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less People - `부주의`한 사람들
(pluralistic.net)- Sarah Wynn-Williams의 회고록 Careless People은 Facebook 내부의 무능과 도덕적 해이를 폭로하는 생생한 내부 고발서임
- Zuckerberg, Sandberg, Kaplan 등 경영진의 인격적 결함과 무책임한 의사결정이 반복적으로 강조됨
- Facebook의 해외 정책 실패, 특히 미얀마에서의 로힝야족 집단학살과 중국 정부와의 위험한 협력 시도 등 구체적으로 다룸
- 기업의 '성장주' 지위가 내부 비윤리적 행태를 정당화하는 구조적 문제와 연결됨
- Facebook이 점점 'Too Big to Care' 즉 책임을 회피하는 독점기업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상세히 묘사함
Facebook 내부자의 폭로: Sarah Wynn-Williams의 『Careless People』
- Meta(구 Facebook)의 전 글로벌 정책 책임자 Sarah Wynn-Williams가 쓴 회고록으로, Facebook 내부의 비윤리성과 무책임함을 폭로함
- Meta 측이 책의 출간과 홍보를 막으려 한 법적 조치가 오히려 주목을 끌게 만든 계기가 됨
Zuckerberg, Sandberg, Kaplan의 문제적 리더십
- Zuckerberg는 이기적이고 유아적이며, 사전 브리핑을 거부해 UN 총회에서 즉흥적으로 실행 불가능한 약속을 함
- Sheryl Sandberg는 개인적인 욕망을 위해 비윤리적 행동도 마다하지 않으며, 부하 여직원에게 신체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요구함
- Joel Kaplan은 직장 내 성희롱 가해자로 묘사되며, Wynn-Williams의 생명 위기 상황에서도 무리한 업무 지시와 부정적 평가를 내림
Facebook의 무분별한 해외 정책
-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감시·검열 시스템을 구축하려 했으나, 결국 거절당함
- 해당 시스템은 오히려 홍콩·대만 등에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데 활용됨
- 미얀마에서는 로힝야족에 대한 혐오와 폭력을 Facebook이 방치하여 학살로 이어짐
- 버마어 지원이 미비했고, 콘텐츠 자동 필터링 시스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구조적 문제: 성장주(Growth Stock)의 함정
- Facebook은 주식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끝없는 성장을 추구
- 미국 시장이 포화되자 글로벌 확장을 시도했지만, 그 과정에서 윤리적 기준을 무시함
- 주식으로 직원과 회사를 인수할 수 있는 능력이 경쟁력을 부여하지만, 동시에 성장 둔화 시 급격한 가치 하락 위험도 내재
예: 2022년 미국 사용자 성장률이 기대에 못 미치자 하루 만에 2,500억 달러 가치가 증발함
‘Careless’의 이중적 의미
- 리더들이 ‘부주의’(careless) 하며, 동시에 ‘무관심’(don’t care) 하다는 점이 핵심 메시지
- 처음에는 조심스러웠던 리더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무감각해지고 책임에서 멀어짐
- 사용자, 광고주, 정부, 직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무시하고 자기 이익만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
성희롱과 사내 문화의 문제
- Kaplan의 반복적인 성희롱과 경영진의 묵인
- 사내에는 피해자들이 모인 비밀 그룹이 존재함
- 여성을 이용하거나 심리적으로 조종하는 리더십 문제도 드러남
Facebook의 윤리적 타락 사례
- 우울한 십대 타겟팅 광고 기능을 개발하고 이를 외부에는 부정
-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수치를 광고주에게 제시
- Google과 광고 시장 담합을 위한 ‘Jedi Blue’ 같은 불법적 협약에 가담
Facebook의 구조적 면책과 그 결과
- 사용자와 광고주를 확보한 후 '서비스 악화(Enshittification)'가 일어남
- 경쟁사 인수로 시장에서의 견제를 차단
- 정치인들과의 협력으로 규제 회피
- 인재 확보로 내부 반발 억제
결론: 정책 변화가 필요함
- Facebook의 문제는 개인의 인격 결함만이 아닌, 규제가 부재한 환경에서 발생한 구조적 결과임
- 반독점, 개인정보 보호, IP 관련 정책 등이 이 회사의 무책임함을 가능하게 한 기반임
- 규제를 통해 기업들이 사용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지도록 만들 수 있음
마틴 루터 킹의 말처럼:
"법은 사람을 사랑하게 만들 수는 없지만, 나를 린치하는 걸 막을 수는 있다. 그건 꽤 중요하다."
Hacker News 의견
-
Zuck가 보드 게임에서 이기도록 부하들이 일부러 져주는 상황이 반복됨
- 현대의 초부유층 사이에서 이런 패턴이 왜 반복되는지 의문임
- 역사적으로 엘리트들이 항상 이렇게 불안정했는지, 아니면 현대에만 나타나는 현상인지 궁금함
- 현실 세계에서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이 왜 보드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 같은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움
- 게임에서 잘하는 것은 주로 투자한 시간과 에너지에 달려 있음
- 게임을 재미로 하거나 사람들과 유대감을 쌓기 위해 하는 것이라면, 최적의 전략만 고집하지 말고 창의적인 전략을 탐구해야 함
-
책이 재미있고 충격적임
- 저자가 묘사하는 장면이 너무 터무니없어 보이지만, 실제로 사실임을 알게 됨
- Facebook 사람들이 이 책이 사라지길 원했던 이유를 이해함
- 그들의 시도가 역효과를 낳았고, 이는 책을 읽은 후 예상할 수 있는 결과임
-
책은 읽을 가치가 있으며, 저자가 상원 법사위원회에서 책의 주장들을 선서 아래 반복함
- Mark와 Facebook의 몇몇 인물이 이전 청문회에서 위증을 했다는 것이 명백함
- 이에 대한 결과는 없을 것으로 예상됨
-
리뷰가 Wynn-Williams가 자신의 회고록에서 묘사한 것처럼 순진함
- Wynn-Williams는 Facebook 이전에 외교단에서 변호사로 일했으며, Facebook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음
- 그녀는 그만둘 수 있었지만 그러지 않았음
- 당시 부주의한 사람 중 하나였으며, 지금은 더 부주의한 사람들을 지적하며 변명함
-
모든 대형 기술 회사가 Meta와 같은지, 아니면 특별한 상황이 있는지 궁금함
- 모든 대형 회사가 같다면 왜 Meta에 대한 이야기가 반복적으로 나오는지 의문임
-
Facebook이 난민들에게 인터넷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한 일이었음
- Kaplan이 난민들에게 무료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이 나쁜 생각이라고 주장하며 프로젝트가 중단됨
-
영화 "The Social Network"가 Zuckerberg의 심리를 잘 포착했음을 알게 되어 좋음
- 권력이 부패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는 것이라는 Robert Caro의 말을 인용함
-
주요 기업들이 React를 포기할 시점이 올지 궁금함
- 경험 빌더가 React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React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임
-
Doctorow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결과를 경험하지 않는 것이 오늘날 사회의 가장 큰 문제라고 언급함
-
저자의 웹사이트에서 팟캐스트 초대를 위해 연락했지만 응답이 없었음
- 연락 양식을 사용한 후 자동으로 PR 메일링 리스트에 추가됨
- 이는 Facebook에서 배운 것 같아 아이러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