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P by GN⁺ 3일전 | ★ favorite | 댓글 6개
  • 지능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들에 따르면, 높은 지능이 더 큰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약간의 부정적 상관(r = -0.06) 이 존재함
  • 심리학의 전통적 지능 개념은 명확히 정의된 문제(well-defined problems) 해결 능력에 초점을 맞추며, 이는 시험으로 측정 가능한 영역임
  • 그러나 인생의 대부분은 “좋은 삶을 사는 법”처럼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문제(poorly defined problems)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다른 종류의 사고와 지혜(wisdom) 를 요구함
  • AI의 발전 또한 명확히 정의된 문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인간만이 불명확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
  • 행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지능보다 방향성(directionness)지혜가 중요하며, 이는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과는 다른 인간적 역량임

지능의 정의와 측정

  • 심리학자들이 합의하는 지능 정의는 추론, 계획, 문제 해결, 추상적 사고, 복잡한 개념 이해, 빠른 학습 등을 포함하는 매우 일반적인 정신 능력
  • 이는 단순한 책 지식이나 시험 기술이 아니라,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파악하며 무엇을 할지 판단하는 더 광범위하고 깊은 능력
  • 이렇게 정의된 지능은 측정 가능하며, 지능 검사가 이를 잘 측정함

지능과 행복의 관계 연

  • 여러 메타분석과 대규모 조사에서 지능과 행복의 관계는 거의 없거나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남
    • 영국의 전국 대표 표본 연구에서는 지능이 낮은 집단이 약간 덜 행복했을 뿐, 전반적으로 큰 차이 없음
    • 미국의 General Social Survey 자료(50년간, 30,346명)에서도 어휘 테스트 점수가 높을수록 약간 덜 행복한 경향(r = -0.06, p < .001)
  • 지능이 문제 해결, 계획, 학습 능력 등에서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삶의 만족도에는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음

스피어만의 일반 지능 이론과 그 한계

  • 1904년 Charles Spearman은 다양한 과목 성적 간의 높은 상관을 발견하고, 이를 일반 지능(g factor) 으로 설명
  • 이후 연구에서도 인지 과제 간의 positive manifold(모든 과제 간 양의 상관)가 반복적으로 확인됨
  • 그러나 이는 지능이 모든 형태의 문제 해결 능력을 대표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시험 가능한 문제 유형의 유사성을 반영함
  • 수학, 어휘, 음악 등은 모두 명확한 정답과 경계가 있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제만이 표준화된 테스트로 측정 가능

명확히 정의된 문제 vs 불명확한 문제

  • 명확히 정의된 문제(well-defined problems) 는 절차와 정답이 존재하며, IQ 테스트나 학문적 과제에서 다룸
  • 반면 불명확한 문제(poorly defined problems) 는 경계가 모호하고, 정답이 없으며, 반복 불가능한 문제임
    • 예: “좋은 배우자를 찾는 법”, “아이를 잘 키우는 법”, “행복하게 사는 법”
  • 지능은 전자에 강하지만, 후자에는 지혜, 자기이해, 통찰 등의 다른 능력이 필요함
  • 따라서 높은 IQ가 삶의 만족도나 행복을 보장하지 않음

"가장 똑똑한 사람들"의 역설

  •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을 검색하면 대부분 물리학자,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 체스 마스터가 나옴
  • 이들은 모두 어렵지만 명확히 정의된 문제 해결자이며, 순위 매기기가 쉬워서 "가장 똑똑함"으로 보임
  • 그러나 최고 체스 선수와 수학자가 전체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것은 아님 - 단지 그들의 분야에서만 최고

그렇게 똑똑한데, 왜 그렇게 멍청한거야?

  • IQ 검사에서 놀라운 점수를 받은 Christopher Langan은 9/11이 자신의 이론에서 대중의 관심을 돌리려는 내부 공작이라 믿으며, 백인이라서 은행 대출을 거부당한다고 주장
  • IQ 176으로 알려진 John Sununu는 치과 예약에 군용기를 사용하다 조지 H.W. 부시 비서실장직 사임
  • 위대한 체스 선수 Bobby Fischer는 히틀러는 좋은 사람, 홀로코스트는 없었음, 유대인이 기독교 어린이를 죽여 피를 쓴다고 주장
  • 명문 대학 교수들이 성희롱, 데이터 조작, 소아성애자와 교류 등으로 징계받거나 해고됨
  • 이들은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로 여겨지지만 "현실 기본 인식 유지", "좋은 사람 되기", "인생 중대 실수 피하기" 같은 기본적이지만 불명확한 문제 해결에 실패

기술 진보와 행복의 괴리

  • 지난 세대는 천연두와 소아마비 박멸, 달 착륙, 더 나은 자동차·냉장고·텔레비전 제작, IQ 15점 상승 등 명확히 정의된 문제들을 해결함
  • 그러나 이 모든 진보에도 불구하고 행복도는 전혀 증가하지 않음
  • 중요한 교훈: 명확히 정의된 문제를 여러 개 해결하는 것이 선조들을 더 행복하게 만들지 못했다면, 우리도 그렇지 않을 것
  • 당신과 영원한 행복 사이의 장벽은 텔레비전 크기나 레이븐 지능검사의 문제 해결 능력이 아님
  • 굶주림, 외로움, 고통이 있으면 음식, 친구, 안도를 얻어 더 행복해지지만 그 이후엔 보상이 매우 빠르게 감소함
  • 긍정 심리학 학습, 예일대 인기 강좌 수강, 명상, 운동, 감사 일기 등을 모두 해도 아마도 조금만 더 행복해질 것
  • 행복에 큰 영구적 변화를 원한다면 고대 사상가들의 글을 읽는 것이 나을 수 있음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부처, 공자, 예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성 아우구스티누스, 소로, 비베카난다 등은 좋은 삶 살기에 집착
    • 어느 시점에서 이런 주제가 유행에서 벗어난 듯함

AI와 인간의 문제 해결 능력

  • AI는 명확히 정의된 문제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임
    • 예: 체스, 단백질 구조 예측, 자율주행 등
  • 그러나 AI가 다루는 문제는 모두 명확한 데이터와 규칙을 전제로 하며, 불명확한 문제는 해결 불가능
    • GPT-3나 DALL·E 2도 실제 창작이 아니라 패턴 예측에 불과
  • 인간은 여전히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재구성하고 의미를 찾는 능력에서 우위

지혜와 방향성의 가치

  • 명확히 정의된 문제 해결을 잘하는 사람들은 "교수", "박사" 칭호를 받고, 많은 돈을 받으며, Mensa와 Prometheus Society 같은 배타적 클럽 가입 가능
    • 하지만 Mensa의 IQ 설명 페이지는 지능 검사로 사람들을 해친 어두운 역사를 전혀 언급하지 않음
  • 이렇게 사회는 시험으로 측정 가능한 지능을 높이 평가하지만,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는 과소평가됨
    • 예: 가족을 돌보고, 공동체를 유지하며,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
    • 이런 지혜를 "소박한(folksy)" 또는 "단순한 것(homespun)"이라 부르며 다지선다형 문제가 진짜 지능이고, 좋고 충만한 삶은 노부인들이 하는 귀여운 일처럼 취급함
  • 이러한 능력은 수치화할 수 없지만, 행복과 인간관계 유지에 핵심적 역할
  • 이런 종류의 지능을 정의에서 제외하는 것은 우리 자신에게 해로움. 정작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런 것임

    매끈하고 잘 정의된 문제 해결 능력으로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애쓰고 있다면, 이런 불명확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사람을 만나서 얘기를 들어 볼 것

  • 결론적으로, 지능은 문제 해결의 도구일 뿐, 좋은 삶을 설계하는 능력은 별개의 인간적 역량임

'행복에 큰 영구적 변화를 원한다면 고대 사상가들의 글을 읽는 것이 나을 수 있음'

도덕경 추천합니다. 우리 모두 무위자연 합시다.

행복에 큰 영구적 변화를 원한다면 고대 사상가들의 글을 읽는 것이 나을 수 있음
--> 이 말에 크게 공감합니다.
--> 몇달간 서양철학관련책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 사고방식이 업그레이드된 듯한 느낌이 들면서 , 1:1 대화를 하면서도 제 3자적 입장에서 대화를 조망하는 듯한 느낌도 들고 ,
--> 상대방의 의도가 좀더 확실하게 느껴지고
--> 부작용은 내가 말하는 의도(단어선택,어조의 다름,바디랭귀지의 차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라는 생각이 들면서
--> 내 의도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 그 조그마한 차이, 감정을 읽어내는 사람을 만나면 너무 즐겁습니다.
--> 뇌과학,심리학등의 책을 읽으면서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나를 이해(?) 할수 있습니다.
--> 이제 하루하루가 너무 소중합니다.
--> 할일이 , 하고 싶은 일이 , 해야 할일이 많습니다.
--> 이 즐거운 감정을 공감하면서 증폭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로 평생 행복하게 지내면 정말 유토피아가 따로 없겠네요.

...그럴 수 있는 재력이 있다면,

아 .... 이거였구나... ㅋ

때론 모르는게 약일 때도 있죠...

Hacker News 의견
  •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건 결국 관계, 만족스러운 일, 성취감 같은 것임
    그런데 이런 행복의 원천들이 지능에 의해 얼마나 향상되는지 묻는 게 핵심임
    관계나 일은 꼭 높은 IQ가 필요하지 않음. 성취감은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상대적임
    그래서 “왜 똑똑한 사람이 더 행복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은 “왜 점프를 잘하는 사람이 더 공감적이지 않을까?”와 비슷한 질문임
    지능과 행복은 직접적인 상관이 없고, 물질적 조건을 거쳐 간접적으로 연결될 뿐임
    즉, 지능이 높으면 원하는 결과를 더 잘 만들어내고 → 그 결과가 행복을 낳고 → 환경이 행복을 강화함

    • 누군가 말하길, 행복은 현실에서 기대치를 뺀 값이라고 했음
      똑똑한 사람은 바꿀 수 있는 변수를 더 많이 보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움
      그래서 현실을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착각이 생기고, 기대치가 높아져 행복이 줄어듦
    • 행복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취하는 것’이라면, 지능과 행복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야 함
      하지만 많은 똑똑한 사람은 생각만 하고 실행을 잘 안 함. 결국 행복도, 점프력도 생각만으로는 늘지 않음
      예전에 트위터에서 어떤 연구자가 운동이 삶의 질을 높인다는 걸 논문으로 증명하고도 실제로는 운동을 안 했다는 글을 본 적 있음. 이런 경우가 많음
    • 지능이 높으면 패턴 인식 능력이 좋아지고,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유용한 패턴을 더 잘 찾을 수 있음
      하지만 인생의 대부분은 ‘최적화 문제’가 아니라 모호한 인간적 영역이라, 지능이 높다고 꼭 행복해지는 건 아님
    • 고양이처럼 순간에 머무는 능력이 행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함
      똑똑한 사람은 과거·현재·미래를 동시에 보고, 모든 것의 이면까지 생각하느라 현재에 집중하기 어려움
      결국 행복에는 어느 정도의 선택적 맹목이 필요함
    • 똑똑한 사람은 결과를 더 빨리 내기 때문에 쾌락의 러닝머신이 더 빠르게 돌아감
      하루 만에 끝낼 일을 일주일 걸려야 만족하는 사람보다, 일곱 번 반복해야 같은 만족을 느끼게 됨
  • 아버지가 “똑똑함은 저주”라고 말한 적이 있음
    그는 단순히 맥주 마시며 햇볕 쬐는 동료들과 달리, 도서관을 그리워하고 세상의 복잡한 문제를 보며 무력감을 느꼈음
    나도 가끔 단순하게 사는 사람들을 부러워함. 약간만 더 생각이 빠른 것만으로도 세상이 슬프게 느껴질 때가 많음

  • 나는 열린 사고를 가진 똑똑한 친구 한 명이라도 있으면 좋겠음
    대부분의 똑똑한 사람들은 다른 똑똑한 사람의 말을 복제하는 전략을 택함
    성공적일 수는 있지만, 나는 제1원리적 사고로 대화할 친구를 원함

  • 일정 수준을 넘는 IQ는 오히려 자기파괴적 사고를 낳는다고 생각함
    높은 기대와 과도한 분석이 신경증과 불행을 키움. 사회적 기대치까지 더해지면 당연히 덜 행복해짐

    • 사실 연구에 따르면 IQ는 행복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
      또한 신경증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
      관련 연구: PNAS 논문
    • Bay Area에서는 이런 사람들이 많음. 가짜 문제를 해결하며 승진 경쟁을 함
      결국 끝없는 변화와 자원 낭비로 이어짐
    • IQ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똑똑한 사람은 모든 문제를 이성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음
      감정 문제조차 논리로 풀려다 오히려 상처받음. 마치 허리로 무거운 걸 드는 것처럼
    • 이런 문제는 사회 구조 탓도 큼. 현대 사회는 행복을 최적화하지 않음
      오히려 멀리서 전체를 볼 수 있는 사람일수록 그 구조적 결함을 더 잘 봐서 불행해짐
    • 지능이 높을수록 세상의 문제를 더 많이 인식하게 되고, 그 과잉 인식이 행복을 갉아먹음
  •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과 지능이 크게 다른 사람과 공감하기 어려움
    평균 지능의 사람은 양쪽 극단과 모두 소통이 힘듦. 그래서 지능 분포의 꼬리에 있는 사람은 외로움 속에 살게 됨

    • 마치 어른이 아이들만 있는 세상에 사는 것과 같음
      세상을 더 명확히 보는 능력은 오히려 불행의 원인이 됨
    • 하지만 꼭 그런 건 아님. 우리는 무작위로 사람을 만나지 않음
      관심사나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모이게 됨
    • 결혼 상대는 비슷한 수준이 좋지만, 우정에는 IQ보다 성격과 궁합이 더 중요함
      똑똑한 사람일수록 다양한 환경에서 어울리는 법을 배우지 못한 경우가 많음
  • 세상의 현실을 너무 잘 아는 사람이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듦

  • 지능은 행복과 본질적으로 관련이 없음
    사회는 사람을 가치 추출의 도구로 만들고, ‘충분함’보다 ‘더 많이’를 추구하도록 세뇌함

    • 똑똑한 사람은 이런 구조를 더 잘 인식해 ‘무지의 행복’ 을 잃음
      하지만 행복은 감정 지능에 더 좌우된다고 생각함
    • “모두 행복하길 바라지만, 가진 것에 만족하길 원하지 않는다”는 말이 떠오름
    • 사회는 점점 더 사람들을 서로 분노하게 만드는 데 돈을 씀
      정치인들이 AI로 만든 혐오 광고를 퍼뜨리는 걸 보면, 이런 세상에서 행복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듦
    • 그렇다면 왜 똑똑한 사람은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일을 하지 못하는가? 라는 질문이 남음
    • 지능이 높으면 더 나은 선택을 할 거라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검증이 어려움
  • 몇 가지 생각이 있음

    • 행복은 기본선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음. 단기적으로는 변하지만 결국 원래 수준으로 돌아감
    • 덜 똑똑한 사람은 자신의 행복을 과대평가할 수도 있음
    • 지능과 지혜는 다름. 지능은 좋은 모델을 만들지만, 지혜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좋은 결정을 내림
    • 행복의 레버는 IQ와 무관함. 예를 들어 사회적 관계는 IQ로 해결되지 않음
    • 오히려 지능이 높으면 사회적 연결이 늦게 형성되어 외로움을 겪을 수 있음
      나도 아이에게 “친구들이 자라면 네가 더 행복해질 거야”라고 말한 적 있음
    • HN에서도 “드디어 내 부족을 찾았다”는 느낌을 주는 사람들이 있음
    • 기차에서 코딩하던 사람을 만나 같은 이야기를 나눈 적 있음
    • 행복은 훈련으로 충분히 향상 가능하다고 믿는 사람도 있음
    • 하지만 어떤 사람은 “코로나 이후로 내 행복의 기준선이 바뀌었다”고 말함. 외상 경험이 기준선을 이동시킬 수도 있음
  • Daniel Keyes의 『Flowers for Algernon』에서 인용한 문장이 인상 깊음
    “지능은 위대한 선물이지만, 사랑을 주고받는 능력이 없으면 정신적 붕괴로 이어진다”는 내용임

    • 하지만 어떤 사람은 “그 문장에서 지능을 빼도 의미는 같다”고 말함
      결국 핵심은 애정의 결핍이지, 지능의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임
  • “다른 사람들은 너무 멍청해서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음
    주변의 비효율과 오해를 계속 보게 되니, 그들의 어리석음이 자신을 장애처럼 느끼게 만든다고 함

    • 이에 대해 “그건 인간혐오에 가깝다”고 반박하는 사람도 있음
      정말 똑똑하다면 왜 멍청한 사람들 속에 머무는가?
    • 또 다른 사람은 이런 태도는 나르시시즘의 징후라고 말함
      자신이 항상 더 똑똑하다고 믿는 건 자아 방어일 뿐이며, 실제로는 누구나 어떤 영역에서는 더 뛰어나고 어떤 영역에서는 부족함
      특히 기술 업계에서 이런 태도를 자주 봄
      자신이 수학에 강하다고 해서 세상 모든 걸 잘 안다고 착각하기 쉬움
      결국 비판은 쉽고, 자기 무지는 보기 어렵다는 교훈을 얻음
    • 어떤 사람은 “내 인생이 딱 그랬다. 다만 초기 Facebook, Reddit, AWS에서 일할 때만 예외였다”고 회상함
    • 또 다른 사람은 “혹시 네가 불행한 이유는 남의 결점만 보는 습관 때문이 아닐까?”라며 성경 구절을 인용함
      “남의 눈 속 티를 보기 전에 네 눈 속 들보를 보라”는 말처럼, 시선을 자신에게 돌려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