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와 정보 피드 통제의 찬미
(blog.burkert.me)- 인터넷 콘텐츠 소비가 폐쇄형 플랫폼과 블랙박스 피드 알고리듬에 의해 점점 좌우되는 추세임
- 이러한 환경에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가 사용자의 정보 선택 권한을 지키는 훌륭한 대안임
- RSS는 사용자가 직접 피드 관리와 선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알고리듬 기반 피드의 문제를 벗어날 수 있음
- RSS 리더를 활용하면 광고·제안 글 등 산만함 없이 다양한 관심사별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분류·소비할 수 있음
- RSS 도입과 활용에 도움이 되는 팁과 서비스도 풍부하게 존재해 손쉽게 시작할 수 있음
인터넷 콘텐츠 소비의 변화와 문제
- 최근 인터넷에서 콘텐츠 소비 방식은 점점 더 폐쇄형 플랫폼과 알고리듬 기반 피드 중심으로 변화함
-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정보보다는 참여 유도와 광고 노출 최적화에 초점을 맞추게 됨
- 그 결과,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낚시형 콘텐츠와 정보 혼란을 겪게 됨
-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알고리듬, 소셜미디어 등장 이전부터 해결 방안이 존재했음
- RSS는 웹사이트가 표준 피드 형태로 업데이트를 제공하게 해주는 심플한 포맷임
RSS의 장점과 본질
- RSS는 사용자가 직접 구독 피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받아볼 수 있도록 해 줌
- 최신 콘텐츠를 역순(최신순) 으로 받아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소스만 엄선할 수 있음
- 팟캐스트 분야 등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콘텐츠 사이트가 기본적으로 RSS 피드 지원 중임
- 알고리듬 없이 직접 정보량과 종류를 통제하므로 불필요한 콘텐츠의 노출 가능성이 적음
- Reader, FeedMe 같은 RSS 앱을 사용해 스마트폰에서 간편하게 활용 가능함
알고리듬 기반 피드의 한계
- 본문 내 개인 경험처럼, Facebook과 같은 소셜미디어는 장기적으로 유의미 정보 전달에 어려움이 많음
- 게시글 도배, 알고리듬 우선순위 문제 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중요한 정보만 볼 방법이 적음
- 광고주와 플랫폼의 수익 창출 욕구가 사용자의 정보 탐색보다 우선하게 됨
- 결국, 알고리듬의 유동적 기준이 사용자 개인의 필요를 완전히 충족시키기 어려움
- 자극적이고 혼란스러운 피드 설계로 인해 정보 소비 경험의 질이 크게 낮아짐
RSS 활용의 실제 이점
- 사용자는 RSS 피드를 폴더별로 나누어 관심 분야별 정보 소비가 가능함
- 예시: “Fun” 폴더로 The Oatmeal, xkcd 등 유머 콘텐츠만, “Reads” 폴더로 긴 글만, arXiv로 AI 논문만 구독 가능함
- 일관된 UI/UX를 제공하여, 광고·추천 글 등 주의 산만 요인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음
- 필요하다면 원문 사이트에서 댓글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나, RSS 독립적 환경에서는 불필요한 시간 낭비 방지 가능함
- 브라우저 리더 모드와 달리, RSS 리더는 항상 동일한 폰트와 레이아웃으로 쾌적한 정보 읽기 환경 제공함
RSS 입문 및 활용 팁
- 자주 방문하거나 뉴스레터 구독 중인 웹사이트의 상당수가 RSS 피드 제공 중임
- RSS 아이콘, feed 단어, Lighthouse 등 피드 찾기 도구로 손쉽게 발견 가능함
- Muspy와 같이 아티스트 신보를 RSS 또는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 존재함
- The Old Reader나 Feedly 등 초보자 친화적 서비스부터 이용 권장, OPML 포맷 지원으로 언제든 서비스 이전 자유로움
- 피드가 많아지면 폴더/카테고리로 구분해 관심사별로 관리하면 효율적임
-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새 콘텐츠 자동 다운로드로 비행기 등에서 끊김 없는 읽기 경험 가능함
- 일부 사이트는 RSS 내 무료 기사 접근이 더 자유로울 수 있으나, 윤리적 차원 고려 필요함
- 직접 구축 희망자는 FreshRSS, tiny tiny RSS, selfoss 등의 셀프 호스팅 오픈소스 솔루션 사용 가능함
- 자신에게 맞는 모바일 앱을 몇 개 시도해 보고 고르기 권장
- RSS 리더의 북마크/별표 기능도 적극 활용 가능함
- 주요 미디어는 카테고리별 별도 피드 제공하므로 관심 분야만 선택 구독 추천
- RSS API로 특정 주제만 받아볼 수 있음. 예: arXiv의 쿼리형 RSS API로 ‘LLM’ 및 ‘multilingual’ 논문 필터링 가능
- 정기적으로 구독 해지 및 정돈을 통해 관심 없는 피드를 정리하면 주의력 낭비 방지 가능함
- 시작이 어렵다면 인기 RSS 피드 목록을 리스트로 참고하거나, 구글 검색과 블로그 추천 링크로 확장 가능함
결론
- RSS는 개방형 표준과 사용자 통제성에 근거한 정보 소비의 귀중한 대안임
- 광고, 낚시글, 알고리듬 혼란에서 벗어나 집중된 정보 환경 제공함
- 사용자의 디지털 정보 다이어트와 주의력 보호에 효과적임
- 초보자부터 고급 사용자까지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방법과 도구 활용 가능함
- 작은 변화로 더 나은 인터넷 정보 소비 경로를 만들 수 있음
참고 자료
- Molly White의 “Curate your own newspaper with RSS”
- RSS 피드 찾기: Lighthouse, 인기 RSS 피드 목록
- 셀프 호스팅 RSS 리더: FreshRSS, tiny tiny RSS, selfoss, 기타 대안
- 맞춤형 RSS API 예시: arXiv 쿼리
Happy RSS-ing!
Hacker News 의견
- 나는 RSS를 정말 좋아함. 최근 itch.io에서 앱을 샀는데, 개발자 로그 페이지에서 신기하게도 RSS를 지원해서 너무 반가웠음. 이런 일이 있을 때가 늘 행복함.
RSS가 내게 맞기 시작한 시점은 다음과 같음:
-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를 그만두기로 해서, RSS 없이는 내가 진짜 관심 있는 소식을 놓치게 되었음
- 모든 뉴스 사이트 구독을 해지했음. RSS 피로감이라는 게 있음. 게시물을 많이 올릴수록 돈 버는 사이트는 구독하지 않는 것이 좋음. 예전에 Phoronix, HN 인기 기사, OSNews, LWN 등도 구독했는데, 아침에 미확인 게시물이 50개 쌓이는 건 최악임. 지금은 주로 개인 블로그만 팔로우해서 하루에 하나씩 새 글만 읽으면 충분함. 정보 품질도 높고 훨씬 관리하기 쉬워짐
-
fetchrss.com 덕분에 RSS 미지원 사이트도 RSS 피드로 변환할 수 있음. 무료 플랜만으로도 내 용도에 충분함
Feedbin에 유료로 결제해서 사용 중인데 아주 만족함
Firefox가 예전처럼 RSS 피드 아이콘을 직접 표시해주면 좋겠음. 요즘은 "view-source"로 소스코드에서 feed, atom, rss라는 단어를 찾아야 해서 불편함
-
Feed Preview 익스텐션을 사용해보길 추천함
-
두 번째 팁이 매우 좋은 것 같음. 피드 리더로 '게시 빈도'별로 분리하려고 했는데 제대로 시도해보진 않았음. 여전히 뭔가 어색하게 느껴졌음
그리고 HN 피드가 뭔지 사실 잘 모르겠음. FAQ 등에서 찾아봤지만 설명이 제대로 없음. 문구는 그럴싸해도 대상이 정확히 뭔지 모르겠음. 모든 제출 글인지, 인기글만인지, 혹은 특정 시간 이상 유지된 글만인지, 아니면 최소 몇 포인트 이상 받은 건지 전혀 감이 안 옴 -
lenns.io를 꼭 써보길 추천함(살짝 홍보임). 소스 우선순위, 소스별 아이템 수, 카테고리 우선순위 등을 직접 조절할 수 있음. 원하는 만큼만 받아볼 수 있어서 피로감 없이 딱 맞는 경험을 제공함
내가 직접 만들었지만, 누구나 써볼 수 있게 열려있음 -
두 번째 팁이 진짜 중요함. 나도 몇 년간 RSS를 썼는데 모든 걸 다 읽으려다 보니까 스트레스가 심해져서 그만두기도 했음
다시 시작할 때 내 나름의 규칙을 세움: 모든 피드는 일주일에 한 번만 새로고침함, 너무 많은 기사를 생성하는 뉴스 피드는 일주일마다 한 번씩 전부 비움(지난 한 주치 기사만 남김)
나는 RSS 피드를 마치 오래전 주간 잡지처럼 생각함. 뭔가 놓칠까 걱정하는 FOMO 해결에도 효과적이고, 새로 올라오자마자 읽어야 한다는 부담도 없음 -
hnrss.github.io를 통해 포인트 기준 또는 기타 필터로 HN 피드를 구독할 수 있음
요즘은 대부분의 피드 서비스나 앱이 웹페이지 URL만 붙여넣어도 자동으로 RSS 피드를 인식해줌. 이 기능 없으면 불편함 -
다시 RSS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된 계기는, 구독하던 사이트 하나하나를 돌아보면서 다음 기준으로 정리함:
- 하루에 한 번 이상 포스팅하는 곳은 정리함. 다른 사람의 연합정보 말고 생각이 담긴 글이 좋음
- 최근 몇 년사이에 글이 없던 블로그는 구독 해지함. 일부는 워낙 드물게 쓰긴 해도, 5년 이상 방치된 곳은 거의 돌아올 가능성이 낮음
- 블로그 전반적인 분위기가 너무 부정적이면 구독하지 않음
그런 다음에 요즘 다른 플랫폼에서 활발히 글을 쓰는 분들의 새 블로그를 구독했음. 덕분에 RSS 리더를 오랜만에 정말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었음
두 번째 기준과 관련해서는, 예전 인기 블로그가 도박 사이트 스팸으로 피드를 점령하는 모습을 보면 진짜 슬퍼지는데, 그런 일 벌어지기 전에 미리 정리하는 게 좋음
-
내 피드 중에는 국가별 Reuters나 AP 같은 바쁜 피드 두 개가 있는데, 이건 별도 폴더로 분리해서 필요하다면 메인 피드에서 제외할 수 있음. 너무 자주 올라오는 소식은 감당이 힘들고, 항상 밀린 느낌이 들어 스트레스임
-
몇 년동안 글이 없던 곳을 굳이 구독 해지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음. 오랜 기간 비활성 피드를 구독해도 내게 별로 불편함이 없는데, 해지하면 어떤 점이 나아지는지 궁금함
-
많은 사람들이 뉴스 소비시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불평하는데, 문제는 뉴스를 제공하는 소스 자체가 아니라 진짜 괜찮은 RSS 앱이 부족하다는 점임
좋은 RSS 앱이라면 강력한 검색 기능과 태그, 북마크, 점수화, 카테고리, 나중에 읽기 등 다양한 도구가 있어야 함
뉴스 소스를 굳이 없앨 필요 없이, 필터나 검색 도구만 잘 쓰면 원하는 정보만 볼 수 있음
이상적인 RSS 리더라면 Cloudflare나 기타 쓸데없는 보호 장치도 우회해서 RSS 기능이 깨지지 않아야 함
안타깝게도 요즘 모바일 RSS 앱들은 이런 부분이 많이 부족함. 모바일이 대세인 만큼 아쉬움
정말 유용한 걸 쓰려면 직접 호스팅해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은 그 정도까지 하려고 하진 않음
나는 개인적으로 RSS 리더를 직접 운영하고, 클라이언트도 직접 만들었음. KaraKeep(구 Hoarder)라는 걸 몰랐을 때 만든 거지만, 지금은 너무 익숙하고 유연해서 계속 사용함
참고할 만한 링크들 소개함:
Django-link-archive - 내 프로젝트
ALL-about-RSS
rssisawesome.com
rssgizmos.com
awesome-rss-feeds-
Inoreader를 사용하면 중복된 게시물이 자동으로 제거되어 정말 편리함(구글 알림 RSS 피드 등에 유용함). 피드 필터링이 가능해서 읽기 자료가 덜 투박해짐
-
이상하게도 블로그/포럼/RSS 리더처럼 현대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들이 Usenet 뉴스 리더에서 30년 전에 있었던 기능도 잘 못 따라가는 것 같음. 스레딩, 검색, 점수화, 저장 등 심지어 그런 옛날에도 다들 쓰던 기능임. 요즘은 왜 이런 부분에 대한 수요가 적은지 궁금함
-
진짜 파워유저를 위한 RSS 검색 및 필터링 기능이 부족한 점에 동의함.
예전에 Bleve 인덱싱을 활용해서 키워드 가중치로 각 아티클을 점수화하는 실험을 했었는데, 시간이 없어서 진척을 못 보고 있음. 네가 공유한 링크를 살펴볼 계획임
-
-
Facebook에서 참여도를 높이려 무분별하게 하루에도 여러 번 포스팅하는 밴드들이 많아졌다는 글에, 나는 원인이 반대라고 생각함. 시간순 피드(chronological feed), 즉 RSS처럼 시간순 정렬은 스팸성 포스팅을 유도함. 더 많이 노출되려면 많이 올려야 하니 양의 경쟁이 되고, 그래서 Facebook 등은 알고리즘 피드를 도입한 것임. 시간 기준을 없애면 품질 위주로 경쟁이 진행됨
알고리즘 큐레이션에 대해 팔리는 이야기는 개개인 취향에 최적화된다는 것인데, 그건 광고주 이익이 끼어들기 전까지의 얘기임
핵심은 큐레이션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누가' 선정하느냐가 문제임. 피드 알고리즘 자체는 실제 문제를 해결해 주기도 함
그래서 단순히 다시 RSS로 돌아가는 것이 답은 아니라고 생각함
내 생각에는 사용자별로 개인 목적에 맞게 최적화된 "algorithm as a service"가 미래라고 봄-
RSS는 그저 프로토콜일 뿐임. 원하는 어떤 알고리즘이든 커스텀 RSS 리더로 구현할 수 있음.
요즘 AI 붐에 힘입어 'RSS + AI 알고리즘으로 만드는 탈중앙화 트위터' 같은 아이디어가 없는 게 오히려 이상하다고 생각함 -
내가 쓴 사람이자, 이 부분에 대해 의견 다름
"시간순 피드는 스팸을 유도한다"는 말엔 동의하지 않음. 스팸을 올리는 사람이 있으면, 내가 바로 구독 취소함. 시간순이든 알고리즘이든 마찬가지임
"algorithm as a service"는 정말 흥미로운 아이디어임. 일부 RSS 집계 SaaS가 이런 기능을 시도하고 있는데, 직접 호스팅하는 오픈소스 서비스엔 잘 없는 거 같음 -
모든 게 주관적임
X만큼 관심을 소비하면 Y만큼 가치가 생산된다고 딱 잘라 말할 수 없음
알고리즘이 중요하다는 얘기는 점성술이 중요하다는 얘기랑 비슷함
실제로 생성되는 정보들은 대부분은 엔터테인먼트 또는 플라시보임
인간의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치는 매우 제한적임
사람들이 스스로 그 한계를 인지하지 못해서, 생산자도 소비자도 실제 한도를 넘어서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정보 가치'에 대한 환상을 가짐
UN의 Attention Economy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된 정보의 0.05%만 실제로 소비됨(10~15년 전 연구임) -
miniflux에 정렬 알고리즘을 패치해서 자주 올리는 채널에 덜 편향되도록 함. 내 경험은 그 결과가 훨씬 나았음(물론 내 패치가 모두에게 맞는 건 아님)
신기하게도 RSS 리더들은 이런 정렬 방식에 대해 경쟁하지도 않고, 기능적으로도 융통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음
소셜미디어는 '참여'를 목표로 하는데, 이건 좋은 목표가 아님. 심지어 단순한 시간순 정렬만 해도 지금 방식보다는 낫음 -
알고리즘을 서비스화해서 사용자별로 튜닝하는 생각을 2017년쯤 LinkedIn 피드에서 신호대잡음 비율 문제로 고민했었음
내 아이디어는 알고리즘 마켓플레이스 같은 곳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임
예를 들어,
"광고/정보성 비중을 파악해서 70% 에디토리얼, 30% 광고이면, 광고 성분 25% 이하만 보여준다"
혹은
"이번 달에 거의 같은 내용이 25번 들어오면, 알아서 걸러서 보여준다"
관련 포스팅
-
-
내 오픈소스 개인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싶음
동적 웹사이트를 RSS 피드로 변환해 줌
완전 무상태 방식의 셀프호스트임
https://github.com/Egor3f/rssalchemy
현재는 적극적으로 개발 중이지 않지만 풀리퀘가 오면 리뷰는 계속할 예정임. 버려진 프로젝트는 아님
데모 페이지는 접혀있지만 반응이 있으면 다시 올릴 계획임 -
kill-the-newsletter.com도 추천함. 이메일 뉴스레터를 RSS로 변환해주는 서비스임
- 나는 직접 사용하진 않지만 평판이 좋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음. 언급해줘서 고마움
-
RSS의 핵심은 큐레이션임. 그렇지 않으면 '내가 컨트롤하는 피드'라는 개념이 무너짐. FOMO(놓칠까 불안함) 때문에 너무 시끄러운 소스를 추가하다 보면, 진짜 중요한 피드가 묻히게 됨.
내 경우 HN, Slashdot 정도만 구독하면 적당하지만, 호기심에 "The Verge | All posts"까지 추가했더니 자꾸 "모두 읽음"만 누르게 됨
이건 사이트 문제라기보다 '내 전략 부재' 문제임- FreshRSS에는 새로운 글을 받아오면 즉시 읽은 상태로 처리하는 기능이 있음. 처음엔 좀 의아했는데, 실제로 써보니 매우 유용함
진짜 읽고 싶은 개별 블로그와 그냥 많은 자료가 쏟아지는 소식을 분리할 수 있음(HN, Slashdot 같은 정보 폭탄형 피드를 내가 원할 때만 골라 볼 수 있음)
읽지 않은 글 카운터가 자꾸 쌓이는 부담도 없음
- FreshRSS에는 새로운 글을 받아오면 즉시 읽은 상태로 처리하는 기능이 있음. 처음엔 좀 의아했는데, 실제로 써보니 매우 유용함
-
Hetzner VM에서 Docker로 FreshRSS를 직접 호스팅하고 있음. 속도 빠르고 인터페이스 깔끔, 내가 필요한 모든 기능이 있음
FreshRSS 공식 페이지-
verpex host에서 월 5달러짜리 리셀러 플랜을 샀음. 무제한 도메인과 대역폭, WHM, cPanel, FTP, SSH 등 모두 가능
softaculous로 FreshRSS 설치하는 데 1분도 안 걸림 -
나는 안 읽은 글이 쌓이는 게 싫어서 직접 리더를 만들었음. 최근 X일 이내에 올라온 글만 보여줌
덕분에 영속 저장소가 필요 없어서, 호스팅이 매우 쉬움. 관심 있다면 여기 바로 확인 -
굳이 전체 리더를 호스팅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궁금함. 단순한 로컬 앱 이상 뭔가 목적이 있는 것인지 궁금함
-
FreshRSS 정말 훌륭함
-
-
저렴한 LLM을 RSS 피드에 연결해서 개인화 알고리즘을 만드는 사람이 있는지 궁금함. 이런 오픈소스 프로젝트 있다면 정말 유용할 것 같음
- 아직 개인화까진 아니지만 자동 분류는 적용 중임:
https://outerweb.org/explore
LLM이 현재 기사 분류에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는 선호 채널 목록을 토대로 추천 기능도 추가할 계획임
- 아직 개인화까진 아니지만 자동 분류는 적용 중임:
-
RSS를 너무 좋아해서 내가 불편했던 점(피드 탐색, 팟캐스트, 정보 과부하 등)을 개선하는 RSS 리더를 직접 만들기 시작함
내가 만든 RSS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