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의 뇌 (펠리너 헤르만스, 2022) 독후감 - 코드를 읽는 데 도움이 되는 인지과학
(ohyecloudy.com)- 인지 과정, 컴퓨터와 비슷
- STM(short-term memory): 메모리
- LTM(long-term memory): 하드 드라이브
- Working memory: 프로세서
- STM은 용량이 2개에서 6개 사이로 추정될 정도로 한없이 작음
- 청크(chunk) 활용이 중요
- LTM에 저장된 정보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대체하는 개념
- 예) 체스판을 보고 전문가는 ’시실리언 오프닝이고, 거기서 나이트 하나는 2칸 왼쪽’ 같은 식으로 LTM에 저장된 시실리언 오프닝을 활용해서 많은 정보를 기억할 수 있음
- LTM에 많은 정보를 넣고 포인터로 끄집어 낼 수 있으면 턱없이 적은 STM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 LTM에 저장하는 저장 강도와 꺼내는 인출 강도가 영향을 줌
- 여기서 인출 강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플래시카드가 유용함
- 코드 작성 중 인터럽트에 대비하는 방법 소개
- 정신 모델(mental model)을 저장
- 주석이나 중간 보고 등으로 가능
- 하위 목표를 주석 형태로 저장
- Copilot에게도 가이드를 줘서 유용
- 정신 모델(mental model)을 저장
이 책을 읽고 난 뒤에 https://news.hada.io/topic?id=18245 발표를 보니 더 재미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