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시들은 버스에 너무 많은 비용을 지불함
(bloomberg.com)- 미국 도시 대중교통 기관이 유사한 조건의 신형 버스를 구입할 때 가격 차이가 극심함
- 싱가포르는 전기버스를 매우 저렴하게 구매함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디젤 버스조차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함
- 미국 시장의 비효율성과 소수 공급업체 독점, 해외 경쟁 금지, 과도한 차량 맞춤화가 주요 원인임
- 이러한 문제로 대중교통 서비스 품질 저하 및 운영예산 악화, 세금 낭비 현상 초래함
- 전문가들은 경쟁 활성화, 표준모델 도입, 외국 제조사 제한적 허용 등 정책 개선안을 제시함
미국 대중교통 버스 조달 비용 문제 개요
- 2023년 미국의 Denver RTD와 Cincinnati SORTA 대중교통 기관은 동일 제조사에서 40피트 디젤 버스를 구입했으나, RTD는 대당 $432,028에, SORTA는 $939,388에 구매한 사례가 존재함
- 같은 해 싱가포르 Land Transport Authority는 240대의 전기버스를 대당 $333,000에 구매함. 이는 미국 내 디젤버스 평균 가격보다도 저렴한 수준임
- 이 현상의 원인을 분석한 연구 보고서 "Paying Less for Public Transit Buses"는 미국 대중교통 버스 시장의 가격 비효율성을 지적함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
- 미국 대중교통 기관들이 과도하게 맞춤화된 차량을 요구함에 따라, 생산과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함
- 국내 공급업체가 두 곳(Gillig, New Flyer)만 존재하는 사실상 듀오폴리 구조임. 2014년 참전을 시도한 BYD 등 중국계 업체들은 연방정부 규제로 시장 접근이 봉쇄됨
- Buy America 규정으로 인해 연방 지원금을 활용하는 경우 국외 생산 차량 도입이 제한됨
- 개별 기관이나 도심 맞춤 사양 주문, 색상·내장재 등 사소한 부품 변경 요구가 빈번히 발생함
- 예시 : 수십 가지 회색 패널 재고를 업체가 보유해야 하는 상황, 바닥재 색상 등 세밀한 차별화 요구 증가
- 2024년 기준 70%의 미국 신형 버스 계약이 완전히 고유 사양으로, 전국 어디에서도 동일 조달 사례가 존재하지 않을 정도임
미국-해외 가격 격차와 그 영향
- 미국의 평균 디젤버스 가격은 약 $500,000, 전기버스는 $1.1M에 이름
- 싱가포르, 유럽·아시아에서는 동일 또는 상위 사양 버스를 절반 이하 가격에 구매하고 있음
- 높은 버스 가격은 노후차 교체 지연, 서비스 차질, 과도한 부채 발행, 운영 예산 압박 등 악순환을 야기함
시장 구조 변화와 공급업체 퇴출
- 최근 Proterra, Nova Bus 등 주요 공급업체 파산 및 철수 사례 발생
- 지나친 맞춤화 요구와 소규모 발주로 인해 일부 기업은 생산 효율성을 잃고 시장에서 퇴출됨
- 현재 미국 내 신규 버스 생산은 소수 업체만 가능하며, 협상력 부족 및 가격 인하 어려움에 직면함
정책 대안 및 제언
- 연구진은 소규모 기관이 대형 시스템 주도의 대규모 조달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규모의 경제 달성 제안
- 연방정부가 표준 버스 모델 목록(bus formulary) 을 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차량 구입 시 지원금 우선 배정 방안 제시
- 연방 보조금 상한선 도입(동급 차량 대비 25% 이내 가격까지만 지원) 방침 제안
- 외국 제조사의 미국 판매 제한적 허용(예, 모델별 100대 직접 수출 후 현지 생산 요구) 등 시장 개방 확대안 또한 포함됨
- 이를 통해 운영 예산 유연성, 대중교통 인프라 개선, 세금 절감 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정책 실현을 위한 과제 및 전망
- 연구진은 연방정부의 권한 부족을 인정하며, 의회의 추가 권한 부여 및 표준화 법안 필요성을 강조함
- Abundance movement(풍요 운동)의 관점에서, 기존의 낡은 관행을 재검토하고, 커뮤니티에 필요한 결과 제공에 방해가 되는 '고장난 시스템'을 혁신하는 계기로 삼을 것을 제안함
Hacker News 의견
-
연방 자금이 버스 구매의 80%를 지원하고 기관이 나머지를 부담하게 됨으로써, 구매하는 사람이 실제로 본인 돈을 크게 쓰지 않아 가격에 예민하지 않게 됨을 지적함. 이는 마치 건강보험이나 뷔페처럼 소비자가 가격에서 멀어질수록 가격 신경을 덜 쓰고 결과적으로 비용이 더 높아지는 현상임을 예로 듦
-
혹시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라는 개념을 이번에 처음 듣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음
https://en.wikipedia.org/wiki/Principal–agent_problem -
내 건강보험은 공제금이 $6500로 매우 높기 때문에 실제로는 비용을 신경 씀. 하지만 아무도 서비스의 실질 가격을 미리 알려줄 수 없기 때문에, 병원을 이용하고 한 달 뒤 청구서를 받아보기 전까지는 얼마를 내야 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임
-
소비자가 가격에서 멀어지면 비용이 폭등한다는 주장은 OECD의 1인당 의료비 지표만 봐도 맞지 않음
몇몇 국가는 소비자가 직접 일부 비용을 내도 1인당 의료비가 더 높고, 소비자가 거의 전적으로 분리된 단일보험(국가 의료) 시스템이 오히려 더 저렴할 때도 있음
즉, 의료비 문제는 단순한 경제학 101식 설명에 맞지 않는 매우 복잡한 구조임
https://oecd.org/en/publications/… -
만약 보험이 대부분 비용을 부담해서 가격이 오른다는 논리가 맞다면, 사회주의 의료 시스템은 오히려 비용이 높아야 하지만 현실은 대체로 그 반대임
미국의 보험 수익률은 전체 의료비 중 아주 작은 일부에 불과함
비탄력적인 시장에서는 이윤을 제거하면 오히려 가격이 낮아지는 현상도 흔함 -
나는 세금으로 잘 운영되는 훌륭한 의료, 대중교통, 삶의 질을 누리고 있음
원래 부유한 국가였던 점도 있지만 이런 시스템이 충분히 지속 가능하다는 점을 직접 경험 중임
-
-
기사 저자가 말하는 아웃소싱(해외생산)이 근본 해결책인지 의문임
미국은 날씨나 지형 차이 때문에 일정 수준의 버스 디자인 차이는 불가피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지방 버스는 큰 차이 없음
오히려 같은 제조사에서 같은 해 구매한 40피트 디젤 버스가 기관에 따라 2배 이상 가격이 차이나는 게 문제임
싱가포르는 대량 구매로 가격을 낮추는 행정적 역량이 뛰어남
연방 자금은 종종 복잡한 행정 절차를 유발하므로, 지방세로 현지에서 직접 조달·운영하는 게 장기적으로 더 저렴할 수도 있음을 지적하고 싶음-
사실 도시마다 필요한 버스 조건이 다름. 추운 곳은 히터, 더운 곳은 에어컨이 필요하고 산악지역은 변속기도 달라야 함
시애틀 일부 버스는 터널 내 대기 질 때문에 배터리로 전환하는 등의 특별 설계가 적용됨
SORTA가 내부 인테리어 등 추가 커스터마이징을 요청했을 수도 있지만, 그것만으로 수백만 달러 차이가 설명되진 않을 듯
친구가 항공기 내부 인테리어 일을 했는데, 좌석이나 마감 비용만 봐도 저가항공과 프리미엄 항공이 크게 다르듯, 반영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음
https://bsky.app/profile/noahsbwilliams.com/post/3lx4hqvf5q22o -
구매 계약 내용도 불명확함
유지보수, 장비, 보관 시설 등 추가 조달 조건이 있을 수도 있음
연방 자금을 쓸 때는 국산 제품 의무가 있어서, 단순 사무용 책상·의자만 사도 세 배 가까이 비용이 들었던 경험이 있음
사설 자금이면 훨씬 저렴하게 가능했음. 교육 수준 외에도 조달 조건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큼 -
캐나다의 경우 전통적인 노란 스쿨버스는 겨울 시동을 위한 ‘글로우 플러그’나 ‘블록 히터’가 필수고, 영하 40도 이하에선 버스운행 자체가 중단됨
도심버스는 천연가스를 써서 혹한에도 더 신뢰성이 높고, 브레이크가 얼어붙는 경우가 있어서 특수 장치가 필요함
대형 버스 난방은 문이 수시로 열려있어 매우 어렵지만 AC는 거의 없음
작은 추가 장치 자체는 그렇게 비싸지 않지만, 신뢰성 높은 천연가스 버스는 디젤 대비 배 이상 비쌀 수 있음
글로우 플러그, 블록 히터, 브레이크 동결 -
승객 입장에선 버스가 다 비슷해 보여도, 운전사 입장에선 노선과 지형에 맞춰 변속기 등 구성이 반드시 달라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 가능함
예를 들어, 특정 변속기는 산악지역에선 운행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가 될 수도 있음 -
더블린에서 살았는데, 보통 평지라서 에어컨 없는 버스가 드물지만 드물게 더운 날엔 매우 불편했음
전기 버스는 냉방이 잘 안 되고, 추운 날엔 난방도 부족함
어릴 때 언덕 많은 지역에선 버스가 오르막에서 잦은 고장이 있었고, 버스 종류도 철도 다리가 낮은 곳은 1층 버스만 다녀야 했음
이런 구조상 도시 교통 시스템에 따라 버스 형태와 사양이 상당히 달라질 수밖에 없음을 체감함
-
-
버스 운행 비용 중에서 차량 가격은 아주 작은 부분임
운전기사 인건비가 절반 가까이 차지, 가장 비싼 버스도 시간당 총 운행 비용의 1/3에 불과함
더 비싼 버스라 하더라도 신뢰성이 높다면 오히려 운행 효율 향상 효과가 더 큼-
버스 노선이 없어지거나 줄면, 일할 수 없는 인구가 생기고 결국 경제에 돌아가는 세금도 줄어듦
전체적인 영향은 산정이 어렵지만 이러한 사회적 비용 효과까지 TCO(총소유비용) 공식에 반영되는지 궁금함 -
(진짜 궁금해서 묻는 것) 운전기사 인건비가 세계 어디서나 절반 가까운지 아니면 미국만 그런지 궁금함
포르투갈 여행때 Flixbus를 썼는데, 서비스가 기대 이상이었고 가격도 저렴했음
그만큼 운전기사 시급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음 -
연방 보조금은 버스 구입비용뿐 아니라 도로, 교량 등 인프라와 운영비, 에너지, 인건비 보조까지 다양하게 제공됨
그래서 대부분 지역에서 무료나 저가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게 됨 -
맞는 얘기지만, 실제로는 자산(버스, 정비 장비 등)과 운영비(인건비 등)가 별도로 회계처리되고, 대중교통 인건비 지출이 지역 경제 활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함
버스와 장비는 수년에 걸쳐 감가상각 처리되고, 도로 등 인프라는 굉장히 비싸지만 항상 효율적으로 쓰이진 않음 -
고정노선이기에 버스도 자율주행화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듦
-
-
Tompkins County에서 Proterra의 전기버스를 구매했으나, 정비 중 차축이 분리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해 전량 운행 중단됨
Proterra가 파산해 사후 지원도 불가했고, TCAT는 지금도 디젤 버스를 급히 구입해 대체 중
요즘은 장식 없이 색상만 다른 버스를 구입해 급히 노선을 운영하고 있음-
미국의 전기버스는 대부분 ‘전기버스 전용’ 회사를 통해 공급되지만, 내가 사는 곳은 80년, 100년 이상 된 기존 버스 제조사가 전기버스를 생산함
미국 전통 버스 제조사 중에는 전기버스를 만드는 곳이 없는지 궁금함 -
시장 압박으로 저렴한 버스를 찾으려고 하면 이런 문제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함
-
-
AC Transit(샌프란시스코 동부 버스기관)은 수소연료전지 버스 신기술 도입 후 심각한 신뢰성 문제와 높은 비용 발생을 겪음
공공기관이 이런 신기술에 투자하는 건 좋지만, 그 부담이 온전히 승객과 버스기관에 전가되어 서비스가 악화되지 않도록 보조금 등 분담이 필요함- ‘근무지/거주지 인근 지역버스 회사가, 제대로 된 고품질 서비스 제공 대신 최신 기술 도입에 여분의 예산을 써야 하는 타당성’을 설명해 보길 바람
만약 연방이나 주정부가 추가 비용을 지원한다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함
- ‘근무지/거주지 인근 지역버스 회사가, 제대로 된 고품질 서비스 제공 대신 최신 기술 도입에 여분의 예산을 써야 하는 타당성’을 설명해 보길 바람
-
무역장벽의 단점 중 하나는 덜 바람직한 산업(디젤버스 제조)에 노동과 자본이 묶이고 결국 비효율적·고가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임
그러나 버스를 하루 12시간 이상 운행한다고 가정하면 차량 가격이 두 배여도 인건비·유지비 등 다른 비용에 비해 금세 의미가 없어짐-
선진국 대중교통 예산의 2/3는 인건비가 대부분임
차량비는 주요 비용은 아니지만, 관리가 반드시 필요함
미국 연방정부는 최근까지 자본지출만 지원했기 때문에 버스는 12년 수명을 채우고 꼭 그만큼 교체하는 식으로 운용됨
천연가스, 전기버스를 사면 운영비 절감 효과가 있고, CAPEX(설비투자비)는 연방에서 지원함 -
만약 ‘Solaris Bus & Coach sp z o.o.’ 같은 해외 제조사에서 바로 주문할 수 있다면 어떨지 상상해봄
EU 보조금 덕분에 수소버스(https://en.wikipedia.org/wiki/Solaris_Urbino_12_hydrogen)도 시범운영 중임
타국 운전자와 달리 독일에서는 휴식시간 규정이 엄격해서, 중간에 충전 인프라만 잘 갖추면 충전이 큰 어려움이 없을 거라고 생각함
디젤버스를 예비용으로 남겨 두다가 충전 인프라 구축이 완비되면 완전히 전환 가능함 -
요즘 버스는 대부분 CNG(천연가스)가 아니냐는 의문을 가짐
-
디젤버스 제조가 왜 문제인지 궁금함. 보행자 배출가스 때문이라면, 탄소배출 대책 우선순위에선 디젤버스가 그리 큰 문제는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함
-
-
기사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안으로, 최근 민간투자회사(Private Equity)가 버스, 소방차 공급망에 대거 진출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들음
-
이 문제는 버스 시장만의 특수성이 아니고 미국 내 거의 모든 산업에도 똑같이 존재함
거의 모든 산업에 실질적인 독과점이 형성됨
기존 기업은 정치인과 유착해 신규 진입을 막고, 허울 좋은 자유시장 논리로 지역사회 주도 시도를 가로막기도 함
최근 정부가 풍력,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지원을 제한하는 움직임도 같은 맥락임 -
미국 대중교통 비효율성에 관한 분석으로 ‘Modern MBA’ 채널이 매우 볼 만함
미국, 아시아, 유럽, 중남미 시스템을 공공 vs 민간, 다양한 각도로 비교 분석함
https://www.youtube.com/watch?v=eQ3LSNXwZ2Y-
현대 MBA가 자주 인용하는 ‘자동차 회사가 도시철도망을 해체했다’는 주장이 의심스럽음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이지만 대중교통, 의료보조 방식이 유럽식이었던 경우의 의견이 추가로 나왔는지 궁금함 -
미국 제조업의 비용이 왜 다른 나라보다 훨씬 더 높은지, 임금 차이를 고려해도 진짜 이유가 궁금함
-
채널이 정말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 현지 사업자 인터뷰 등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 만족함
-
-
저자의 주장은 버스 생산의 해외이전을 주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부작용이 크다는 점에서 미국 유권자들이 실제로 반대해온 이유임
단순히 스티커 가격이 싸다고 해외이전을 택하면, 결국 더 비싸고 측정하기 힘든 부담이 사회 전체로 전가됨-
‘Buy American’ 규칙 역시 국내 버스 산업을 역동적이고 경쟁적으로 만들지 못하고 오히려 반대임
중국이 미국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하면 굳이 막을 필요가 있을지 의문임
군용버스 조달이 필요할 때 기존 NA 생산력으론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봄 -
‘Buy American’ 후 미국 조선산업이 어떻게 됐는지 궁금하다면 ‘Merchant Marine Act of 1920’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Merchant_Marine_Act_of_1920 -
실제로 저자의 추천은 단순 오프쇼어가 아니라, ‘국내 경제 규모 확대를 유도하는 조건부 대중교통 보조금’임
해외업체가 특정 모델 100대까지만 판매 가능하고, 추가 판매를 원하면 미국 내 생산시설 설립이 필요함
그리고 연방환급금은 25백분위수 가격으로 상한선 도입을 권장함 -
미국에는 진정한 ‘좌파’ 정당이 존재하지 않고, 진보계 인사가 조금만 부상하면 양당이 협력해 차단함
-
실제로 미국인들이 오프쇼어링을 반대한 게 과반인지 의문임
투표자 중 소수만이 현 정부를 뽑았고, 전체 유권자의 2/3는 투표조차 하지 않았음
애초에 왜 이 문제가 정체성 정치로 프레임이 짜이는지도 의문이고, 자유시장 추진이 꼭 ‘좌파’의 전유물이라는 주장에도 동의하지 않음
오히려 이는 전통적으로 우파 논리에 가깝다고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