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P by GN⁺ 7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스위스 비영리 DNS 리졸버 Quad9이 프랑스 법원의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차단 명령으로 인해 서비스 존속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
  • Google·Cloudflare·Cisco 등 대형 기업은 법적·기술적 비용을 감당할 수 있지만, 소규모 비영리 조직은 동일한 부담을 견디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
  • Quad9은 재정 부족으로 최근 프랑스 법원 소송에 직접 출석하지 않기로 결정, 차단 명령을 전 세계적으로 적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
  • 저작권자들이 중립적 인프라 제공자(ISP·VPN·DNS) 에 책임을 전가하면서, 인터넷의 기본 구조(plumbing) 자체가 훼손되고 있음
  • 이러한 법적 압박이 인터넷의 개방성·프라이버시·분산성을 약화시키고, 결국 소수 대기업 중심의 중앙집중화로 이어질 위험 제기

불법복제 차단 명령과 Quad9의 위기

  • 스위스 기반 비영리 DNS 리졸버 Quad9은 최근 블로그를 통해 불법복제 사이트 차단 명령이 자사 서비스에 “존립적 위협(existential threat)” 이 되고 있다고 발표
    • 대형 기술기업은 법적·엔지니어링 비용을 사업 운영비로 흡수할 수 있지만, 소규모 비영리 단체는 동일한 수준의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언급
  • Quad9은 프랑스 법원 소송에서 재정적 한계로 인해 자가 변호를 포기했으며, 이로 인해 차단 명령을 글로벌 수준으로 적용해야 하는 상황 발생
  • 2024년 5월 파리 사법법원이 Google, Cloudflare, Cisco에 대해 여러 불법 스포츠 스트리밍 사이트 접근 차단을 명령한 것이 발단
    • 이후 DAZN, beIN 등 추가 권리자들이 유사한 요청을 제기하며, Quad9과 Vercel 등 더 많은 DNS 제공업체가 대상에 포함됨

“인터넷의 배관을 부수는 행위”

  • Quad9은 저작권자들이 직접 침해자를 겨냥하지 않고, ISP·VPN·DNS 제공자중립적 인프라 사업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
    • 이러한 조치는 인터넷 핵심 인프라 제공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Quad9은 “침해로 이익을 얻는 플랫폼이 아닌, 인터넷을 작동시키는 중립적 인프라 제공자가 공격받고 있다”고 표현
  • 프랑스의 차단 조치 이후 Cisco는 프랑스 시장 철수를 결정, 이미 실질적 영향이 나타남
  • Google과 Cloudflare는 기술적으로 프랑스 내에서만 차단을 제한할 수 있지만, Quad9은 이를 구현할 수 없어 전 세계적으로 차단을 적용해야 했음

프랑스 법원의 입장과 Quad9의 문제 제기

  • 프랑스 법원은 이러한 차단 명령이 정당하다고 판단했으며, 일부 항소가 진행 중이지만 뒤집힐 조짐은 없음
  • Quad9은 이에 대해 인터넷의 기본 원리와 책임 범위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여러 질문을 제시
    • 중립적 기술 인프라가 타인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가?”
    • 국가 법원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자국 법률을 어디까지 적용할 수 있는가?”
    • 소규모 비영리 단체가 글로벌 기업을 전제로 한 법적 의무를 감당할 수 있는가?”
    • 프라이버시와 회복력은 소수 대기업만이 법적 의무를 이행할 수 있을 때 어떻게 되는가?”
    • “법적 준수가 어느 시점에서 사실상의 검열로 변하는가?”

독일 소송 이후 재점화된 위협

  • Quad9은 과거 독일에서 Sony를 상대로 한 다년간의 소송에서 승소한 경험이 있으나, 이번 프랑스 사건으로 다시 존립 위협이 재현
  • Quad9은 이러한 차단 소송이 인터넷의 개방성과 프라이버시, 분산성을 약화시키고, 결국 법적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소수 대기업 중심의 중앙집중화된 인터넷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
Hacker News 의견
  • Cisco의 OpenDNS가 프랑스와 포르투갈에서 법원 명령으로 차단되었다가, 이후 포르투갈에서는 다시 복구되었다는 https://support.opendns.com/hc/en-us/…">공지를 봄
    Quad9가 검열에 맞서 싸우려는 건 훌륭하지만, 이들도 프랑스 요청을 차단할 수밖에 없을 것 같음
    사용자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정부 담당자 연락처를 안내하는 리디렉션 페이지로 보내는 방식이 낫지 않을까 생각함

    • 기사에 따르면 Google과 Cloudflare는 프랑스 내에서만 차단을 적용할 수 있는 지오펜싱 기술이 있지만, Quad9은 그럴 수 없어 전 세계적으로 차단을 적용했다고 함
      공용 DNS 리졸버가 이런 지오펜싱을 구현하는 데 드는 비용과 복잡도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함
    • 국가 단위로 전체를 차단하는 건 결국 존립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함
  • 은행 웹사이트 로그인 문제를 디버깅하다가 Quad9 DNS가 Google이나 Cloudflare와 다르게 A 레코드 일부만 반환한다는 걸 발견함
    dig 명령으로 테스트했을 때 Google과 Cloudflare는 6개의 IP를 주지만 Quad9은 1개만 줌
    이게 단순한 지리적 라우팅 차이인지, 아니면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지 의문이 생김

    • 나도 집에서 Quad9을 기본 DNS로 쓰다가 약 11일 전부터 쿼리가 전혀 안 나가서 IP 차단을 의심했음. 지금은 Quad1으로 바꿔 사용 중임
    • 세 DNS 모두 단일 IP만 반환하는 걸 봄. Google은 EDNS0 client subnet을 사용해 클라이언트 IP 기반으로 지오 타깃팅을 함
      dig -t txt o-o.myaddr.l.google.com @8.8.8.8 명령으로 확인 가능함
    • Quad9을 좋아하려 노력했지만, 북동부 지역에서 SERVFAIL 오류가 너무 잦아서 Cloudflare로 돌아감
    • Google은 EDNS와 로드밸런싱을 쓰기 때문에 테스트용으로는 부적절함. 고정 IP 여러 개 가진 도메인으로 다시 테스트해보는 게 좋음
    • 흥미롭게도 나도 세 DNS 모두에서 각각 다른 단일 IP만 받았음
  • 독일의 여러 ISP들이 이제는 싸움을 포기하고 DNS 자체 검열을 시작했음
    관련 정보는 CUII 사이트에서 볼 수 있음

    • 일본에서도 2018년에 총리실이 해적판 사이트 DNS 차단을 검토했지만, 기술 커뮤니티의 반대로 무산되었음
      지금은 온라인 카지노 사이트 차단을 논의 중임
      관련 자료: 정부 회의록, NIC 발표문
    • 이런 상황일수록 Unbound로 개인 리졸버를 직접 운영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중앙화된 DNS에 의존할 필요가 없음
    • 사실 이런 자체 검열은 예전부터 있었음. The Pirate Bay 시절에도 이미 그랬음
  • 스위스가 내년에 EU와 체결하려는 협정에 서명하지 않기를 바람
    8천 쪽이 넘는 협정문에는 저작권 관련 EU 규제 준수 의무가 포함되어 있어서, 현재의 자유로운 다운로드 환경이 사라질 수 있음
    정치 성향과 무관하게 이건 모두에게 나쁜 거래라고 생각함

  • 나는 Mullvad DNS를 사용 중이며 꽤 만족스러움
    Mullvad DNS 사양

    • Mullvad DNS가 공개되어 있는 줄 몰랐음. 덕분에 알게 됨
      요즘은 DNS4EU도 테스트 중임
    • 나도 백업용으로 쓰지만 속도가 매우 느림
      참고로 Wikimedia DNS도 공개 서비스로 운영 중임: Wikimedia DNS
    • 내 경우 평균 350ms 지연이 나옴. 속도 측정 스크린샷
    • Mullvad DNS는 자주 다운타임이 발생했음. 거의 매일 장애가 있었지만 VPN 자체는 훌륭함
  • DNS 리졸버를 공격하는 건 쉬운 승리처럼 보임
    정말 불법적인 사이트라면 ICANN을 통해 도메인 압류를 시도해야 함. 하지만 그건 입증이 어렵기 때문에 DNS 리졸버를 압박하는 것 같음

    • ICANN을 통한 도메인 압류는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해서, 국가별 법률 차이를 반영하기 어려움
      각국이 서로 다른 차단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함
    • 하지만 ICANN은 도메인을 직접 압류할 권한이나 메커니즘이 없음
      오직 레지스트라 계약 위반 시 인증 취소만 가능함
  •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의 탈중앙화 인터넷 흐름은 이상적인 이유가 아니라, 권위주의적 검열에 대한 반작용으로 일어나고 있음

    • 아이러니하지만, 탈중앙화의 본래 미덕 중 하나가 바로 검열 저항성
    • 나는 검열 저항성이 탈중앙화의 핵심 가치라고 생각함
    • 이성, 자유, 검열 저항이야말로 우리가 지켜야 할 덕목임
  • Quad9이 DNSSEC은 유지하면서 악성코드 차단은 없는 리졸버를 운영하는지 궁금함
    합법적인 도메인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가 여러 번 있었음

    • 아쉽게도 그런 조합은 없음. 9.9.9.10은 DNSSEC도, 악성코드 차단도 없는 버전임
  • 루트 DNS 서버가 법원 명령으로 검열되거나 수정될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함
    루트 서버는 신성불가침이라 생각했는데, 현실적으로는 어떨지 의문임

    • 미국이 직접 검열을 시도하지 않는 한, 그런 명령에는 강하게 반발할 것 같음
      대신 DNS-over-TorDNS-over-DHT 같은 대안을 개발하고, Tor onion 서비스를 일반화하는 게 좋을 듯함
    • 루트 서버는 완전히 안전하지는 않지만, DNSSEC 검증이 실패하면 SERVFAIL로 처리되어 다른 루트 서버로 재시도함
      따라서 모든 루트 서버가 동시에 수정되지 않는 한 효과가 없음
      참고: DNSSEC 통계
    • 루트 서버는 실제 도메인 레코드를 저장하지 않고 레지스트리 위치만 안내
      따라서 검열이 일어나려면 레지스트리 수준에서 차단이 이루어져야 함
    • 스웨덴의 사례처럼, 레지스트리가 법원 명령을 받으면 도메인을 경찰에 양도하는 식으로 처리함
      하지만 ‘도메인을 영구히 파괴’하는 개념이 없어 차단의 정의가 모호함
  • 나는 자체 네임서버를 운영함
    루트 서버까지 장악되지 않는 이상 DNS 차단은 문제되지 않음
    상위 5000개 도메인을 미리 캐싱해두면 응답 속도도 빠름

    • 현실적으로는 루트 서버보다 TLD/2LD 레지스트리가 차단의 핵심임
      개인 루트 콘텐츠 DNS 서버를 운영하면 이런 공격에 거의 면역이 됨
    • 물론 일부 가정용 네트워크에서는 53번 포트 차단으로 이런 시도가 막힐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