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5시간전 | ★ favorite | 댓글 1개
  •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인 심장병은 조용히 진행되며, 55세 이하에서도 25%의 심근경색이 발생하는 주요 질환임
  • ApoB, Lp(a) 등 핵심 바이오마커CT/CTA 영상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과 예방이 가능하며, 연간 약 300달러 수준으로 관리 가능
  • 스타틴, ACE 억제제, 아스피린 등 약물과 운동·식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대부분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음
  • 의료 시스템의 경제적 인센티브 왜곡으로 예방 중심 진료가 부족하므로, 개인이 스스로 ‘자기 옹호자(Advocate)’ 가 되어야 함
  • 지식과 검사 접근성이 이미 충분하므로, 누구나 심장병으로 죽지 않을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 메시지임

심장병 예방의 필요성과 배경

  • 심장병은 남녀 모두에게서 가장 많은 사망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년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감
    • 54세 이하에서도 25%의 심근경색이 발생하며, 젊은 세대에서도 위험이 증가 추세
  • 대부분의 사람은 첫 증상이 돌연사로 나타날 만큼 조용히 진행되는 병임
  • 예방과 조기 진단을 위한 지식·검사·치료법이 이미 존재하지만, 일반 진료 체계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않음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 미국 의료 시스템은 질병 치료 중심(sick-care) 구조로, 예방보다 치료에 수익이 집중됨
    • 보험은 예방보다 치료에 비용을 지불하며, 고용주 중심 보험 구조로 장기 예방 인센티브가 부족
  • 컨시어지(Concierge) 의료 서비스는 예방 중심 진료를 제공하지만 고가임
    • 그러나 동일한 심장 건강 관리가 연간 약 300달러 이하로도 가능함
  • 가이드라인의 과학적 갭(10~20년 지연) 으로 인해, 일반 의사 진료는 최신 예방 지식과 괴리

심장병의 원리와 주요 위험 요인

  • 가장 흔한 형태는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으로, LDL과 ApoB가 동맥벽에 침투해 플라크(plaques) 를 형성
    • 플라크가 파열되면 혈전이 생겨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으로 이어짐
  • 주요 위험 요인: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흡연, 비만, 당뇨, 운동 부족, 음주
  • 유전적 요인으로 APOE, CETP, APOC3, Lp(a) 등이 있으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위험도 파악 가능

예방 단계와 실천 방법

  • 예방은 4단계(원발·1차·2차·3차) 로 구분되며, 플라크 형성 전(원발) 단계에서 시작하는 것이 최적
  • 저자는 2차 예방 단계(플라크 존재)로, 약물·식이·운동을 병행해 진행 억제 중
  • 심장 건강 관리는 장수와 건강수명(healthspan) 연장에도 핵심적 역할

핵심 검사: 바이오마커와 영상 진단

  • 바이오마커 검사(연 2회, 약 80~120달러)
    • 주요 항목: ApoB, Lp(a), hsCRP, MACR, 중성지방, 인슐린·A1C, 오메가3 지수
    • ApoB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심근경색 위험이 38% 증가
    • 권장 수치: ApoB < 60mg/dL, Lp(a) < 30mg/dL, hsCRP < 0.5mg/L
  • 영상 진단(CT 또는 CTA)
    • 칼슘 스코어(CT) 로 경화된 플라크 측정, CTA는 연조직 플라크까지 3D 시각화
    • 비용: CT 약 150달러, CTA(Cleerly 등) 1,000~1,500달러
    • 1~5년 주기로 재검사 필요

치료: 약물과 생활습관 병행

  • 약물 요법
    • 스타틴: ApoB·LDL 감소, 대부분의 환자에게 효과적
    • ACE 억제제: 혈압 조절, 아스피린: 혈전 예방
    • PCSK9 억제제, Ezetimibe, Semaglutide(Ozempic 등) 등 신약도 활용
  • 행동 요법
    • 지중해식 식단 중심의 저탄수·저포화지방 식사
    • 근력운동(주 3회) + Zone 2 유산소 운동(주 2~3시간)
    • 금연, 절주, 7~9시간 수면, 스트레스 관리 필수
    • 명상 앱(Waking Up) , 치료 상담 등 정신 건강 관리도 중요

의사와의 협업 및 데이터 활용

  • 일반 의사에게 확장형 지질 패널과 CT/CTA 검사를 요청하는 구체적 스크립트 제공
    • 요청 항목: ApoB, Lp(a), hsCRP, MACR, 인슐린, 오메가3 등
  • 검사 결과는 ChatGPT 등 AI 도구로 해석 후, 의사와 함께 검토 가능
    • 예시 결과에서는 LDL-C 29mg/dL, hsCRP <0.2mg/L 등 최적 상태로 평가

결론 및 향후 계획

  • 심장병은 완전히 예방 가능한 질환이며, 필요한 지식·검사·약물은 이미 존재
  • 개인이 자기 옹호자(Advocate) 로서 주도적으로 건강을 관리해야 함
  • 저자는 이 가이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심장병 예방을 위한 소비자 중심 서비스 개발을 모색 중
  • “심장병으로 죽지 말고, 다른 이유로 오래 살라”는 메시지로 글을 마무리함
Hacker News 의견
  • 나는 스타틴(statins) 에 회의적이고 싶지 않음
    연구를 보면 합리적이지만, 사회적·심리적 압박 때문에 의심이 생김
    ApoB가 LDL-C보다 더 정확하다는 게 널리 알려졌는데도 업계가 여전히 LDL-C만 측정하는 이유가 궁금함
    또, 스타틴의 목적이 동맥 내 플라크를 줄이는 것인데, 실제로 플라크를 스캔으로 측정할 수 있음에도 거의 하지 않는 이유도 의문임
    결국 스타틴이 심근경색 위험을 약 30% 줄인다지만, 그건 여전히 70%는 막지 못한다는 뜻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듦
    콜레스테롤과 스타틴에 대해 걱정이 많음

    • 약 없이 생활습관과 식단 개선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그게 최선임
      의료계가 보수적이라 연구보다 평균 17년 정도 뒤처지고, 의사들은 가이드라인에 묶여 있음
      그래서 최신 정보를 알려주는 건 주로 컨시어지(비보험) 의사들임
      관련 연구는 여기 참고
    • ApoB는 LDL-C보다 약간 더 나은 점진적 개선 정도임
      하지만 피트니스 인플루언서들이 그 차이를 과장해서 콘텐츠로 소비함
      LDL-C 측정만으로도 대부분 사람의 심혈관 질환 위험 방향성을 파악하기엔 충분함
      스타틴이 심근경색 위험을 30% 줄인다는 건 엄청난 수치임 —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이 30% 줄어든다면 누구나 그 길을 택할 것임
    • JAMA Internal Medicine 메타분석에 따르면, 고위험군 1차 예방 상황에서 스타틴이 전체 사망률을 낮춘다는 근거는 없음
    • ApoB가 LDL보다 정확하다는 건 1990~2000년대부터 알려졌지만, 보험 적용이 과학을 따라가지 못함
      전문 학회 → USPSTF 검토 → 보험사 반영까지 단계가 많고, 각 단계마다 수년씩 걸림
      그래서 실제 의료 시스템은 평균 17년 정도 늦게 움직임
    • 나도 LDL-C가 높아 병원에서 심장 CT를 찍었는데, 결과 상담 예약이 취소됨
      이유는 “플라크가 전혀 없으니 만날 필요가 없다”는 것
      이럴 때 어디서 제대로 된 조언을 받아야 할지 모르겠음
  • 나는 사람들이 시간·돈·정신 에너지를 잘못 분배하고 있다고 느낌
    “심장병 예방을 위해 매일 30분 걷기” 같은 단순한 행동이 훨씬 낫다고 생각함
    미국 의료 문화는 불안과 스트레스를 키우는 구조임

    • 18살 때부터 이런 걸 의식해야 한다고 생각함
      젊을 때 바꾸는 게 훨씬 큰 효과를 냄
      너무 세세하게 최적화하려는 건 에너지 낭비임
    • 인생에서 걱정할 게 너무 많음
      결국 수면, 운동, 식습관, 절주 정도만 꾸준히 하면 됨
    • 기사 요지는 “90%의 사소한 걱정은 버리고, 심장병 예방에 집중하라”는 것임
      진단과 예방이 쉬운 질환이니 자원을 거기에 써야 함
  • 핵심 요약은 “CT나 CTA 스캔을 받아보라, 가능하면 Cleerly CTA로”였음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영상 검사를 권하지 않는 이유는 비용·방사선·우연 발견(incidentaloma) 등 부작용 때문임
    현재는 중간 위험군 중 스타틴을 피하고 싶은 사람에게만 칼슘 스코어링을 권장함

    • 글쓴이는 “일반 가이드라인이 틀렸고, 비싼 의사만 진실을 알려준다”고 주장함
      이게 정말 사실인지 의사에게 두 번째 의견을 듣고 싶음
    • “결과 해석이 어려워서 검사를 안 한다”는 건 말이 안 됨
      해석을 개선하면 될 일인데, 왜 MRI를 일상화하지 못했는지 이해가 안 됨
    • CIMT 초음파 검사도 대안임. 경동맥 벽 두께를 측정해 위험을 평가함
  • “LDL-C 116mg/dL이 정상”이라는 말이 틀렸다고 하는데, 그게 인구 중앙값(50백분위) 이라면 왜 ‘절대 정상 아님’이라 하는지 이해가 안 됨
    미국 인구가 그만큼 비정상적으로 건강하지 않다는 전제가 필요함

    • MESA 연구 집단이 원래 건강하지 않은 그룹이라, 그 안에서 50백분위면 이미 나쁜 절반일 수 있다고 생각함
    • 너무 낮은 LDL도 문제임
      LDL은 신체 구성에 필요한 물질이라 너무 낮으면 분노 조절 문제 등 부작용이 있음
      예전엔 LDL이 HDL의 2~2.5배 이하가 적정이라 했는데, 요즘 기준이 바뀐 건지 궁금함
  • 바이오마커와 혈액검사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몇 년 몰두하다가 금방 번아웃되는 걸 자주 봄
    결국 지속 가능한 생활 습관이 가장 중요함
    $300짜리 패널보다 꾸준한 식습관·운동이 훨씬 낫고, 검사 전 일주일만 잘 먹는 자기기만 루틴도 흔함

    • 내 친구도 그 전형임. 모든 검사를 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안 함
      결국 몇 년 사이 심근경색 두 번 겪음
    • 운동을 꾸준히 하려면 좋아하는 오디오북이나 팟캐스트를 운동할 때만 듣는 규칙을 만들면 좋음
      간식이나 술은 집에 두지 않는 식으로 마찰을 높이는 전략도 효과적임
    • 꾸준함의 핵심은 노력 없이 유지 가능한 루틴을 만드는 것임
      나도 사고로 두 발목을 부러뜨려 8개월 재활했지만, 운동이 진짜 열정이었기에 다시 돌아올 수 있었음
  • 논의가 지질(콜레스테롤) 에만 치우친 느낌임
    사실 혈압이야말로 주요 위험 요인임
    혈압약을 복용 중이라면 절대 임의로 용량을 바꾸거나 중단하지 말아야 함
    응급 상황에 대비해 한 달치 비상 약 패키지를 주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 혈압과 지질은 둘 다 중요함
      어느 한쪽만 신경 쓰는 건 의미 없음
    • 혈압은 집에서도 쉽게 측정 가능함
      무증상 고혈압이 많고, 나도 직접 수치가 오르는 걸 보고 식단과 카페인을 줄이게 됨
  • 요약하자면 건강을 챙겨야 함
    가공식품 줄이고, 직접 요리하고, 채소·과일 다양하게, 고기·술은 적게
    규칙적 운동, 충분한 수면, 낮은 스트레스, 좋은 인간관계가 핵심임

    • 모두가 건강한 삶의 공식을 알고 있지만, 실행이 어려움
      사회 구조가 건강한 선택을 어렵게 만들어서임
      결국 왜 이런 사회를 만들었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모든 가공식품이 나쁜 건 아님
      UPF(초가공식품) 구분이 모순적일 때도 있음
      도시 인구를 먹이려면 일정 수준의 가공식품은 불가피함
    • 원글의 요약이 너무 단순함
      실제로는 ApoB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이 핵심임
      Peter Attia가 권하는 수치(30~40mg/dL)나 검사 비용($80~120) 같은 구체적 정보가 빠져 있음
    • “Long story short”라면 진짜 짧은 요약이 나와야 함
    • “채소·과일 많이, 고기 적게”는 틀렸다고 생각함
      인간은 본래 육식에 최적화된 생물이며,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은 산화 스트레스를 높임
  • 지중해식 식단이 가장 안전한 선택임
    최근엔 “포트폴리오 다이어트”가 다시 주목받고 있음
    관련 연구는 JAMA, AHA 저널,
    그리고 Harvard Health, NYT, CNBC 참고

    • 결국 요지는 식물성 기반 식단을 먹으라는 말임
  • 글이 너무 반복적이고 장황함
    요약하면 “검사, 약, 생활습관 변화” 세 줄이면 될 내용임

    • 의사와 의료 시스템을 지나치게 악역화하는 게 불편함
      유럽에서는 의사들이 예방과 위험, 트레이드오프를 충분히 논의함
      비싼 의사가 더 윤리적이라는 보장은 없음
    • 두 번째 도입부에서 흥미를 잃었음
    • 컨시어지 의사들이 계속 검사를 돌려서 뭔가 발견될 때까지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듦
  • 글쓴이는 흡연에 대해 “하면 죽는다”고 단언하면서,
    술에 대해서는 “좋아한다면 마시지 말라고 하는 건 비현실적”이라 함
    왜 술은 예외인지 이해가 안 됨

    • 술은 대부분 사회적 음주가 기본이라 중독으로 번질 확률이 낮지만,
      흡연은 니코틴 의존이 즉각적이라 훨씬 위험함
    • 하지만 진실은 안전한 음주량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임
      어떤 양이든 신체에 손상을 줌
    • 사람들에게 “술 마시지 말라”고 하면 반발이 심해서 그런 듯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