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P by davespark 7시간전 | ★ favorite | 댓글 3개

Paul Kinlan이 제시한 “Dead Framework Theory”는 React 중심 생태계가 고착화된 현실을 분석한 글

React = 사실상의 웹 플랫폼
LLM과 코드 생성 도구들이 React 코드를 기본으로 생성하면서,
새로운 프레임워크는 LLM 학습 데이터·툴 기본값·개발자 습관의 벽을 넘기 어려워졌음.

피드백 루프 효과
React 사이트가 많을수록 → LLM이 React 코드를 더 출력하고 →
그 결과 React 중심 생태계가 더 강화되는 순환 구조가 형성.

새로운 프레임워크의 난관

  • 학습 데이터 부족으로 LLM이 코드 예시를 생성하지 못함
  • 대부분의 도구가 React를 기본으로 지원
  • 개발자들이 이미 익숙한 생태계에서 벗어나기 어려움

의미
기술적 우수성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음.
새로운 프레임워크는 처음부터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에 들어섰음.
이제 경쟁의 초점은 기술 자체보다 데이터·툴·생태계의 네트워크 효과에 있음.

현재는 단어의 관계유사도를 학습해서 다음단어를 유추해내고 혼잣말을통해 사고하는 듯한 척 다음단어유추하기때문에 많이본문장위주로답하니까그런데
이제 사람이하듯 원리를 이해한다면, 단어가아닌 피지컬적인걸이해하고 등등 한다면
많이헷갈리는 스벨트 문법 룬새로나온것을 많이봤어야만하는게아니라 그냥 룬에대한 문서만봐도 이후에 모든곳에 응용할수잇을듯

경쟁의초점 네트워크효과 라기보단 그냥 ai 의 발전이 필요하다생각이드네요

LLM이 진짜 스벨트 룬 문법 이상할 정도로 많이 헷갈려 합니다
이 부분이 공감이 가는군요

매번 프롬프트 쓸 때마다 룬을 쓰라고 명시해주는데 조금만 지나면 헷갈려하더군요
$derived.by 같은 문법은 아에 시도조차 안하는 느낌도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