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공화국 선언 — 기술, 인간, 그리고 리더십의 재구성

  1. 소프트웨어 시대의 본질

    • 기술 혁신의 뿌리는 ‘소비자용 앱’이 아니라 국가적·산업적 문제를 해결하던 과학자들의 정신이었음.
    • 창의성이나 진정성 집착은 때로 인간 중심적 우월주의로 흐를 수 있음.
    • “무엇을 만들 수 있는가”보다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가” 를 회피하는 태도가 기술 산업의 가장 큰 위험 요소.
  2. 미국 정신의 공동화

    • 익명성과 안전한 우회로에 익숙해진 세대는 진정한 책임과 신념의 대가를 회피함.
    • 실수나 불편함을 피하려는 문화가 사고의 깊이를 약화시키고,
      도덕적 확신이 과도해질수록 건전한 비판과 대화 능력은 줄어듦.
    • 리더에게 권한은 주되, 권력을 자기보호에 쓰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
  3. 엔지니어링 사고방식의 힘

    • 스타트업의 이상은 ‘벌떼’처럼 유연한 공동체.
      중앙집중 대신 자율적 협업과 즉흥적 실험이 성장의 핵심.
    • 소프트웨어 개발은 “이론”이 아닌 관찰과 실험 기반의 예술적 과학임.
    • 진정한 혁신은 심리적 회복탄력성남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는 집중력에서 온다.
    • 조직의 위계적 구조는 문제 제기와 도전의 자유를 막으며,
      가장 유능한 이들이 실패를 숨기지 않고 드러낼 수 있는 문화가 혁신의 토대임.
  4. 기술공화국의 재건

    • 진보는 모든 의견을 수용하는 게 아니라, 특정 목표와 신념을 위해 싸우는 자세에서 나온다.
    • 엔지니어링 문화의 핵심은 판단을 유보하고,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는 태도.
    • 미래는 도덕적 선민의식이 아닌,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하는 기술인들의 것.
  5. 핵심 메시지

    • 기술공화국은 ‘기술이 인간을 대체하는 사회’가 아니라, 기술과 인간이 함께 책임을 나누고 실험하며 진보하는 사회를 뜻한다.
    • 실리콘밸리의 교훈은 천재들을 모으는 게 아니라, 그들이 자유롭게 실패하고 성장할 공간을 허락하는 문화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