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 법무부 압력으로 ICE 추적 앱 삭제
(foxbusiness.com)- Apple은 법무부의 요청으로 ICEBlock 등 ICE 추적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함
- 법무부는 이 앱이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강조함
- 최근 텍사스 달라스 ICE 사무소 총격 사건 이후 관련 논란이 더욱 커짐
- Apple은 “앱스토어의 안전성”을 이유로 유사 앱 전체를 삭제함
- ICEBlock 개발자는 Apple의 대응에 “심각한 실망”을 표명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함
Apple의 ICE 추적 앱 삭제 배경
- 미국 북텍사스 지역 연방검사 대행 Nancy Larson이 ICE 추적 앱이 야기하는 위험에 대해 언급함
- 법무부는 Attorney General Pam Bondi의 지시로 Apple에 ICEBlock 등 앱 삭제를 요청함
- ICEBlock은 사용자가 ICE 요원이 출몰한 위치를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게 해주는 앱임
- 트럼프 행정부는 이 앱이 이민 단속 요원을 위험에 빠뜨리고 불법 이민자 보호에 악용된다고 주장함
- Bondi는 Fox News에 “ICEBlock은 단순히 요원을 위험하게 만든다”라고 강조함
- “법 집행관을 겨냥한 폭력은 용납될 수 없다”며 강경 대응 입장 표명함
사건의 심화와 사회적 파장
- 최근 텍사스 달라스 ICE 사무소 총격 사건이 논란을 키움
- 용의자인 Joshua Jahn은 총격 직전 휴대폰에서 ICEBlock 등 추적 앱을 검색함
- Jahn은 ICE 요원을 겨냥해 총격, 둘 중 한 명의 구금자가 사망, 두 명 중상
- 해당 요원이 실제 표적이었으며, 이민자들은 주요 대상이 아니었음
- 이번 사건은 ICE 요원에 대한 폭력 사태 증가 추세와 연관됨
ICE 및 사법당국의 입장
- ICE의 Marcos Charles 대행 국장은 “Jahn의 범행 목적은 명백히 ICE 직원 살해에 있었다” 언급
- ICE 직원에 대한 폭력이 1000% 이상 폭증했다는 점을 강조
- “이 같은 과격한 수사는 실질적 위험을 초래한다”고 발표함
Apple과 ICEBlock의 입장 차이
- Apple은 “앱스토어는 신뢰와 안전의 공간이어야 하며, 법 집행기관으로부터 위험 정보를 받아 ICEBlock 및 유사 앱을 삭제했다”는 공식 입장 밝힘
- ICEBlock 개발자 Joshua Aaron은 “Apple의 조처에 심각한 실망”을 표현
- “권위주의적 정부 요구에 순응하는 건 옳지 않다” 주장
- 법 집행기관이 주장하는 요원 위험설은 “명백한 허위”라고 반박
- ICEBlock은 110만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앱임을 강조
- Apple Maps 등도 비슷한 원리라는 점을 언급하며 전면적 법적 대응 방침을 밝힘
결론
- ICE 추적 앱을 둘러싼 법 집행기관의 안전, 시민 권리, 대규모 테크 기업의 판단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이슈임
- 향후 법적 분쟁, 앱스토어 정책 변화 등 여러 파장이 예상됨
Hacker News 의견
- 앞으로도 Apple App Store에서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앱 제거가 계속 일어날 것임을 충분히 예감함, 이렇게 앱을 많이 제거할수록 소비자를 위한 폐쇄적인 생태계라는 논리가 점점 약해짐
- 앱 제거에서 멈출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궁금함, 과거 CSAM 사례처럼 철회되기도 했지만, 설령 정부가 감정 분석, 사고 감시, 항상 켜진 오디오 수집, 위치 기록을 요구한다면 어쩔 것인지 생각해 봄, 기술적으로 모두 가능한 일이므로 몇몇 경영진 의사 결정만이 이를 막는 유일한 벽임
- Bondi가 앱 제거를 요청(사실상 요구)한 사실이 있음, 다른 앱 또한 제거해달라고 요구하지 않을 거란 생각은 비현실적임
- Apple이 러시아 시장에 남기 위해 많은 앱을 제거했던 기록이 있음, 결국 비즈니스적 선택이라는 견해임
- 이 같은 일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음
- 이런 일은 이미 예전에도 있었음
- Google이 Android에서 APK 사이드로딩을 점차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음, 이것이 바로 이를 막아야 할 강력한 이유 중 하나임
- 반대로, 이런 상황과 유럽의 Chat Control 법안 때문에 권력자들이 결국 사이드로딩이 불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힘을 쏟고 있음, 이제 FOSS(오픈소스) 모바일 OS의 중요성이 커짐
- 동의하는 바이나, "sideloading"이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하는 건 그만둬야 한다고 생각함, 내가 소유한 기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은 당연한 행위임
- 이런 일이 있기 때문에 직접 Pine64 같은 대안 모바일 OS를 원했던 적이 있음, 다만 좀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함, 참고로 Mobian, Postmarket 등 OS도 있지만 안드로이드폰에 올려야 하니 쉽지 않음, 또 저가폰일수록 광고가 기본 탑재되어 있고, 이런 구조 역시 보조금과 연관 있는 구조임
- 역시 Google도 해당 앱을 제거함, 관련 기사 Google calls ICE agents a vulnerable group, removes ICE spotting app Red Dot
- 이런 리스크를 보며, 앱스토어에 의존하지 말고 처음부터 웹 기반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함
- 2011년도에 Apple은 음주운전 체크포인트 정보를 크라우드소싱하는 앱들도 제거한 적이 있음, 오늘날까지도 해당 정책 유지 중임, 당시 네 명의 민주당 상원의원이 Apple, Google, RIM에 공식적으로 앱 제거를 요구한 사례가 있음, 그만큼 법집행을 회피하는 앱에 대한 외압의 전례가 있음을 강조함
- 해당 앱들이 법 집행 회피를 직접 허용했다는 주장에 반론을 제기함, 실제로 경찰 위치 앱(예: Google Maps)들은 여전히 허용되고 있음, App Store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DUI 체크포인트만 표시하고, 음주운전이나 속도위반 등 과격한 행동을 조장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명시했음, 정책 범주가 동일하다고 볼 수 없음
- Apple의 현재 정책이 정확히 무엇인지 질문함, LLM(대형 언어모델)에서 답을 찾는 것 또한 신뢰하기 어렵다는 의견임, 실제로 당시 상원의원이 압박했을 땐 Apple이 수용했는데, 만약 거부했으면 어땠을지 상상해보게 됨, 두 상황이 과연 제대로 비교될 수 있는지도 따져봐야 함
- 법 집행기관의 압력이 직접적이냐 아니냐에 따라 상황이 크게 다름을 지적함, 대통령 등 규제자에서 바로 내려오는 명령은 완전히 별개의 위협임, 상원의원은 간접적 압력인데 비해 규제자는 직접 사업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있기 때문임
- 당시에도 이런 조치가 잘못됐다고 생각함, 거리에서도 보이는 공공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막는 것은 명백하게 수정헌법 1조 위반임, 대법원이 정부의 편법적인 헌법 우회에 자주 너무 관대했다고 비판함, 의회의 기능 부재를 이유로 대통령 직속의 그림자 정부 형성을 허용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함
- Waze 같은 앱이 속도 단속 지점 공유를 허용하는 이유가 뭔지 의문을 가짐, 광고상으로 직접 말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고, "경찰 활동"이라는 포괄적인 항목으로 리브랜딩해서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제안함
- 이번 건은 홍콩의 HKMap.live 사건(2019)과 완전히 유사함, BBC 기사 참고 가능함
- 당시 Hacker News에서도 Apple Removes HKmap.live from the App Store가 크게 이슈였음(893개 댓글)
- 전체주의적 성향은 항상 통제를 요구하게 된단 의견임
- 이번 사태가 놀랍지 않음, 언론이 앱을 부각시키고, 행정부가 집중하자 Apple이 정부와 관계를 좋게 유지하기 위해 예견된 결정을 내린 것임, 다행히도 대체 앱들은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함, 아이폰 사이드로딩 커뮤니티에 ICEblock이 등장할 일은 없을 것으로 봄
- 언젠가 주요 신제품 행사에서 모든 테크 리뷰어들이 "새로운 iPad 멋지네요. 근데 왜 불법도 아닌 앱을 차단했는지 설명해주세요. 사람들이 본인 주거지 주변에 무장 요원이 나타났는지 알 수 있도록 돕던 앱이었는데요?"라고 질문공세를 한다면 좋겠음, 언론 덕분에 Apple이 여러 번 문제에 대응했었으니 언론이 계속 몰아친다면 입장을 바꾸거나 설명하게 만들 수 있다고 봄
- 결국 자본은 자신에게 가장 이로운 길을 선택함, 가치란 것은 자본주의에서는 허울에 불과함, 실제로 자기가치 때문에 수입을 포기하는 사람은 극히 소수임
- 이해관계가 조금이라도 달라지기 시작하면 중앙집중형 앱스토어가 더 이상 선의로 느껴지지 않음
- 인센티브에 대해 끝없이 논쟁하는 것이 항상 어이없다고 느낌, 인간의 인센티브라는 변수를 근거로 확신을 기대하는 건 미친 짓에 가까움, 인간은 풀리지 않은 문제임, 그러니 보장이나 그에 가까운 무언가, 즉 연합, 분산, 권한 분산, 상호운용성 같은 구조가 필요함
- Apple은 "정부에 맞서는 회사" 이미지가 있지만, FBI 사건 때도 그럴 때만 대외적으로 강하게 나갔던 것임, 불리해지면 누구보다 빨리 정부에 무릎을 꿇는 회사임
- Apple은 돈이 될 때만 정부에 맞선 적이 있음, 프라이버시 강조 전략은 아이폰 마케팅 측면이 큼, 중국인들에게는 정부에 맞서는 이미지를 전혀 보여주지 않음, 실제로 Google은 중국 정부가 검열과 데이터 제공을 요구하자 철수했지만, Apple은 그냥 정부 뜻에 다 맞춰 데이터를 중국 내에 저장했음
- Tim에게 상을 주기까지 했는데 왜 이런 일이 생겼냐는 의문임
- 그 상은 미리 주는 계약금 같은 의미였던 것임
- 관련 윗글에서 유행하는 '표범이 내 얼굴을...'-밈식 유머로 이 상황을 풍자함
- 유럽의 사이드로딩 정책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대표 사례임
- 유럽에서도 Apple은 여전히 앱 공증을 요구하고, 언제든 해당 서명을 취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사람들이 앱 대신 다른 우회 방법을 쓰고 있는지 궁금함, 예를 들어 SMS 트리 같은 방식 매뉴얼 콜트리 가이드
- 제대로 만든다면 웹 앱으로도 충분히 대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