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의 새로운 ‘국가 출신 표시’ 기능, 다수의 ‘미국 계정’이 해외 운영으로 드러남
(hindustantimes.com)-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 가 계정의 운영 국가를 표시하는 기능을 도입해, 미국 내 정치 진영 온라인 커뮤니티에 큰 파장을 일으킴
- ‘가입일(Joined)’ 탭을 클릭하면 해당 계정이 어느 나라에서 운영되는지 확인 가능하며, 일시적으로 제거됐다가 다시 복원됨
- 다수의 MAGA 및 민주당 지지 성향 계정이 실제로는 미국 외 지역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남
- 예시로 ‘MAGA NATION’(동유럽), ‘Dark Maga’(태국), ‘MAGA Scope’(나이지리아), ‘America First’(방글라데시) 등이 포함됨
- 이 기능은 정치적 영향력 계정의 진위와 정보 출처 투명성을 둘러싼 논의를 촉발함
X의 ‘국가 출신 표시’ 기능 개요
-
Elon Musk가 이끄는 X는 계정의 운영 국가를 공개하는 기능을 새로 도입
- 프로필의 ‘Joined’ 탭을 클릭하면 계정이 운영되는 국가가 표시됨
- 기능은 한때 제거됐다가 다시 추가됨
- 이 기능 도입 이후, 미국 정치 관련 계정들의 실제 위치가 드러나며 논란 확산
해외에서 운영되는 ‘미국 정치 계정’ 사례
- 여러 계정이 미국 내 정치 담론에 참여했으나 운영지는 해외로 확인됨
- ‘MAGA NATION’(팔로워 약 39만2천 명): 동유럽 기반
- ‘Dark Maga’(약 1만5천 명): 태국 기반
- ‘MAGA Scope’(약 5만1천 명): 나이지리아 기반
- ‘America First’(약 6만7천 명): 방글라데시 기반
- X 내 뉴스 집계 페이지는 “수천 개의 MAGA 성향 계정이 인도, 나이지리아 등에서 운영 중”이라고 언급
민주당 및 반(反)트럼프 계정의 해외 운영
- ‘Ron Smith’ 계정(팔로워 약 5만2천 명)은 케냐에서 운영, 자기소개에는 ‘Proud Democrat’와 ‘Professional MAGA hunter’ 표기
- ‘Republicans against Trump’ 계정(팔로워 약 97만8천 명)은 오스트리아에서 운영된 것으로 보고, 현재는 VPN 사용으로 위치가 미국으로 표시됨
- X는 VPN 사용 시 위치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
- 친이스라엘 성향의 ‘Mariana Times’(팔로워 약 7만8천 명) 계정은 인도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확인
정치권 및 이용자 반응
-
MAGA 진영 인사들은 이 기능을 통해 드러난 해외 계정들에 강한 반응을 보임
- 하원의원 Anna Paulina Luna는 “가짜 친미 계정들이 실제로는 외국인 사기꾼”이라며 “외국 작전과 봇 계정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언급
- Alexis Wilkins는 “미국인인 척하는 외국 계정들이 미국을 분열시키려 한다”며 “그들이 성공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발언
기능 도입의 파급 효과
- 이번 기능은 정치적 영향력 계정의 신뢰성과 출처 투명성에 대한 관심을 높임
- MAGA와 민주당 진영 모두 상대 진영의 ‘가짜 미국 계정’ 폭로에 활용하며 온라인 논쟁 확산
- X 플랫폼 내 정치 정보의 진위 검증 기능 강화라는 기술적 변화로 평가됨
여기서는 미국 정치계정만 얘기하고 있지만, 온동네가 난리이긴 합니다.
K팝 연예인들 욕하던 계정의 국가가 밝혀진다던가, 미국 국토부 계정이 이스라엘로 나온다 던가..
Hacker News 의견
- 예전에 Reddit이 연말 요약을 올리면서 “가장 중독된 도시”로 Eglin 공군기지가 있는 지역을 꼽았던 게 떠오름
이곳은 군의 사이버 작전 중심지로 알려져 있었고, Reddit은 곧바로 그 불편한 통계를 삭제했음- Eglin AFB의 연구소에서 발표한 논문 “Containment Control for a Social Network with State-Dependent Connectivity” (2014) 이 관련 있음
논문 PDF
- Eglin AFB의 연구소에서 발표한 논문 “Containment Control for a Social Network with State-Dependent Connectivity” (2014) 이 관련 있음
- 마치 플라톤의 동굴에 스스로 들어가서 인증비까지 내고, 벽에 비친 그림자 토론을 즐기는 모습 같음
그러다 그 그림자들이 전부 가짜임을 깨닫고 음료를 뿜는 장면이 떠오름- 나는 그 동굴의 비유를 다르게 해석하고 있음
농담을 망치지 않는 선에서 좀 더 설명해줄 수 있는지 궁금함
- 나는 그 동굴의 비유를 다르게 해석하고 있음
- IP 주소로 국가를 감지하는 것 같음
사기꾼들은 미국에 있는 Azure VM을 만들어 그 안에서 X를 사용하는 식으로 위치를 속임- X는 IP 기반으로 국가를 표시함
영국에서는 Online Safety Act 때문에 VPN을 쓰는 계정이 많고, X는 앱스토어 국가 정보도 함께 보여줌
아이러니하게도 VPN 금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조차 VPN을 쓰고 있음 - 단순히 로그인 IP만으로 판단하는 건 아닌 듯함
나는 2~3개월 전 코스타리카에서 로그인했는데, 지금도 내 계정이 그곳 기반으로 표시됨 - Azure VM이 VPN과 다른지 궁금함
X는 앱스토어 국가도 표시하니, 그건 속이기 어려울 듯함 - X는 VPN 접속 시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함
또 앱스토어 국가도 함께 보여서 모바일 앱에서는 바로 드러남
- X는 IP 기반으로 국가를 표시함
- 나는 트위터를 재미있게 느껴본 적이 없음
사람들이 무작위 계정을 그렇게 신뢰했다는 게 놀라움- 사람들은 계정을 신뢰한다기보다, 피드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정보가 인식에 영향을 줌
무의식적으로 “불이 없는데 연기가 나겠어?” 하는 식의 효과가 생김 - HN이나 Reddit은 주제 중심인데, 트위터는 사람 중심이라 특정 인물에게 더 집중하게 됨
유명인과 직접 소통하는 재미가 있었지만, 결국 논쟁과 과열된 발언이 주목받는 구조로 변했음 - 나도 한동안 트위터를 이해 못했지만, 학자나 정책 전문가들이 모이는 유일한 플랫폼이었음
- 모든 소셜미디어는 과도한 신뢰 문제를 겪음
위키백과조차 1차 자료를 직접 확인하라 하면 반발이 큼 - 나는 주로 주류 언론이 다루지 않는 뉴스를 보기 위해 트위터를 씀
사기꾼 계정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지적돼 왔고, 이번에 공식적으로 드러난 게 흥미로움
- 사람들은 계정을 신뢰한다기보다, 피드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정보가 인식에 영향을 줌
- X만 이런 일이 있는 건 아님
흥미로운 건 왜 이 기능을 롤백했는지임
만약 미국 시민만 인증된 온라인 광장을 만든다면, 밈을 올리려면 여권이나 운전면허를 스캔해야 함- 꼭 미국 시민일 필요는 없음
단지 자신이 주장하는 정체성이 진짜면 됨 - 내가 바라는 건 단 하나, 실제 사람과 이야기하고 있다는 확신임
그리고 그 사람이 여러 계정을 쓰지 않는 것 - 나도 비슷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봤음
외부 인증 서비스(ID.me 등)를 통해 익명성과 신원 확인을 병행하면 흥미로운 대화가 가능할 듯함
실명제는 LinkedIn처럼 썰렁해질 위험이 있음
인증된 계정이라면 정지나 제재의 실효성도 높아지고, 점진적 제재 정책이 가능함 - 물론 선전 시스템은 금세 적응하겠지만, 당장은 괜찮은 임시방편임
- 나는 X의 여러 프로필을 확인했는데, “Account based in”과 “Connected via”가 여전히 보임
어쩌면 기능이 다시 활성화된 걸지도 모름
- 꼭 미국 시민일 필요는 없음
- 기술적으로 지오로케이션의 정확도는 의문임
IP나 앱스토어 정보는 쉽게 바꿀 수 있고, IP 블록도 자주 재할당됨
국가 단위 통신사만이 제대로 된 위치 제한을 할 수 있을 듯함- 일부 기업은 통신사와의 비공개 협약을 통해 실제 위치 데이터를 받아 더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들음
- HN의 대화도 조작과 선전에서 자유롭지 않음
메시지를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구조라면 언제나 조작의 여지가 있음- 하지만 틈새 주제에서는 조작할 유인이 적어 훨씬 평화로움
- 예전에 WeChat도 비슷한 기능을 도입했음
공개 게시물에 사용자 위치를 표시하도록 한 사례임
Reuters 기사 링크 - X가 “현재 위치는 미국이지만 VPN 사용으로 인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이라고 표시함
하지만 그게 가입 시점의 위치는 아니라는 점이 아쉬움
VPN을 이용한 계정 생성 문제를 다루지 않은 게 불만임 - 결국 이런 폭로가 나오면, 각 진영의 정치적 선동가들이 상대 진영의 ‘외국 세력’을 조롱하며 자기편의 조작은 무시함
참여 유도형 인터넷의 반복되는 풍경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