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 소셜 미디어, 청소년 정신질환 유행의 원인
(afterbabel.com)틴에이저 정신 건강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Nature에 실린 리뷰의 두 가지 주요 문제점
- Candice Odgers는 최근 Nature에 실린 에세이에서 소셜 미디어 회의론자들의 입장을 피력함.
- 주요 비판은 저자가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오해했다는 것이며, 소셜미디어가 정신건강 위기의 원인이 아닌 단순 상관관계일 뿐이라고 주장함
- 하지만 Odgers의 리뷰에는 두 가지 주요 문제점이 있음:
-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이 틀림
- Odgers가 제시한 대안적 설명은 사실관계에 부합하지 않음
1.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 부재 주장의 오류
- Odgers는 저자가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님
- 2018년 당시에는 상관관계 연구가 많았지만, 실험 연구도 일부 있었음 (예: 소셜미디어 사용 감소시 정신건강 개선)
- 이후 상관관계, 종단, 실험 연구 등을 모두 모아 정리했고, 이는 온라인에 모두 공개되어 있음
- 상관관계와 종단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과사용자의 정신질환 위험이 높게 나타남
- 14세 여아의 경우 하루 5시간 이상 사용 시 우울증 위험이 3배
- 26개 연구 메타분석 결과, 청소년은 소셜미디어 사용 1시간 증가마다 우울증 위험 13% 증가
- 22개 실험 연구 중 16개에서 소셜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남
- 성인 2743명을 1개월간 페이스북 비활성화 조건에 무작위 배정한 결과, 주관적 행복감 개선
- 642명을 (1)소셜미디어 하루 30분 제한 (2)신체활동 30분 증가 (3)둘 다 (4)통제집단으로 무작위 배정 결과, 소셜미디어 제한+운동 병행 조건에서 우울감 감소, 삶의 만족도 증가 최대
-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보다 여성에게 더 해롭다는 실험 결과도 존재
- 9개 준실험 연구 중 8개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부정적 영향 발견 (특히 여아에게)
- 스페인에 광대역 인터넷이 도입되면서 청소년 정신건강 입원율이 증가했는데, 이는 여아에게만 유의했음
- 회의론자들의 주장대로 귀무가설이 맞다면 실험 결과는 무작위 노이즈여야 하지만, 대부분 일관되게 정신건강 악화 효과를 보임
2. Odgers가 제안한 대안 설명의 문제점
- Odgers는 정신건강 위기의 실제 원인이 인종차별, 성차별, 경제적 어려움 등 사회 병폐이며, 2008년 금융위기의 장기적 영향일 수 있다고 주장
- 하지만 이는 사실관계에 부합하지 않음:
- 2000년대에는 불안/우울증 비율이 대체로 일정했다가 2012년 급증했는데, 금융위기 이후 4년이 지나서야 발생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함
-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앵글로권 국가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급증한 것을 설명하지 못함
- 북유럽 국가들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급증했는데, 이들은 Odgers가 제시한 사회병리 대부분이 없음
- 서유럽 상당수 국가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발견됨
- 영미권 전역에서 Z세대 여아(남아 제외)의 자살률이 사상 최고치인데, 이는 Odgers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음
- 만약 Odgers의 설명이 맞다면, 저소득층 청소년의 정신질환 증가폭이 더 컸어야 함
- 하지만 실제로는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오히려 고소득층 청소년에서 더 큰 증가세를 보임
- 즉 Odgers의 대안 설명은 (A)미국 내 시기상 맞지 않고 (B)계층별 데이터와 맞지 않으며 (C)국제적 현상을 설명하지 못함
이제 무엇을 해야 하나?
- 부모, 교사, 입법자들은 불안과 고통의 수준이 계속 높아지는 상황에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음
- Odgers의 인과이론을 받아들인다면 사회문제 해결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효과가 나타나려면 수십년이 걸릴 수 있음
- 반면 내 "아동기의 대재배선" 이론을 받아들인다면 구체적 정책 대안을 당장 시행 가능:
- 고등학교 전까지는 스마트폰 사용 자제 (법이 아닌 규범으로)
- 16세 전까지 소셜미디어 사용 자제 (규범과 함께 COPPA 개정안, 아동 온라인 안전법 등의 지원 필요)
- 학교에서 휴대폰 사용 금지 (사물함이나 파우치 사용)
- 현실에서의 독립성, 자유놀이, 책임감 증진
- 이 개혁안은 초중학생 시기를 보호한다는 점에서 중요. 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초당적 지지도 얻을 수 있음.
- 설사 내가 틀렸더라도 아이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해를 끼치지는 않을 것임. 수업에 집중하고 밖에서 노는 시간이 늘어날 뿐.
GN⁺의 의견
- 이 주제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논쟁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셜미디어의 영향을 완전히 부정하는 건 어려워 보이지만, 다른 요인들의 복합적 작용일 가능성도 있죠.
- 그래도 현 시점에서는 가장 설득력 있고 실행가능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아이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건 분명해 보이거든요.
- 사회 전반의 변화를 기다리기엔 너무 오래 걸리죠. 당장 교육 현장에서,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규범을 만들어가는 게 우선일 듯 싶네요.
- 다만 무조건 규제만으론 한계가 있겠죠. Z세대 아이들이 왜 그렇게 소셜미디어에 빠져드는지, 어떤 욕구를 충족하려는 건지 등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할 거예요.
- 또 기성세대와의 소통, 아이들의 자발적 동참을 이끌어내는 것도 관건일 듯합니다. 금지나 제재 일변도로 가면 반발만 살 수 있으니까요.
- 장기적으론 기술 기업들의 서비스 설계 방식이나,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 등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 같네요. 개인과 가정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할 테니까요.
Hacker News 의견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20대 중반의 여동생이 최근 몇 년간 점점 고립되어 가며 대부분의 시간을 휴대폰으로 보내고 성형 수술을 하는 등 이상한 행동을 보임. 과거 경험이 이런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수 있지만, 자의식이 부족하면 인플루언서들이 선전하는 것에 쉽게 빠질 수 있음.
-
30년 전 대법원은 인터넷 검열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고 판결했음. FB, IG, TikTok 등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사용하지 않으면 됨. 그러나 검열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개인적인 부모의 결정을 전국의 결정으로 만들려고 함.
-
기술과 많은 것들이 원격으로 이루어지면서 대인관계를 맺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 우울증 경험에 비추어볼 때 자연 속에서 보내는 시간이 정신건강에 좋다고 믿음.
-
정부가 아동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려면 중국의 방화벽처럼 인터넷 익명성을 완전히 파괴해야 함. 반쪽짜리 정책은 오히려 더 나쁨. 타협점은 앱스토어를 통해 시행하는 것이지만, 사이드로딩 능력을 잃는 것은 유감스러움.
-
10대 시절 인터넷 광대역에 무제한 접속했지만 인스타그램 같은 비교지옥은 없었음.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을 보면서 아이들은 위선을 알아챔.
-
소셜미디어 금지나 제한이 상황을 개선시킨다는 인과관계나 증거가 부족함. 오히려 경제적, 교육적, 사회적 피해만 있을 수 있음.
-
중독적인 무한스크롤 플랫폼에 규제가 필요함. "중독성 플랫폼에 있고 휴식이 정신건강에 좋다"는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은 쉽게 입법화할 수 있고 효과적일 수 있음.
-
80-90년대 쇼핑몰 문화가 스마트폰으로 쇠퇴했다가 요즘 젊은 세대에 의해 다시 번성하고 있음. 이는 청소년들이 휴대폰에서 벗어나 친구들과 어울리는 희망적인 모습을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