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의 종말?
(linkedin.com)- Qualcomm이 인수한 Arduino가 최근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전면 개정, 오픈 하드웨어 철학에서 벗어난 폐쇄적 서비스 구조로 전환
- 새 약관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모든 콘텐츠에 대해 영구적·취소 불가능한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AI 기능 감시 및 데이터 통합 조항을 포함
- 사용자 이름을 계정 삭제 후에도 수년간 보관, 미성년자 데이터까지 Qualcomm 글로벌 데이터 생태계에 통합
- 또한 사용자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나 플랫폼 분석을 시도할 수 없도록 금지,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핵심 가치와 충돌
- 연구자·메이커·교육자 중심의 오픈 생태계가 기업 중심의 데이터 수집 플랫폼으로 재편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
- 기존 투명성·거버넌스·데이터 권리를 중시하던 사용자들은 이번 개편이 Arduino 생태계의 정체성을 흔드는 변화로 받아들이고 있음
Arduino 약관 및 개인정보정책 개정 내용
- Qualcomm이 소유한 Arduino가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정책을 조용히 전면 수정
- 변경 내용은 오픈 하드웨어 정신과 명확히 결별하는 방향으로 서술됨
- 새 문서에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모든 자료에 대해 영구적이고 취소 불가능한 사용권을 Arduino에 부여하는 조항 포함
- AI 기능의 감시 수준 모니터링, 특허 침해 가능성 식별 금지 조항, 계정 삭제 후 수년간 사용자명 보관 등이 추가됨
- 모든 사용자 데이터(미성년자 포함)가 Qualcomm의 글로벌 데이터 생태계에 통합된다고 명시
- 일부 조항은 Arduino를 커뮤니티 기반 플랫폼에서 기업 통제형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효과를 가짐
오픈소스 및 사용자 권한 제한
-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사용자가 플랫폼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거나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시도하는 행위가 금지된 점
- 이는 오랫동안 교육자·메이커·연구자·오픈소스 지지자에게 개방되어 있던 Arduino의 정체성과 상충
- Adafruit은 이러한 조항이 투명성·커뮤니티 거버넌스·데이터 권리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
커뮤니티 반응
- Missy Cummings는 “학술 로보틱스 연구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댓글
- Venky Raju는 “잘 가라 Arduino, 이제 RP2040과 ESP32의 시대”라고 언급
- David Thrower는 “새로운 오픈소스 기업이 등장할 기회”라고 평가
- Chris Ryan은 “기업이 독점화로 전환하면 시장에서 스스로 무의미해질 것”이라며, 자체 오픈소스 대안 개발을 촉구
- Frank DeLaTorre는 “Qualcomm은 메이커 생태계를 이해하지 못한 탐욕적 기업”이라고 비판
추가 언급 및 배경
- Adafruit은 Forbes가 Qualcomm 또는 Arduino의 잘못된 정보를 인용한 보도를 지적
- 최근 전 Qualcomm 임원이 1억8천만 달러 규모의 사기 사건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례를 언급하며 기업 신뢰 문제를 제기
- Qualcomm의 Gulfstream G800 제트기 구매 등 과도한 지출에 대한 의문 제기
- 게시물은 “투명성, 커뮤니티 거버넌스, 데이터 권리에 관심 있는 사람은 반드시 새 문서를 읽어야 한다”고 강조
커뮤니티 내 논의의 의미
- 다수의 댓글이 Arduino의 오픈소스 정신이 훼손되었다는 우려를 표명
- 일부는 Adafruit이 새로운 대안 플랫폼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언급
- 전체적으로 이번 개정은 오픈 하드웨어 운동의 방향성과 데이터 권리 문제를 재조명하는 계기임
Hacker News 의견
-
이제 사용자가 Arduino의 허락 없이 플랫폼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하거나 내부 동작을 이해하려는 시도조차 금지된다고 함
IDE와 CLI 저장소를 잠깐 봤는데 각각 AGPL, GPL3로 표시되어 있었음
기여 가이드에는 CLA도 없었는데, 이런 제한을 둘 법적 근거가 있는지 의문임- Adafruit의 해석이 잘못된 것 같음
이번 변경은 오직 Arduino Cloud Services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보임
변호사가 일반적인 SaaS 약관을 그대로 적용한 듯하며, 오픈소스 하드웨어 프로젝트에는 영향이 없음
공식 개인정보 정책을 보면 웹사이트와 온라인 서비스, 포럼 등에만 해당됨 - Arduino는 처음부터 영향력과 논란이 공존한 프로젝트였음
Arduino의 역사와 Wiring 프로젝트의 기원을 보면 그 흐름을 알 수 있음 - 이번 일은 법무팀이 각 서비스에 맞는 검토 없이 일괄 약관 업데이트를 적용한 결과로 보임
- 새 Arduino UNO Q는 Linux를 구동하는 Qualcomm SoC와 STM32 MCU를 함께 탑재함
MCU 쪽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만 SoC 쪽은 폐쇄형 펌웨어 블롭으로 가득해서, 변호사들이 그 부분의 역공학을 우려한 듯함
- Adafruit의 해석이 잘못된 것 같음
-
Qualcomm이 또 일을 벌였다는 반응임
역공학 금지 조항을 취미 개발자 대상 플랫폼에 넣은 건 너무 노골적임- 그 사연을 길게 이야기할 수도 있지만, 정말 지루할 것 같음
- Android가 떠오름. 결국 그것도 Linux 기반이지만 폐쇄적인 부분이 많음
- Rockchip도 비슷하게 폐쇄형 바이너리를 배포함
-
엔지니어들끼리 Arduino를 이야기할 때마다 설명이 필요함
‘Arduino’는 단순한 보드 이름이자, 브랜드이자, 펌웨어 개발 생태계임
Adafruit, PJRC(Teensy) 같은 서드파티가 커뮤니티를 풍성하게 만들었음
1980년대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다뤄왔는데, Arduino는 Python 생태계처럼 배움과 실험의 장으로 발전했음
여전히 원조 보드와 단순한 IDE는 초보자에게 좋은 출발점이라고 생각함 -
예상은 했지만 아쉬움
이제 다시 중국산 ESP32로 돌아가야 할 듯함. 이미 성능도 더 좋음- Teensy나 STM Bluepill, BeagleBone Black, Orange Crab 같은 보드도 써볼 때가 된 듯함
- ESP32는 공식적으로 Rust 지원도 함
-
실제로는 Arduino 브랜드 제품에만 영향이 있는 것 같음
Amazon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Elegoo 같은 복제품도 많고, IDE는 AGPL 오픈소스임
Qualcomm을 공급망에서 빼고 그냥 계속 쓰면 되지 않을까 생각함- 이론상 가능하지만, 그렇게 되면 커뮤니티 분열이 생기고 플랫폼의 통합성이 깨질 위험이 큼
Arduino라는 이름이 그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음 - 아마도 다음 세대 제품의 복제품 방지가 진짜 목적일 것 같음
- 이론상 가능하지만, 그렇게 되면 커뮤니티 분열이 생기고 플랫폼의 통합성이 깨질 위험이 큼
-
“Qualcomm이 Arduino를 소유했다”는 말이면 이미 충분히 설명이 됨
예전의 그 회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Qualcomm은 마치 잔디깎이 같음. 손을 넣으면 바로 잘려나감
-
이건 좋지 않은 신호임
Qualcomm은 원래 평판이 안 좋지만, 서구권에서 연결형 마이크로컨트롤러 분야의 활발한 활동이 필요함
Arduino SDK의 프로그래밍 스타일도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이번 기회에 Espressif 같은 경쟁자가 더 성장하길 바람
Pico는 근접하지만 네트워크 연결성이 엉망임- Espressif는 이번 일로 시장 전체를 거저 얻은 셈임
Raspberry가 시장을 확장하지 않는 이상, RISC-V의 시대가 올지도 모름 - Arduino SDK 스타일이 왜 별로였는지 궁금하다는 질문이 있었음
Arduino를 써본 적은 없지만, 이 스레드를 보고 나니 더더욱 망설여짐 - ESP32는 어떤지 묻는 사람도 있었음
- Espressif는 이번 일로 시장 전체를 거저 얻은 셈임
-
“신뢰의 해자는 쉽게 무너질 수 있음”이라는 말이 인상적이었음
1년 뒤 라이선스가 더 제한되고, 비Qualcomm 보드가 뒤처지거나, 툴이 Qualcomm 계정에 묶이기 시작하면 커뮤니티는 바로 등을 돌릴 것임
지금은 “우린 여전히 오픈이다, 단지 더 강력해졌다”는 메시지가 통하지만, 모두가 지켜보고 있음
관련 기사: Qualcomm to acquire Arduino -
새 약관은 어떤 용도로도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제한적임
그동안 즐거웠지만 이제 Arduino는 끝난 것 같음 -
이 변화가 IDE와 라이브러리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함
요즘은 하드웨어보다 그쪽이 더 중요함- Arduino IDE는 원래 불편했음
그냥 PlatformIO 같은 일반 IDE를 쓰면 훨씬 낫고, 설정도 git에 텍스트로 관리 가능함 - Arduino의 진짜 가치는 API와 드라이버 생태계에 있음
Adafruit 같은 회사가 수백 개의 드라이버를 유지하고 있음 - 사실 Arduino IDE는 필수가 아님
gcc나 Makefile로도 충분히 빌드 가능함 - CLI로 업로드하면 어떤 IDE든 쓸 수 있음
- 누군가는 IDE를 포크해서 유지보수해야 함
Adafruit, SparkFun 같은 회사들이 아마 강한 동기를 가질 것 같음
- Arduino IDE는 원래 불편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