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P by neo 4달전 | favorite | 댓글 5개
  • 애플은 6월, 이메일 작성 및 편집, 새로운 사진 및 이모지 생성 등 AI를 활용한 새로운 기능 모음인 "Apple Intelligence"를 발표함
    • 하지만 유럽 사용자들은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됨
  • EU의 디지털 시장법(DMA) 요구사항으로 인해 Apple Intelligence, SharePlay 화면 공유, iPhone 화면 미러링 등 새로운 제품 및 기능을 EU 국가에 출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함
  • EU 집행위원 Margrethe Vestager는 애플의 결정을 "반경쟁적 행위의 충격적인 선언"이라고 비난함
    • 하지만 이는 말도 안 되는 주장임. 기술 대기업이 제품 출시를 하지 않기로 한 것은 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이며, 유럽의 규제 입장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임

규제로 인한 기술 기업들의 유럽 철수 사례 증가

  • 경제학자 앨버트 허쉬만은 불리한 환경에서 '목소리(voice)'와 '탈출(exit)'라는 두 가지 선택지를 제시했음
    • 기술 기업들은 전통적으로 로비 활동을 통해 규제를 개선하려고 노력해왔으나, 최근에는 '탈출' 전략을 더 많이 고려하고 있음
  • 잘못 설계된 규제로 인해 특정 국가에서 기능이나 서비스 제공을 중단한 사례들
    • 페이스북은 캐나다 온라인 뉴스법 대응으로 캐나다 내 모든 뉴스 콘텐츠 제거
    • 구글 뉴스는 스페인의 "링크세" 때문에 철수했다가 법 개정 후 복귀
    • 많은 기술 기업들이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 때문에 중국 시장 떠남
  • 성인 사이트들도 연령 확인 법률로 인해 일부 미국 주에서 사용자 차단 중
  • 메타는 규제 우려로 트위터 경쟁 앱 스레드의 EU 출시 연기
  • 메타는 "규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최첨단 Llama AI 모델을 EU에 출시하지 않기로 함

EU의 과도한 규제, 기술 기업 철수 초래할 수도

  • EU는 최근 메타의 "결제 또는 동의" 계획이 EU 규정을 위반했다며 제재
    • 메타는 개인 맞춤 광고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음
    • EU 규제 당국은 메타에게 사용자 데이터 추적 없는 옵션 제공 요구
    • 메타는 광고 없는 유료 서비스 모델 제시했으나, EU는 이 또한 규칙 위반이라 주장
    • EU는 메타에게 개인 맞춤 광고 없는 무료 서비스나 월별 요금제 제공 요구하고 있음
    • 사실상 EU는 메타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한 셈
  • 트위터에 대한 EU의 제재도 부당함
    • 트위터의 블루 체크 유료화에 대해 EU는 기만적 관행이라며 문제 삼음
    • 그러나 이는 널리 알려진 변화였고, EU가 블루 체크의 의미를 해석하고 규정하는 것은 과도한 개입
  • 프랑스, 엔비디아를 반경쟁 행위로 제재하려 함
    • CUDA 소프트웨어가 문제시 되고 있으나, 이는 엔비디아가 오랜 기간 투자해 개발한 혁신 기술

유럽의 규제 과잉 문제

  • 모든 예시들은 성공한 외국 기술 기업들을 겨냥하고 있음. 이는 EU의 규제가 유럽 내에서 성공적인 기술 기업을 거의 허용하지 않기 때문임
  • 규제 과잉의 사례들로 인해 EU가 제품 결정을 강제하거나 사업 전략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음
  • 벌금의 규모는 너무 커서 기업들을 대륙에서 떠나게 할 가능성이 있음. EU 정책은 전 세계 수익의 최대 10%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음
  • 메타는 EU에서 수익의 10%만, 애플은 7%만을 얻고 있으며, 엔비디아도 비슷한 비율일 가능성이 큼
  • 이는 수익이 아닌 매출에 대한 벌금으로, 단일 벌금이 여러 해 동안 EU에서 얻는 수익보다 많아질 수 있음

규제 준수와 현실

  • EU 규제 당국은 기업들이 규제를 준수하면 벌금 없이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메타의 사례에서 보듯이 이는 사실이 아님
  • EU는 명확한 규칙을 사전에 제시하지 않으며, 추상적인 목표를 요구함. 규제 준수 여부는 사후에 결정됨
  • 이는 기업들에게 불리하며, 기업들이 떠나려는 이유가 됨
  • 유럽은 세계의 기술 산업에서 무엇을 원하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 기술 산업에서 혁신보다는 규제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음
  • 몇 안 되는 성공 사례들도 규제로 인해 위험에 처할 수 있음. 예를 들어, 프랑스의 AI 기업 '미스트랄'은 엔비디아가 프랑스 시장에서 철수할 경우 생존이 어려울 수 있음
  • 유럽인들은 구식 기기를 사용하고, 전 세계의 검색 엔진과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접근하지 못하며, 고성능 컴퓨터 칩을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음

규제와 기업들의 대응

  • 유럽연합은 자주적으로 기술을 규제할 권리가 있지만, 그로 인해 기술 기업들이 떠나는 것에 대해 놀라서는 안 됨
  • 현재 대부분의 기술 기업들은 시스템 내에서 규제를 더 합리적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나, 만약 이러한 노력들이 계속 실패한다면 탈출이 유일한 선택이 됨
  • 유럽에서는 탈출이 점점 더 합리적인 선택이 되고 있음

GN⁺의 의견

  • EU의 과도한 규제는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유럽 시장 철수를 초래할 수 있음. 유럽은 규제보다는 기술 혁신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어 보임
  • 기술 기업들이 유럽 시장에서 철수한다면, 유럽은 구식 기기를 사용하고 최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온라인 변방이 될 수 있음
  • 유럽의 기술 산업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상황에서, 글로벌 기업들마저 규제 때문에 떠난다면 그 폐해는 고스란히 유럽 소비자들이 감당해야 할 것임
  • EU는 주권 기구로서 원하는 대로 입법할 권리가 있지만, 그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함
  • 대부분의 기술 기업들은 아직 EU의 규제 체계 내에서 활동하려 노력 중이지만, 계속 실패한다면 결국 철수라는 선택을 하게 될 것임
  • 기술 기업들이 규제를 준수하기 어렵게 만드는 불명확한 규제는 결국 유럽 기술 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과도한 규제는 좋지 않지만, 어느 정도는 규제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절한 수준의 규제가 무엇인지,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는 어려운 문제지만요..

어려운 문제인듯 합니다. EU 덕분에 기술 기업들이 견제 받기도 하지만, 이렇게 아예 EU를 버려 버리면 아예 소외 될테니까요.

Hacker News 의견
  • 전화 서비스 제공 회사는 규제 준수를 위해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함

    • 과거에 독점 시도나 인명 사고가 있었기 때문임
    • 대형 기술 회사들은 경쟁을 막고 개인 정보를 최대한 수집하려고 함
    • 미국 규제 기관은 제약이 많아, 불법적인 행위를 쉽게 할 수 있음
  • EU는 게이트키퍼 방지법과 상호 운용성 요구 사항을 통과시킬 수 있음

    • Apple은 이를 따르지 않고 제품을 EU에서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음
    • 이는 EU에게 큰 승리이며, Apple도 불평할 수 없는 상황임
  • "유럽인들이 구식 전화기와 제한된 인터넷 환경에서 살게 될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

    • 이는 오히려 더 건강한 생활 방식일 수 있음
    • 최신 기술이 필요하지 않음
    • 인터넷은 감시, 마케팅, 광고로 가득 차 있음
    • 최신 기술이 사람들을 더 똑똑하게 만들지 않음
  • 검색 엔진과 소셜 미디어에 의존하는 국가들은 정신 질환과 낮은 시험 점수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

    • 이는 사회의 질을 떨어뜨림
  • Jonathan Kanter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의 규제 접근 방식에 대해 논의함

    • 많은 사람들이 유럽의 방향을 부러워함
    • Apple과 Meta 같은 회사들을 규제하는 것이 유럽을 빈곤하게 만들지 않음
  • 미국에서도 이러한 규제가 필요함

    • 개인 정보를 통제할 수 없는 기술 회사들은 존재해서는 안 됨
    • CCPA/CPRA 같은 규제는 매우 유익함
    • 빅 테크는 과소 규제 상태이며, 이는 변화가 필요함
  • 타겟 광고가 완전히 불법화되기를 바람

    • 사회에 큰 이익이 될 것임
  • 유럽의 규제가 현 상태를 바꾸었는지에 대한 의문

    • 미국의 대형 기술 회사들이 빠지면 현지 회사들이 시장을 차지할 수 있음
    • 개인적으로는 지지하지 않지만, 그들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음
  • 대형 기술 회사들의 퇴출이 나쁜 일이 아님

    • 유럽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음
  • 기술 부문은 다른 부문에서 작동한 규제가 자신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함

  • 소셜 플랫폼의 요구 사항이 매우 까다로워짐

    • 이는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함
    • 소셜 기능이 있는 거의 모든 제품에 영향을 미침
    • 대형 회사들은 결국 유럽에 진출할 것이지만, 다른 지역보다 늦어질 것임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1084521

To access facual information, cf. marketing and propaganda, worthless opinions, and "AI" generated garbage, one did not and does not need the latest "phone" or "high-performance computer chips". This stuff is not making people smarter. Is it is not making society better.

전적으로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