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리콘밸리의 오래된 개념인 ‘사명형 창업가 vs 용병형 창업가’ 구분을 확장해, 창업가의 이념적 성향 6가지 유형을 분석한 글
-
사명형(Missionary) 창업가는 신념에 기반해 회사를 세우며, Believer(믿는 자형, 기회 발견 후 진정성 있게 추구)와 Ideological Purists(이념 순수주의자형, 세계관 자체를 회사로 구현)로 나뉨
-
용병형(Mercenary) 창업가는 결과보다 과정에 매료된 유형으로, Professional Founder(프로 창업가형, 비전 매입 후 실행), Huckster(사기꾼형, 과정만 중시하고 목적지는 무시)로 구분됨
-
공연자형(Minstrel) 창업가는 스타트업의 과시성과 허세를 드러내는 유형으로, Rebels(반항아형, 규범 회피하며 빠르게 실행)와 Performance Artist(행위 예술가형, 거짓을 현실로 만들려다 실패)로 나뉨
- 창업가의 이데올로기는 고정된 성향이 아니라 선택의 문제이며, 시간에 따라 진화 가능
- 이데올로기가 성공여부를 결정하지는 않지만, “성공했을 때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를 기준으로 자기 성찰이 필요함
창업가 유형
- 실리콘밸리의 전설로 전해지는 창업가 분류는 John Doerr의 “Mercenary(용병)가 아니라 Missionary(선교사) 팀이 필요하다”는 말에서 비롯됨
- Missionary는 종교적 의미가 아닌, 사명감·신념·대의에 의해 움직이는 사명형 창업자를 뜻함
- 글은 창업가들이 실제로 보여주는 신념, 동기, 행동양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세 가지 큰 축으로 나눔
사명형 창업가 (Missionary)
- 사명형은 대의와 믿음을 기반으로 회사를 만드는 유형임
- 대규모 회사들이 이런 유형에서 많이 나오는 이유가 설명됨
-
Believer:
믿는 자형
- 문제 해결의 기회를 믿고 실행하는 유형
-
기회 포착형 신념가로 우연한 발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실행으로 이어감
-
Airbnb, Slack처럼 우연한 기회를 보편적 서비스로 확장한 사례
- 돈보다 “이걸 꼭 해야 한다”는 확신과 진정성으로 회사를 키움
-
Ideological Purist:
이념 순수주의자형
- 사업 자체가 세계관의 실현이 되는 유형
- 이 세계관에 공명하는 지지층이 종교적 추종에 가까운 문화를 만들어냄
-
Palmer Luckey, Vitalik Buterin, Brian Armstrong 등
- Elon Musk도 우주개척 등에서는 이념형이지만, 실행 중심적 접근으로 뒤에 나올 ‘프로 창업가’ 성향이 더 강함
용병형 창업가 (Mercenary)
- 용병형은 동기가 돈 그 자체는 아니며, 목표가 아닌 과정의 추구가 핵심임
- Doerr가 비판한 “돈만 좇는 용병”과는 구분됨
-
Professional Founder:
프로 창업가형
- 비전을 ‘창조’하는 것보다 ‘매입’해서 집요하게 실행하는 유형으로 기회 포착과 실행력이 강점
-
Eric Schmidt(구글), Elon Musk(테슬라 Buy-in), Sam Altman(OpenAI) 등
- Jeff Bezos 역시 인터넷 성장률이라는 기회를 ‘사서’ 뛰어든 프로 창업가에 가까움
- 목적보다는 게임 그 자체를 즐기는 태도
- 예: Musk는 문제를 발견하면 직접 회사를 세우고 떠남 (Boring Company, xAI 등)
-
Huckster:
사기꾼형
-
여정만 중요하고 규칙은 무시하는 위험한 유형임
- 사기·과대선전·펌프앤덤프 논리로 정당화하는 태도가 포함됨
- 즉, 목적이 아닌 과정과 과시 자체에 몰입하는 사기형 창업가
-
Adam Neumann(위워크), Trevor Milto(니콜라), Chamath Palihapitiya
- ‘자기 신념에 취한 사기꾼’처럼 현실왜곡과 자기기만을 보임
- 특히 Neumann은 ‘자신의 종교를 믿는 사기꾼형(method huckster)’
공연자형 창업가 (Minstrels)
- 스타트업 생태계의 ‘보여주기식 퍼포먼스 행태’ 가 증가하며 등장한 새로운 유형
- 동기와 행동 양상에 따라 결과가 크게 갈림
-
Rebel:
반항아형
- “규범은 어겨도 법은 어기지 않는다”는 태도의 도전형 실천가
-
Travis Kalanick(Uber), Parker Conrad(Zenefits & Rippling), Reid Hoffman(LinkedIn) 등이 대표
-
‘fake it until you make it’
- 법을 정면으로 깨는 것이 아니라, 빠른 실행과 위법 사이의 회색지대에서 시험하며 성장
-
Performance Artist:
행위 예술가형
- 현실을 조작해 스스로도 자신의 퍼포먼스를 믿게 되는 ‘메서드형 사기꾼’. 과대 신념이 파국을 초래함
-
Elizabeth Holmes(Theranos), Sam Bankman-Fried(FTX)
- Huckster는 거짓임을 알지만, Performance Artist는 거짓을 진심으로 믿음
- Adam Neumann은 이 경계선에 있는 ‘자기 서사를 믿는 연기자형’
창업가의 이념은 변한다
-
Mark Zuckerberg:
- 초기에는 해킹 기반의 실험적 성향으로 Believer와 Huckster 사이의 모습
- 이후 인수 제안을 거절하는 등 Ideological Purist로 발전
- 다시 Professional Founder적 계산된 전략가로 변화
- 최근에는 갈지자 행보로 인해 Huckster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평가
-
Sam Altman:
- YC 시절엔 프로 창업가형,
- OpenAI 이후 이념형의 가면을 쓴 허세형(Huckster) 으로 진화
- 내부 증언에 따르면 “일관된 거짓과 분열 조장” 패턴이 반복됨
- 초기에는 Professional Founder적 성향으로 YC 운영에서도 기회 중심의 실행을 강조
- OpenAI도 비전 자체보다 기회를 산 경우에 가까움
- ChatGPT 성공 이후 이념형의 가면을 쓴 Huckster적 요소가 드러나고 있음
- Brad Gerstner 질의에 대한 방어적·피해자적 반응
- Ilya Sutskever의 증언에서 나온 거짓말·혼란 조성·내부 분열 유도 등의 내용
- 결과적으로 “처음부터 Huckster였을 가능성도 있음”
자기 이념 정의하기
- 창업가의 이념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하루하루 자신의 태도와 동기를 선택하는 존재
- 특정 유형으로 고정되기보다, 자신이 어떤 행동과 선택을 하고 싶은지를 통해 지향하는 이데올로기를 정립해야 함
- 투자자에게는 창업가를 평가하는 렌즈, 창업가에게는 스스로의 동기를 점검하는 거울
-
Believer vs Purist, Professional vs Huckster, Rebel vs Performer 중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인식해야 함
- 성공은 어느 유형에서도 가능하지만, “성공했을 때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가 더 본질적인 질문
-
이념은 행동의 선행 지표이며,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의 형태가 창업가로서의 방향을 결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