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P by GN⁺ 4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바둑은 전통적인 동아시아 보드게임으로, 흑과 백 돌을 활용한 전략적 사고가 핵심임
  • 기본 규칙은 바둑판에 번갈아 돌을 두며, 상대의 돌을 둘러싸여 을 만드는 것임
  • 돌이 완전히 둘러싸이면 포획되어 바둑판에서 제거됨
  • 게임의 최종 목표는 바둑판 위에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것임
  • 알고리듬 분야에서도 바둑은 인공지능 연구의 주요한 실험대상임

바둑 개요

  • 바둑은 두 명이 번갈아 흑·백 돌을 바둑판에 놓아가며 진행되는 추상 전략 보드게임임
  • 바둑판 위에서 자신의 돌로 더 큰 영역(집) 을 만드는 것이 목표임
  • 상대방의 돌을 사방에서 둘러싸 포획(따내기)할 수 있음
  • 바둑은 단순한 규칙 내에서 복잡한 전략적 사고를 요구함
  • 게임이 끝나면 각자가 차지한 집의 수로 승패를 결정함

바둑의 규칙

  • 바둑판은 19x19 선으로 구성되어 있음
  • 한 번 바둑판에 올려 놓은 돌은 움직일 수 없음
  • 자신의 돌로 상대방 돌의 모든 공배(빈 점) 를 막으면 상대 돌은 바둑판에서 제거됨
  • 자신의 차례마다 돌 하나만 두는 것이 원칙임

바둑과 인공지능

  • 바둑의 높은 복잡성과 다양한 수의 조합으로 인해, 오랫동안 인공지능 개발의 도전과제였음
  • AlphaGo 등 최신 알고리듬이 세계적인 바둑 고수를 이기면서 큰 관심을 받음
  • 바둑은 패턴 인식전략적 계획이 중요한 대표적인 게임임

결론

  • 바둑은 심오한 전략과 간단한 규칙이 결합된 게임임
  • 컴퓨터 과학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의 대상임
  •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즐길 수 있는 깊이 있는 보드게임임
Hacker News 의견
  • 대학 시절 바둑을 배웠지만 실력이 크게 늘진 못했음, 그당시엔 프로그래밍도 배우고 있어서 경쟁 관계였음,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 직후 아들이랑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찾다가 바둑에 빠지게 됨, 그 시기엔 삶이 혼란스러웠고 아들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음, 난방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고 바둑이 딱 맞았음, 바둑의 가장 좋은 점 중 하나는 세련된 치수 시스템 덕분에 실력이 달라도 공정하게 함께 재미있는 승부를 즐길 수 있다는 부분임
    이후 바르샤바 지역 바둑 동호회에 다니기 시작했고 우리 가족의 주된 취미가 됨, 서로 거의 매일 대국하고, 때로는 해외까지 대회에 참가하며, 여름엔 바둑 캠프에서 휴가를 보내기도 함
    이 바둑 캠프는 정말 마법 같은 이벤트임, 카슈브 호수 지대 한가운데의 캠프장에서 진행되는데, 시설은 매우 소박하고 텐트나 다섯 명이 함께 쓰는 오두막에서 살아야 하고 온수도 귀함, 하지만 여기 모인 사람들은 정말 대단함, 아침엔 람다 계산법을 갑자기 소개해 주기도 하고 저녁엔 깊은 철학적 대화에 빠지거나 이국적인 여행담을 듣거나 예상치 않게 뜨개질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됨, 처음 이곳에 왔을 때 사라진 가족을 다시 찾은 것 같은 기분이었음
    바둑 커뮤니티는 체스보다 인원은 작지만 훨씬 끈끈하고 환영받는 분위기임, 체스는 경쟁이 치열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바둑에선 사람을 내치면 함께 둘 상대가 없어진다는 암묵적 이해가 있음
    여행을 갈 때마다 현지 바둑 모임에 들러 대국하는 걸 좋아함, 샌프란시스코의 Japan Town 바둑 클럽을 특히 인상 깊게 기억함
    난 거의 오로지 대면 대국만 함, 오래 고민하는 바둑을 선호하고 스크린에서는 그 몰입을 얻기 어려움
    그리고 바둑을 다룬 애니메이션 Hikaru no Go도 정말 추천함, 바둑을 몰라도 한 번쯤 꼭 볼만함
    • 이 애니메이션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임, 주인공들은 전형적인 애니메이션 스타일이라 비슷비슷하지만, 나이든 등장인물들은 훨씬 현실적으로 그리고 개성 있게 묘사됨 (일본에서 바둑은 약간 어른들의 게임인 듯), 바둑 커뮤니티에 “사람을 몰아내면 상대할 사람이 없어진다”는 암묵적인 이해가 있다고 했지만 온라인 바둑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 경쟁을 줄이려는 의도로 인종차별적인 말투로 욕하는 사람도 겪어봄
    • 바둑 캠프는 1년 내내 기다리는 이벤트임, 지난 20년간 계속 참가했고 최근 10년간은 주된 주최자를 맡고 있음, 마법은 자연스럽게 일어남
    • 바둑 만화 Hikaru no Go에서 가장 즐거웠던 것은 중국 드라마 버전임, 오히려 원작 애니메이션보다 더 재미있었다고 느낌, 링크: https://mydramalist.com/45437-qi-hun
    • Hikaru no Go 만화도 굉장히 훌륭함, 시간 지나도 전혀 촌스럽지 않음, 그 시절 다른 만화/애니메이션에선 문제가 될 만한 고정관념이나 장면도 보이긴 함
    • Kaszuby Lake District라는 곳을 들어본 적 없다고 의아해함
  • 바둑은 30년 전쯤 처음 알게 됐고 그 이후로 간간이 공부하거나 두고 있음, 하지만 아직도 실력은 끔찍하다고 농담듯 말할 수 있음
    하지만 정말 아름다운 게임임, 재미있고 도전에는 끝이 없음, 게임 끝내는 방식(더 이상 유리한 수가 없을 때 상호 동의로 종료)도 놀랍고, 치수 제도 덕분에 실력차가 드러나도 여전히 치열하게 즐길 수 있음
    바둑판과 바둑알 자체도 예술 작품이고, 게임은 전통이 깊음
    바둑판과 알이 비싸서 DIY로 만들어 쓰는 사람도 많음, MDF와 매직펜, 샤피로 바둑판 만드는 법을 소개한 웹페이지도 있음, 멜라민 바둑알도 저렴하게 구할 수 있고, 유리나 도자기 알은 더 좋음
    대학생 때 넉넉지 않아 시골길에서 작은 동글돌을 주워 검정과 흰색 스프레이로 칠하고, 남은 목재 패널을 사각형으로 잘라 매직으로 선을 긋는 식으로 바둑판을 만들었음
    이 셋트는 솔직히 외관상으로 약간 충격적이었지만 지금도 옷장에 보관 중임
    • 솔직히 그 셋트(직접 만든 바둑판과 돌)를 정말 보고 싶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듦
  • 바둑은 정말 멋진 게임임, 어릴 때 형이 바둑 셋트를 샀고 같이 놀았음, 지금은 65년이 흘러 내가 형에게 9점 치수를 줘야 함 (한국 바둑프로에게 사사받고 책도 여러 권 공부했기 때문), 치수 시스템 덕분에 실력이 달라도 게임이 여전히 매우 재미있음
    링크된 문제도 몇 개 풀어봤는데 아주 잘 만들어졌다고 느낌
    개인적으로 70년대에 상업용 바둑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한 적도 있음, 정말 좋은 취미였음
  • 몇 주 전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해서 이 자료(링크된 웹사이트)를 우연히 사용해봤음, 꽤 괜찮은 자료임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튜토리얼은 The Interactive Way to Go https://way-to-go.gitlab.io
    추가로 Sensei’s Library https://senseis.xmp.net도 주목할 만함, 바둑 관련 정보가 넘칠 만큼 가득찬 오래된 위키로, 바둑을 배우지 않아도 구경만으로도 굉장히 흥미로운 곳임
  • 15년 전 대학에서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음, 실력이 높진 않았지만 매우 만족스러운 경험이었음, 악기 배우는 것처럼 인내, 규율, 절제심을 기르면서도 재미까지 얻을 수 있음
    그 시절엔 영어로 된 온라인 바둑 자료가 지금보다 현저히 적었음, 이제는 영어로 전문가 해설(특히 Michael Redmond 유튜브 채널 등)까지 볼 수 있음
    당시 대학교 동호회에 훌륭한 실력과 가르침에 열정적인 어르신이 계셨음, 시골의 작은 대학이었는데 이 분은 70년대 책으로 먼저 바둑을 익히고 항구에 들어오는 일본 어선 선원들과 만나서 대국했다고 함, 지금도 친구임
    바둑에는 잘 두기 위한 속담과 격언이 많음(예: “두 점 머리에 한 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잘 안 알려진) 조언은 ‘바둑 두면서 친구를 만들어라’
    이런 자료도 좋지만 대면 대국에서 만남을 더 소중하게 여김
  • 최근 AlphaGo 다큐멘터리 영화를 유튜브에서 무료로 보고 나서 바둑 배우기에 관심이 생김, 매우 추천할 만한 작품임 https://www.youtube.com/watch?v=WXuK6gekU1Y
    • AlphaGo가 전에 없던 바둑 전략을 만들어내자 프로그래머들이 경악하는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음 (특히 GPT3.5/ChatGPT 데뷔 직전 시점에 시청), 알고리즘은 인간이라면 고려조차 못할 엉뚱한 수를 두면서 판세를 뒤집는 경우가 나옴, 9단 기사 이세돌이 AI 상대의 창의성에 감명을 받아 인간적인 아름다움까지 부여하는 철학적 표현을 하는 장면은 정말 큰 충격이었음, 인간의 자만심이 사라지는 계기가 됨
    • 이세돌이 4국을 이겼을 때 눈물을 흘렸음, 또 이세돌과 판후이의 철학적 대화도 굉장히 인상적이었음
  • 바둑을 여러 해 뒀지만 내가 이긴 유일한 대국은 대학 바둑 대회에서 상대방이 불참해서 얻은 부전승뿐임
    아들과 바둑을 했을 때도(바둑을 가르쳤는데도) 결국 졌음
    정말 멋진 게임임
    • 바둑 기초를 배우기 위해선 처음 100국은 반드시 져야 함
  • 바둑인들이 이렇게 모여 있어 반가움, 여기까지 언급되지 않은 추천 자료 몇 가지를 공유함
    1. https://gomagic.org/, 무료와 유료 자료가 섞여 있고 많은 걸 배웠음
    2. The European Go Journal, 인쇄 잡지로, 아시아 바둑 역사가 강한 국가 근처에 살진 않았지만 종이로 문제와 바둑 소식을 접하는 게 즐거웠음
    3. Jonathon Hop의 “So you want to play go” 시리즈도 추천함, 글 스타일이 마음에 듦
  • 바둑 규칙을 배우기에 가장 좋은 튜토리얼이라고 생각함 https://www.learn-go.net
  • 이 자료(사이트)는 정말 잘 만들어졌음, 난이도 진행도 자연스럽고 잡다한 요소가 없음, 계정 가입을 강요하지 않는 점이 최고임
    • 다만 모바일에선 계정 없이 밝기/언어 빼고 다른 설정을 못 바꿔서 꽤 불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