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etScale, 월 5달러 데이터베이스 제공
(planetscale.com)- PlanetScale이 단일 노드(Postgres) 구성의 새로운 요금제 ‘PS-5’ 를 도입해 월 5달러에 제공
- 기존 최소 구성이 3노드, 멀티 AZ, 고가용성(HA) 형태로 월 30달러였던 점에서 접근성 향상
- 새 단일 노드 모드는 개발·테스트·비핵심 워크로드에 적합하며, 복제 없이 수직 확장 가능
- 제공 노드 클래스는 PS-5, PS-10(arm/intel) 등으로, HA 여부와 아키텍처에 따라 가격 차등
- 초기 단계 스타트업이 저비용으로 시작해 무중단 확장 가능한 구조로, 성장 대비 효율성 강화
새로운 단일 노드 요금제 도입
- PlanetScale은 기존 3노드 고가용성(HA) 구성을 유지하던 엔트리 레벨을 보완해, 단일 노드 비HA 모드를 출시 예정
- 기존 3노드 구성은 월 30달러로 제공되었으며, 고성능과 안정성을 강조
- 그러나 일부 사용자는 초기 단계에서 HA가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
- 새로 도입되는 ‘PS-5’ 노드 타입은 월 5달러로, PlanetScale Postgres에서 단일 노드 형태로 운영
- 개발, 테스트, 비핵심 워크로드에 적합
- 복제 노드 추가 없이 수직 확장(vertical scaling) 가능
- 내구성(durability)을 유지하면서 비용 절감 가능
가격 구조
- PlanetScale은 새로운 단일 노드 요금제를 포함한 업데이트된 스타터 가격표를 공개
- PS-5 (arm 및 intel): 단일 노드, 월 5달러
- PS-10 (arm): 단일 노드, 월 10달러
- PS-10 (intel): 단일 노드, 월 13달러
- PS-10 (arm): HA(3노드), 월 30달러
- PS-10 (intel): HA(3노드), 월 39달러
- 단일 노드 출시 알림을 위한 사전 등록 링크 제공
스타트업을 위한 확장 전략
- PlanetScale은 스타트업의 빠른 성장과 데이터베이스 병목 문제를 언급
- 많은 스타트업이 급격한 트래픽 증가로 인해 긴급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 발생
- 이러한 과정은 운영 중단 위험과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
- 새로운 저가 요금제를 통해 초기부터 PlanetScale을 사용하고, 성장에 따라 무중단 확장(hyper scale) 가능
-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변경이나 복잡한 마이그레이션 과정 없이 확장 가능
품질과 접근성의 균형
- PlanetScale은 자사 서비스가 품질, 성능, 신뢰성으로 알려져 있다고 강조
- 이번 단일 노드 요금제는 동일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춘 구조
- 고가용성이 필요 없는 사용자에게 비용 효율적 선택지 제공
향후 계획
- 단일 노드 모드는 향후 몇 달 내 단계적 출시 예정
- PlanetScale은 개발자와 빌더들이 초기 단계부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목표로 함
- 원문에 추가 일정이나 기술 세부사항은 언급 없음
Hacker News 의견
-
PlanetScale을 정말 좋아하고 싶었지만, 무료 요금제 변경이 아직도 마음에 남아 있음
예전에 주니어 개발자들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작은 취미 프로젝트를 PlanetScale 위에서 운영했는데, 전환 작업이 너무 커서 결국 프로젝트를 접었음
CEO가 여기서 그 결정을 완벽히 수행했다고 변호하는 태도를 보니 더 마음이 불편해짐- 나도 비슷한 생각임. 사실 어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제공자든 왜 써야 하는지 의문임
데이터를 제3자에게 맡기고 의존하게 되는 구조라서, 대부분은 로컬 백업도 없고 제공자의 백업에만 의존함
그래서 결국 AWS나 Azure 같은 대형 브랜드를 선택하는 이유가 생기는 것 같음 - 서버 하나 사서 지하실에 두면 되지, 여기서 불평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 나도 비슷한 생각임. 사실 어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제공자든 왜 써야 하는지 의문임
-
예전에 PlanetScale이 무료 플랜을 없애고, 좋은 사람들을 해고하고, 웹사이트를 화려한 메모장 스타일로 바꿨던 거 기억남
- 맞음, 하지만 그 덕분에 지금은 실제로 수익이 나는 기술 회사가 되었음. 요즘 그런 회사는 드물음
- 다른 회사들도 무료 제공을 줄이거나 인력 감축을 한 적이 많음. 특별한 일은 아님
- 그 시절을 기억함. 모두에게 힘든 시기였음. 떠난 동료들이 그립지만, 지금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하는 회사에서 일하고 있음
고객들을 사랑하고, 가짜 성장 대신 진짜 성장을 추구하는 회사로 사람들이 응원해줄 거라 믿음
솔직히 누가 뭐라 하든 신경 안 씀
-
2년 전 무료 플랜을 없앤 일에 이렇게 많은 댓글이 달린 게 놀라움
세상에 공짜는 없고, 무료 서비스는 결국 일시적이거나 사용자가 제품이 되는 구조임- 문제는 그걸 “Free forever”라고 홍보했다는 점임. 교훈을 얻었음
- 나도 Cloudflare Free나 Oracle Always Free 서비스를 쓰지만, 그들이 나에게 의무를 져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음
Gmail, YouTube 같은 서비스가 너무 오래 무료로 유지돼서 사람들의 기대치가 왜곡된 것 같음 - PlanetScale이 유튜브 등에서 대대적으로 홍보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영원히 무료’라고 믿었을 것임
지금은 테스트조차 못 하게 된 게 아쉬움 - 그래도 이런 사례를 지적하는 건 중요함
- 유지할 수 없다면 아예 무료 플랜을 제공하지 말았어야 함
Neon, Koyeb, Supabase 같은 곳은 여전히 무료 플랜을 제공함
오픈소스에서 상용화로 전환하는 것도 비슷한 문제라고 생각함
-
PlanetScale에 Developer Educator 포지션이 열렸던데, Aaron Francis에게 알려준 사람 있나 궁금함
- 사람들이 이미 나에게 보냈음. 지금은 독립적으로 활동 중임
해고 결정에 동의했고, 미국에서는 고용이 상호 자유 계약이라는 걸 알고 있었음
물론 아팠지만, CEO Sam이 직접 연락해줘서 좋은 관계로 남아 있음
지금은 잘 지내고 있고, 팟캐스트도 하고 있음
Sam과 함께한 에피소드 PlanetScale Postgres with CEO Sam Lambert도 들어보길 추천함 - 지금은 예전 직장으로 돌아가는 게 우선순위는 아닐 듯함
- 그가 해고된 줄 몰랐음. 예전 영상들을 정말 좋아했는데, 그가 PlanetScale을 알게 된 이유였음
예전 영상은 평균 5만 회 이상 조회됐는데, 최근 영상은 1천 회도 안 됨 - 그렇게 진정성 있는 개발자 전도사를 해고했다는 게 상상도 안 됨
- 사람들이 이미 나에게 보냈음. 지금은 독립적으로 활동 중임
-
왜 다른 제공자들은 PlanetScale이 쓰는 metal SSD 동기 복제 기술을 안 쓰는지 궁금함
NVMe over Fabrics(NVMe/TCP)와 SPDK를 이용한 Xata의 시도도 있었지만, PlanetScale이 그 방법론의 결함을 지적했음
관련 글: Xata의 벤치마크 반응, PlanetScale의 반박- 구현이 매우 어려움. 다들 하고 싶어 하지만 못 해서, 대신 마케팅팀이 이유를 포장하는 상황임
- 왜 로컬 NVMe 디스크가 클라우드 표준이 되지 않았는지 의문임
Aiven은 2017년부터 PostgreSQL 서비스에 로컬 NVMe 디스크를 제공했음
(관련 블로그)
PlanetScale이 Metal을 내세우기 전까지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음
-
나도 예전에 PlanetScale 무료 플랜으로 시작했는데, 이후 $40로 바뀌었고 작년에 또 가격이 올랐음
결국 사용자 유입 후 가격 인상이 그들의 전략 같음 -
무료 플랜이 사라진 후, $30짜리 요금제로는 POC나 MVP를 시도하기 어려워졌음
필요 이상의 하드웨어를 강제로 쓰는 느낌이었음 -
저예산 테스트 환경용으로 DEV tier PostgreSQL이 필요했는데, 이번 오퍼링은 꽤 흥미로움
- 참고로 나는 Neon을 써봤는데 잘 작동했음. 단, 아무 관련은 없음. 그냥 예산이 적을 뿐임
-
재밌게도 절반은 무료 플랜이 없다고 불평하고, 나머지 절반은 $5 플랜이 너무 싸서 유지가 안 된다고 불평함
- 마치 정치 현실 같음. “무료면 내가 제품이다”라는 말을 다들 알지만, 여전히 공짜를 원함
-
Databricks Neon의 Postgres 무료 플랜은 서버리스 구조 덕분에 가능함
저장소와 컴퓨팅을 분리해, 유휴 상태일 때 자동으로 컴퓨팅을 0으로 스케일함
Neon 공식 사이트- 하지만 잦은 장애와 다운타임으로 악명이 높음. 중요한 서비스에는 비추천임
- “컴퓨팅을 0으로 스케일한다”는 말이 정말 그대로 0으로 내려간다는 뜻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