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N⁺ 3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영국 정부에 디지털 신분증 도입을 반대하는 청원이 진행 중임
  • 본 청원에 서명한 사람의 국가별, 지역구별 수치 데이터가 공개되고 있음
  • 개인 신원 정보는 보호되고, 청원 발기인만 이름이 공개됨
  • 해당 데이터는 모든 정부 청원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함
  • 서명자 명단 그 자체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음

개요

  • 영국 정부 청원 플랫폼에서 디지털 신분증 도입 반대 청원이 진행되고 있음
  • 청원 사이트에서는 방문자가 서명자 수에 대한 국가별 및 각 의원 지역구별 집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

데이터 및 개인정보 보호

  • 청원 페이지에 노출되는 정보는 오로지 서명 수치 데이터
  • 모든 청원에서 동일하게 서명자 명단은 제공되지 않음
  • 유일하게 공개되는 이름은 청원 제안자(발기인)

기타 정보

  • 이 방식은 영국 정부 청원 사이트의 모든 청원에 대해 일관적으로 적용됨
  • 서명한 개인의 신원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받음
Hacker News 의견
  • 에스토니아 eID 시스템이 잘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예전에 해킹되거나[https://e-estonia.com/card-security-risk/], 또다시 사진이 유출된[https://therecord.media/estonia-says-a-hacker-downloaded-286...] 사례도 있었음. 스웨덴과 영국 시민권을 모두 가진 입장으로서, 영국 정부는 믿기 힘듦. 영국 정부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권한을 계속 확대하려는 모습을 계속 보여왔기 때문임. 개인적으로 이렇게 권위주의적으로 나아가는 선진 경제국은 본 적이 없음. 그래서 좋은 아이디어이든 아니든, 영국 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주는 건 찬성하지 않음. 그리고 불행히도 영국 정부는 스스로 권한을 더 부여할 수 있는 구조임

    • 에스토니아의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은 실제로 잘 작동하고 있음. 다른 나라에서 디지털/국가 신분증에 대해 저항하는 이유가 이해가 가지 않음. 에스토니아에서는 이런 시스템이 없으면 이처럼 편리한 디지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됨. 정부 서비스는 시민을 확인하고 인증할 수 있어야만 하니까, 동명이인이 실수로 다른 정보에 접근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음. 이런 시스템이 정부의 권한을 더 늘리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음. 이미 정부는 국민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여러 곳에 분산·파편화 되어 있어서 오히려 보안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도 있음

    • 정부가 더 많은 확인 절차를 요구하는 권한과 디지털 신분증의 도입 자체는 별개의 문제로 봄. 이미 다양한 상황(예: 주택담보대출, 은행계좌 개설, 투표, “성인” 웹사이트 이용 등)에서 신원을 확인해야 하고, 정부는 이미 다양한 제3자를 통해 정보 접근이 가능함. 그런데 이런 요구를 실현하는 데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이 필수는 아님. 오히려 현재는 비효율적인 요구사항(특정 문서에 “젖은 서명”(자필서명)이 필요하다든지, 비영국계 사기업을 써야 하는 등)이 난립하고 있음. 디지털 신분증 도입으로 여권이나 운전면허증이 없는 사람들이 겪는 불평등이나, 영국 외 기관 이용 시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줄일 수 있음. 물론 리스크가 없는 건 아니지만, 다른 유럽 국가들도 이렇게 시스템을 구축해도 전체주의적 경찰국가가 되는 건 아님

    •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신분증만 해도 다섯 가지나 여러 유형이 있음. 본인이 가진 여권에는 생체정보와 칩이 들어있고, 국가 ID 카드에도 같은 내용이 있음. 운전면허증은 생체정보가 없고, 칩이 들어있는지조차 모름. 그리고 디지털 eid 시스템 두 가지(bank id와 freya)가 있는데, bank id는 은행이 제공하는 실제 디바이스로 처음 생성하고, freya는 스마트폰으로 여권을 스캔하고 얼굴 인식과 결합해서 만들어짐. 이런 다양한 시스템이 정부 권한 확대에 효과가 있는지는 애매함. 정작 번거롭기만 함. 요즘 스웨덴 이슈는 실물 카드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스웨덴의 민간 시스템(BankID)은 나에게는 잘 맞지 않음. 내 스웨덴 신분이 미국 회사와 미국 정부의 허락에 의존하게 되는 건 받아들일 수 없음. BankID 사용을 1년 넘게 거부했고, 갈수록 그 의지가 강해짐

    • 영국만 권위주의적으로 간다고 생각할 필요 없음. 호주와 캐나다도 같은 방향으로 대화 중임. 호주가 먼저 여러 법을 시험해서 그걸 영국이 가져올 정도임. 우리도 디지털 신분증과 인터넷 신분증 시스템을 비슷하게 도입 중임. 한 나라만 자유롭다고 설계할 수 없음. 자유는 항상 다른 나라와 상대적임. 악화되는 환경은 모두에게 영향을 주게 됨

  • 나도 영국 정부 못 믿음. 영국과 호주 시민이기도 한데, 중앙집중 신원 확인 서비스의 필요성은 느낌. 왜냐하면 대안은 여권을 각종 온라인 서비스에 뿌리는 것이고, 서비스가 해킹당하면 다시 한번 개인정보가 다 유출됨. 차라리, 어차피 이미 정부가 내 모든 정보를 알고 있으니(그들은 내 신분증을 직접 발급해줌), 기업이 단순히 '내 신원이 맞는지' 확인만 할 수 있으면 좋겠음. 예를 들어 내가 ID 넘버만 제공하면, 기업은 내가 진짜임을 확인하는 수준만 얻는 것임. 그런데 이미 호주 시민으로서 최소 두 개의 ID 넘버(여권과 운전면허)를 갖고 있음. 이걸 비밀로 해야 한다고 하지만, 세상과 상호작용하려면 생년월일, 주소 등 모든 정보를 여기저기 제공해야 하는 게 현실임. 그래도 중앙집중 신원 관리가 나쁘다는 주장이 많음

    • 서비스들이 신원 확인이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함. 은행은 이미 KYC를 하고 있고, 고용인은 이미 National Insurance Number가 필요함. 복지는 이름 명의로 지급하고, 응급의료도 보험 필요 없이 GP를 통해 이뤄짐. 또 다른 중앙 집중 신원 관리가 꼭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궁금함

    • 온라인 서비스마다 내 신원을 확인하는 것 자체에 거부감이 큼. 왜 요즘 그런 게 당연시되는지 모르겠음. 배송과 결제 주소만 있으면 충분함. 지난 30년간 그래왔음. 그리고 정부가 이미 내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고 해도, 지금처럼 정부가 내 삶의 모든 행동을 아는 건 원하지 않음. 그럴 이유도 없음

    • 정부가 선의로 행동할 거란 전제가 잘못임. 이미 정부는 SNS 게시글로 수천 명을 체포할 만큼 선의도 없고, 동시에 엄청나게 무능해서 자료가 유출될 가능성도 큼

  • 디지털 신분증(Digital ID) 논의는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음. (1) 전자정부 플랫폼(eGovernment) — 로그인으로 정부업무 처리하는 것 (2) 디지털 신분증 카드 — 실물 신분증 대신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 (3) EU식 통합 디지털 신분증 — 정부가 민간 온라인 서비스(소셜미디어 등)에 SSO(싱글사인온) 제공하는 것. (3)은 명백히 온라인 프라이버시를 대단히 위협할 수 있음. 종종 (3)에 대해 비판하면, "우리나라 전자정부 플랫폼 잘 쓰는데 왜 싫어함?" 식의 답변이 나오지만, 이 둘은 완전히 다른 의제임. 이번 논의는 (2)에 해당하고, 영국에서는 고용을 원하는 사람에게 의무화한다는 점이 포인트임

    • 이미 불법 취업하려는 사람들은 이번 시스템이 도입돼도 아무 영향 없음. 합법적으로 취업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른 사람을 통해 우회하는 방식으로 이미 법망을 피하고 있음. 정부가 이걸 모를리 없으니, 분명 더 큰 의도가 있을 것임

    • 영국에서는 이미 "Right to Work" 같은 이민 상태 확인 시스템이 있어 고용주가 한 번에 확인 가능함

  • 영국 경찰이 자유롭게 발언하는 사람을 체포/위협하는 영상을 많이 보게 됨. 그래서 이런 정부에 웹상의 익명성을 제거할 권한을 주는 건 절대 지지할 수 없음. 지금 정부를 지지하더라도, 이런 권한은 언젠가 자기도 피해자가 될 수 있음

    • 트윗했다가 감옥, 코란을 불태우려던 사람을 칼로 공격하면 집행유예. 이 뉴스 영상 보면 분노하게 됨

    • 영국 정부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보려면 유튜브 영상이 아니라, 평화 시위자들이 테러법 위반으로 체포되는 빈도를 보면 됨. 예를 들어 팔레스타인 액션 티셔츠만 입어도 바로 처벌받는 사례가 있음[https://www.theguardian.com/uk-news/2025/sep/25/fate-of-hund...]

    • "단순히 자유롭게 발언하는 것"이라는 표현에 얼마나 많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 궁금함

    • 미국의 "free speech"(자유발언) 개념은 다른 국가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 인지함

    • 영국 경찰이 최근 2년간 거의 비밀경찰(스타지)처럼 행동하는 것 같음. 주요 언론이 경찰의 권위주의적 행태를 외면 중임. 누군가를 지지하려는 정치적 움직임도 아닌 듯한데, 트위터 등에서 무례하다는 이유로 사람을 체포함. 어느 진영이든 이 상황은 우려스러움

  • 디지털 신분증 카드 그 자체보다는, 현대 노동당의 정치적 역량이 더 답답함. 영국 경제는 정체, 생계비 위기 등 심각한 이슈가 많은데, Farage와 구분되는 대안을 내세워야 할 시점에, 답이 디지털 신분증 카드를 내놓는다는 것이 실망스러움

    • 개인적으로 디지털 신분증 카드(무료 앱)는 특별히 문제 삼지 않음. 덴마크 동료들도 잘 쓰고 있고, 영지식 증명으로 연령확인만 한다면 찬성할 수도 있음. 하지만 불법 이민을 막는 방안이 될 거란 논리에는 동의하지 않음

    • 정부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할 수 있기를 기대함. 최근 £300억 규모의 테크 투자도 발표되었음

    • 정부 서비스 품질과 시민의 삶을 개선하려면, 여러 행정부서에서 쉽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가장 중요한 출발점임

    • Starmer는 노동당이 반(反) Reform 정당이 되려면 이민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음.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민 자체보다는 생계비, 복지, 일상에 더 관심 있음. Farage식 "모든 문제의 원인은 이것!" 프레임에 집착하다 보면 오히려 Farage 세력만 더 커지고, 고정 표심도 설득하지 못하며 자기 지지층만 멀어질 뿐임. 지난 선거 결과도 표 대비 의석수 격차가 최대임. 오래된 보수 정부를 상대로도 변변치 않은 성적임. 이런 실책에 대한 이해가 어려움

  • 오늘 스위스도 E-ID 법을 찬성했다는 소식임[https://www.admin.ch/gov/en/start/documentation/votes/202509...]

    • 50.39% 찬성으로, 정말 박빙의 결과임
  • 앞으로 4년간 노동당 정부에 대한 진지한 저항은 현실적으로 어려움. 청원은 그냥 무시되고, 자기 아젠다대로만 밀고 감. 미국처럼 양쪽 진영이 점점 팀 스포츠처럼 변해서, 논쟁이 전혀 소통이 안 되고, 정치인이 자기들끼리 점수 따기만 바쁨. 디지털 신분증의 표면적 목표는 불법 이민자의 고용·주거·서비스 이용 제한이라지만, 이런 사람들은 이미 기존 경로를 안 쓰고 있어서 전혀 효과 없음. 야당이 있다면 투표에도 의무화하라고 역제안을 내서 이 정책을 막았겠지만, 노동당은 그걸 절대 원하지 않을 것임. 내 친구 중 95%는 해외 출신인데, 이번 정부 정책 때문에 합법적 이민자임에도 불구하고 영국을 떠나고 싶어함. 평생 처음으로 나도 그 마음이 됨

    • 노동당이 원래 수년간 토리당이 이런 정책 추진한다고 비난하다가, 집권하자마자 본인들이 '이민 억제용'으로 같은 정책을 도입한 게 정말 냉소적임. 반대하면 곧바로 불법 이민 옹호자로 몰아붙임. 이런 정치술수 때문에 정당에 대한 신뢰가 무너짐

    • 이미 불법 이민 근절을 위한 충분한 법적 확인 절차가 존재함. 문제는 법을 어기는 고용주와 임대인일 뿐, 디지털 신분증으로 달라질 게 없음. 사실상 디지털 신분증이 법적 의무가 되는데도, 정부는 이를 억지로 부인함. 이런 태도 보이면 신뢰할 수 없음

    • 영국과 미국 정치 시스템이 원래 이런 식으로 작동함. 실제로 중요한 견제 세력은 오히려 같은 당 내 후방 의원들임

    • 미국 민주당은 약간 진보내지 중도좌파인데, 영국 노동당은 오른쪽 성향이 강해 이전 토리당과 차이가 거의 없어지는 중임. 특히 트랜스젠더 권리 같은 곳에 대한 지지 정당이 영국엔 없음. 그래도 Reform 같은 극우정당이 따로 생기면서 주류 양대 정당 내 강경 극우 비율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볼 수도 있음. 다만, 요즘은 Reform 지지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서 걱정임

  • 예측함: "정부는 디지털 신분증 카드 도입을 멈출 계획이 없으며, 민간기업과 협력해 최대한 빠르고 효율적으로 도입하려 함으로써 국민들이 그 보호 장점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중임." 관련 청원

  • 일본에도 “MyNumber”라는 디지털 국가 신분증이 있음. 도입 전에는 반대도 많았지만 결국 통과됨. 지금은 국민 건강보험 등 각종 정부 서비스에 필수임. 시행 초기에는 버그 등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최근 2년간은 별다른 이슈 없이 잘 운용중임. iOS 지원도 이미 되고, 곧 안드로이드에도 도입돼서, 실물 카드 없이 폰만 있으면 신분 확인 가능함

  • 청원에 서명했지만 결국 정부가 원하는 답이 나올 때까지 계속 밀어붙일 듯함. 이런 사생활 침해법안의 모든 시도를 원천 차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혹시 국민이 직접 입법을 발의할 수 있다면, 반드시 스마트폰이나 빅테크 서비스에 의존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함

    • 미국처럼 헌법에 위헌심사권이 있는 체계와 달리 영국은 의회 주권임. 의회가 오늘 “영국은 디지털 신분증을 도입하지 않는다”고 만장일치로 법을 만들어도, 다음날 단순과반으로 “도입한다”고 바꿀 수도 있음. 실제로 2011년 고정 임기법(FTPA)을 도입했다가 2019년/2022년에 바로 다시 뒤집은 사례도 있음. 수백 년간 관습화되어야만 관행과 전통이 만들어질 수 있지만, 최근 일로는 아무런 저지력이 없음. 만약 정치인이 “절대 안하겠다” 약속해도, 그 약속의 신뢰 가치는 종이 한 장보다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