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토타입과 프로덕트 코드의 차이
- 프로토타입 개발은 빠른 결과 도출(10배 빠름)에 집중하고, 프로덕트 코드는 확장성과 안정성·디버깅까지 고려해야 한다
2. 개인 생산성 및 습관
- 할 일은 구체적 단일 행동으로 정의해야 재확인 없이 실행 가능
- 대기 목록 관리로 요청 작업 현황을 명확히 기록·추적
- 아젠다 관리로 비효율 소통 방지, 사안은 한 번에 처리
- 최우선 목표를 아침, 두뇌가 최적일 때 실행
- 반복 전달 정보는 문서화로 자동화
- 감사함은 긍정적 에너지와 문제 해결력을 높임
- 감사 인사에는 ‘감사합니다’로만 응답
- 에너지 관리가 최고의 성과 지름길
3. 조직 운영 습관
- 팀 동의와 몰입 확보가 리더십의 핵심
- 명확함과 단호함이 겸손보다 더 중요
- 의견 모으기 전 리더 자기 의사 노출 금지, 모두 개별/동시 작성 권장
- 합의(Consensus)는 구체적·명확하게 문서화, DRI(책임자)와 마감일 포함
- 리더의 투명한 정보 공유가 신뢰 핵심
- 의식적 리더십은 옳은 답 고집보다 배움과 감정 인식, 호기심에서 비롯
- 진정한 경청은 요약 반복(상대가 “맞아요” 할 때까지), 의사소통의 핵심
4. 인프라와 프로세스
- "모든 것"을 문서화하고 위키로 공유해 신속한 온보딩 실현
- 책임영역(AOR) 지정으로 ‘공유의 비극’ 방지
- 단일 실패 지점 방지 위해 프로세스 문서화·부담당자 지정
5. 협업과 책임
- PM은 최종 사용자 관점·가치 중심 문서화로 개발팀 공감 유도
- 조직은 ‘책임감-코칭-투명성’이 필수
- 책임감: 비전, 실행, 성과(OKRs/KPIs) 명확화
- 코칭: 현상 점검, 개선책 제시
- 투명성: 잘하는 점과 개선점을 명확 피드백
6. OKR
- "목표"는 방향(감동주는 한 문장), "핵심 결과"는 측정지표로 구체화 필요
7. 마케팅/제품
- 시장 진입은 4단계: 문제 이해, 경쟁 분석, 제품 개발, 전술적 마케팅
- 고객이 기존보다 10배 나은 솔루션이라고 체감할 때만 변화가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