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4] 신규입사자를 잘 온보딩 시키는 방법
작은 회사일때부터 이런것들을 하나하나 만들어두면 멤버들이 회사의 문화를 빠르게 익히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그것이 회사의 문화가 됩니다.
매주 월요일 아침, 지난 일주일간의 GeekNews 중 엄선한 뉴스들을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신규입사자를 잘 온보딩 시키는 방법 - How to onboard a new hire | ||||
신규멤버의 온보딩을 위해 하는 일들을 잘 정리한 글 - Day 1 웰컴 노트 적어 주기 = 우리가 당신을 뽑은 이유 ( 난 당신을 믿습니다의 다른 표현 ) - Icebreaker 질문해서 답변받기 ( 질문들이 온라인으로 보내진다고 ) ** 웰컴 노트 예제 ** => 이게 꼭 한번 읽어볼만 합니다. 그냥 일반적인 인사가 아니라, 개인화된 메시지로 왜 당신을 뽑고, 뭘 기대하는지를 적어놔서 신규 입사자가 아주 편하게 랜딩할수 있을듯. | ||||
| ||||
Netflix의 Growth Engineering | ||||
회원가입 Funnel 분석과 실험을 통해 효율적으로 만들기. 넷플릭스는 Growth 엔지니어링팀이 다양한 플랫폼 앱들을 위한 비즈니스 로직과 프로토콜 을 담당한다고 | ||||
Data Engineering Cookbook [PDF] | ||||
데이터 엔지니어가 되기위해 알아둬야 할 토픽들을 나열하고, 관련하여 볼만한 링크/동영상들을 정리한 PDF. 현재 124P 분량. | ||||
| ||||
URL 끝에 ‘/’ 는 왜 붙이는 걸까? | ||||
트레일링 슬래시(trailing slash) 에 대해 알아보고, 서버의 처리동작에 대해 설명합니다. | ||||
How I use the good parts of @awscloud | ||||
AWS의 쓰기 좋은 부분만을 잘 요약한 트위터 쓰레드 쓸데없이 거창한 것들은 피하고, 꼭 필요한 것들만 깔끔하게 정리 | ||||
| ||||
인터넷과 커뮤니티 | ||||
Vingle 을 통해 경험한 "커뮤니티를 만들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 소제목들만 봐도 재미있고 궁금하다. | ||||
MariaDB vs MySQL - 호환성/포크된 이유/주요 차이점 비교 | ||||
역사 및 배경부터 라이센스 차이점, 최근 버전들의 기술적 차이까지 전반적으로 정리된 글 | ||||
| ||||
CloudBoost - 자바스크립트 기반 오픈소스 BaaS 엔진 | ||||
Parse + Firebase + Algolia + Iron.io 형태의 Backend - 다양한 형태의 오브젝트 저장 지원 : Data-Storage / JSON Storage / BLOB Storage | ||||
AWS PartiQL - RDB/NoSQL/Graph/시계열/FS 등 모든 데이터를 조회할수 있는 쿼리 랭귀지 발표 | ||||
아파치2.0 라이센스 오픈소스. AWS S3/Glacier/Redshift/Quantum Ledger(QLDB) 에서 이미 지원하고 있으며, 다른 아마존 서비스들도 곧 지원예정. Couchbase 도 지원예정이라고 | ||||
| ||||
Mattermost - 오픈소스 슬랙 대체제 | ||||
슬랙에 있는 대부분 기능 지원. iOS/안드로이드/윈/리눅스/맥. | ||||
Apprise - 40개 이상의 플랫폼에 동시 전송하는 Notification 미들웨어 | ||||
코드 몇줄로 텔레그램,슬랙,트위터,IFTTT,XMPP,AWS SNS,Twillio,Mailto 등에 모두 알림을 보낼수 있음. Python 라이브러리지만, 코맨드라인 도구도 제공 슬랙 대체제인 Mattermost 와 Microsoft Teams, 게이머를 위한 Discord, 개인용 알림도구인 Pushbullet 등 정말 다양한 서비스들 지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