도착했음
- 70대의 Dolma Aunty와 Kalzang Uncle이 돌봐주는 방 한 칸짜리 오두막을 빌렸음
- 이 부분을 읽고 이 기사를 이전에 읽은 적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음
- 아시아의 외딴 지역으로 가서 사람들이 행복한 모습을 감탄하는 것은 흔한 이야기임
- 이는 최근 White Lotus 시즌에서도 등장한 플롯 포인트였음
- Appalachia에서도 이런 경험을 할 수 있지만, 그런 기사는 거의 출판되지 않음
- 이 기사에 가치가 없다는 것은 아니며, 재미있게 읽었음
-
수학적으로 대부분의 링크 체인이 "철학"에서 끝난다고 증명할 수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곳에 도달해야 하는 것은 아님
- 주 2회 이상 잠들기 전에 Wikipedia 링크를 읽으며, 거의 항상 언어와 문화 또는 잘 알지 못했던 역사적 사건으로 끝남
- 철학은 끝이 아니며, 세상에 대한 확고한 지식 없이는 의미가 없음
- 지식의 결과로 철학이 오는 것임
-
한동안 시도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았음
- 지적 자료의 소비자가 아닌 참여자가 되려 했음
- 그 결과 목공, 컨설팅 운영, 비영리 단체를 위한 AI/ML 제작, 학술 저작 작성으로 이어졌음
- 전반적으로 삶을 상당히 즐기고 있음
-
지적 부분은 잘 모르겠지만, 풍요로운 삶을 사는 방법은 우월감과 세련미를 비밀리에 소중히 여기는 것이 아님
- 삶은 여러 면에서 우스꽝스럽지만, 바꿀 수 없는 부분은 받아들이고 행복의 섬을 찾는 것이 중요함
- 지적일 수도 있지만, 주변 사람들이 같은 높은 기준을 따르기를 기대하지 말아야 함
-
끝이 없고 혼란스러운 자기계발 은유와 순진한 글쓰기의 재앙처럼 보임
- TED 강연 블로그 게시물 같지만, TED 강연은 다행히도 길이 제한이 있음
-
철학은 가치가 있을 수 있지만, 의미 있게 적용하려면 분별력이 필요함
- 예를 들어, "Meditations"의 인기를 생각해 볼 수 있음
- 플라톤과 그의 유명한 스승은 지식이 과거 생애의 회상이라고 믿었음
- 표면적 성취를 넘어 깊은 성찰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함
- 고대 사상가들을 지나치게 낭만화하지 말아야 함
-
움직임을 추구해야 함
- 불편함을 향해 나아가고, 가치에만 정착해야 함
- 이념에 대해 집이 없어야 하며, 가치에 반하는 것에 대해 무자비해야 함
- 자신에게서 발견된 지연을 무시하고, 시나리오 트리의 능력을 향해 기어가는 작은 거북이에 인생의 노력을 투자해야 함
-
"지적으로 풍요로운" 것이 책에서만 찾을 수 있는지 궁금했음
- Jim Stanford의 Economics for Everyone을 읽고, 사람들과 대화하며 그들의 문제를 보는 것을 추천함
- 오래된 철학자들이 좋은 통찰을 줄 수 있지만, 다른 문화의 문제를 보는 것이 세상을 이해하는 데 더 관련이 있다고 느낌
-
저자는 이론적 지식(episteme)을 실용적 지식(techne)보다 선호하는 것 같음
- 후자가 더 지적으로 풍요롭고 보람 있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