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E가 이제 가장 좋아하는 데스크탑이에요
(kokada.dev)- KDE는 사용 편의성과 기본 기능의 완성도가 뛰어나며, 성능측면에서도 Windows와 macOS를 포함한 다른 데스크톱 환경과 비교해도 우수한 경험을 제공함
- Window Rules, Flatpak 권한 설정, Info Center 같은 기능 덕분에 별도의 서드파티 앱이 필요 없음
- 기본 네트워크 애플릿은 채널, 신호 강도, 주파수 등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QR 코드를 통한 Wi-Fi 공유 기능도 포함
- 스크린샷 도구는 외부 애플리케이션 없이도 자르기와 블러 처리가 가능하며, 이전 설정을 기억해 편리함
- 초기 설정에서 태스크바 문제 등 작은 버그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리눅스에서 처음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함
KDE로의 전환 배경
- 처음엔 게임용 PC에 KDE를 사용하기 시작. NixOS와 Jovian을 사용하며 Sway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
- 하지만 아내가 게임 외의 용도로 PC를 사용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이 필요했음
- 이전에 사용하던 Sway 방식은 직관성이 떨어져 대중적인 사용에 적합하지 않음
- KDE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Linux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해 이 문제를 해결함
KDE의 기능 완성도
- KDE를 사용하면서 점점 기능성과 완성도에 감탄하게 되었음
- 네트워크 애플릿은 채널, 신호 강도, 주파수, MAC 주소, BSSID 등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QR 코드를 통해 Wi-Fi 설정을 간편히 공유 가능
- 스크린샷 도구는 자르기와 블러 기능을 포함하며, 이전 설정을 기억해 반복 작업을 간소화
- Window Rules 설정은 Steam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창의 포커스 문제를 해결하며, 창 동작을 세밀히 조정 가능
- Flatpak 애플리케이션의 권한은 시스템 설정에서 쉽게 관리 가능
- Info Center를 통해 SMART 상태 등 하드웨어 정보를 즉시 확인 가능
- 화면 잠금 방지 기능은 버튼 하나로 설정 가능하며, Windows나 macOS에서는 별도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했던 기능
성능과 사용자 경험
- KDE는 충분히 풍부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체감적으로도 매우 빠른 사용자 경험을 선사함
- 동일 하드웨어에서 Windows 11보다 빠르며, 특히 시스템 설정 열기 속도가 즉각적
- MacBook Pro M2 Pro의 macOS와 비교해도 KDE가 더 민첩한 반응성을 제공
- Sway와 비교했을 때 애니메이션 사용 외에는 큰 차이 없음
- 애니메이션은 비활성화 가능하지만, 적응 후엔 만족함
KDE의 단점
- 첫 실행 시 TV를 주요 디스플레이로 인식해 태스크바가 모니터에 표시되지 않는 문제 발생
- TV를 비활성화해도 태스크바가 자동 복구되지 않아 수동 추가 필요
- 기타 사소한 문제들이 있었으나, 세부 사항은 기억나지 않음
결론
- 그동안 많은 Linux 데스크톱 환경을 써왔지만 KDE가 가장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한다고 평가
- KDE 개발자들에게 찬사를 보낼 만큼 완성도 높은 환경임
요새 HiDPI 환경이 늘어나고 있는데, KDE 는 DPI 에 따른 UI 일관성이 부족해서 Gnome 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제가 DPI 를 변경 할 일이 많은 건 아니지만, 다른 DPI 를 기준으로 개발 된 앱이 제 환경의 DPI 에서는 타이포그래피적인 여백, 정렬, 크기등이 크게 어긋나보입니다. 원 글 저자의 스크린샷들도 그게 많이 눈에 띄구요.
직장에서는 Cinnamon, 집에서는 KDE 쓰고 있습니다 (I use Arch, btw ;) ) 그 직전에는 GNOME 쓰다가 갈수록 커스터마이징이 불편해지니 지가 맥인줄 아나 싶어서 반발심이 들더군요. 그래도 gtk 기반 DE로 갈랬는데 웬일인지 죄다 작동이 잘 안돼서 15년 리눅스 인생 처음으로 Qt 기반으로 옮겨 봤는데, 꽤나 만족하며 사용 중입니다.
컴퓨터 새로 사면서 bazzite (https://bazzite.gg/) 를 사용 중이고, KDE 기반으로 구성했습니다.
리눅스, 맥, 윈도를 각각 꽤 오래 사용했지만 이젠 정말 불편한게 거의 없어요.
- 없다고는 못하는게, exe 설치 요구하는 금융사, 안티치트 프로그램이 윈도 기반으로 작성된 게임들은 리눅스에서 도저히 안되더라고요.
금융은 폰에서, 게임은 그다지 많이 안 하니까... 예전에야 스마트폰이 없어 PC 로 모든걸 해야 했지만 대안 기기가 있는 상태에서 비교해보면 리눅스 데스크탑이 얼마나 편리한지 일반적인 웹 서핑과 싱글 게임 플레이는 bazzite 에서만 하고, 윈도 부팅할 일이 없습니다.
맥미니와 맥북도 있지만 데탑 용도로는 이제 안 쓰고 있습니다.
Hacker News 의견
-
KDE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점 중 하나는 메인 메뉴가 여전히 있다는 점임. 예를 들어 파일 관리자인 Dolphin 등 많은 앱에서 메뉴 표시 옵션이 제공됨. Gnome은 햄버거 메뉴나 열기 버튼 도입이 굉장히 일관성이 없는데, KDE는 예전의 메뉴 바 방식을 고수함. 이런 점에서 MacOS와 비슷함(참고로 Mac 사용자가 아니면 메인 메뉴의 보편성을 잘 모를 수도 있는데, 앱 스크린샷에는 이 메뉴가 잘려있는 경우가 많음). 예시 스크린샷
-
이제 KDE가 최신 macOS보다 더 멋지고, 더 전문적이고, 더 일관성 있는 세상에 살고 있음. 어떻게 그렇게 된지 모르겠고, 사실 KDE가 엄청 세련되어 보인다고 생각하지도 않지만, 어쨌든 이런 상황에 이르렀음. 수 년 동안 KDE는 대대적인 재설계를 하기보다 마감, 버그 수정과 '있으면 좋은' 개선사항에 집중해왔고, 그 결실을 보고 있다는 생각임.
- KDE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스크탑 환경임. 그리고 '모바일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음. 2010년대 어딘가에서 데스크탑 UI가 엉망이 된 이유가 뭔지 늘 생각해왔는데, 게으름이나 탐욕 때문이라고 하고 싶지 않았음. 모두가 태곳적부터 게으르고 탐욕스러웠으니, 뭔가 다른 이유가 있을 것임. 결론적으로 모바일이 그 답이라고 생각함. UI 디자이너들이 정말 쉽지 않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문제에 직면해 있음. 요즘 거의 모든 앱이 데스크탑과 모바일을 동시에 지원해야 하고, 사용자가 변형된 버전에서 모든 걸 새로 배우지 않게 어느 정도 일관성도 필요함. 하지만 모바일 플랫폼은 작은 터치스크린, 데스크탑은 큰 화면, 키보드, 마우스라 완전히 다름. 여기에 브라우저도 같이 지원해야 하니 네이티브 데스크탑, 네이티브 모바일, 브라우저 데스크탑, 브라우저 모바일까지 추가됨. 비용, 브랜드 정체성, 'UI를 고치지 않으면 아무 것도 바뀐 게 아니다' 같은 상업적 고려까지 겹치면, 모든 걸 브라우저에서 돌리고 데스크탑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인터페이스+알파가 되어버리는 현상이 생김.
- KDE의 사용성은 KDE 5 개발 주기에 Visual Design Group(VDG)이 출범하면서 진짜 크게 개선되기 시작했음. Jens Reuterberg가 주도해서 디자이너-개발자 협력이 아주 멋진 결과를 빠르게 만들어냈고, 그 결과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음. VDG는 데스크탑 자체뿐 아니라 이전엔 디자이너 손길이 닿지 않았던 KDE 애플리케이션 디자인도 맡고 있음. 나 역시 KDE를 오래 써왔고, 4.0 시절의 문제도 겪었지만, 예전 스크린샷을 보면 이 변화가 얼마나 큰지 단번에 알 수 있음.
- 18년 전 4.x 사태 때문에 KDE가 이런 식으로 보수적으로 바뀌었다고 봄. 3.x 때는 유저도 많고 잘 나갔지만, 4.x로 바뀌면서 문제가 많았음. 그래도 4.x 후반부에 가서는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돼 쓸 만했음. 그 뒤로 보수적인 발전 노선을 택했고, Plasma(5.x) 이후로는 치명적인 후퇴나 미스피처 없이 10년 넘게 '마감'에 집중함. 'Window Rules' 기능도 유용한데, 게임 개발할 때 매번 특정 위치에 창이 나타나게 지정할 수 있어서 정말 잘 쓰고 있음. 이런 기능이 KDE에선 기본인데, 다른 곳에선 불필요하다고 여겨짐.
- UI에서 큰 변화 자체가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함. 사람들은 새로움을 좋아하긴 하지만 실제로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절대적인 완성도보다 친숙함과 일관성이 더 중요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때문에 매번 버튼, 설정 위치를 다시 찾는 데 시간을 쓰는 건 정말 낭비임. 이번 주말에 gnome에서 KDE로 옮길까 고민 중임. 꽤 좋아 보임.
- 첫 번째 스크린샷만 봐도 모든 게 어긋나 있고, 시각적 일관성이 없음. 두 번째 스크린샷은 더 심함. macOS보다 낫진 않지만, 현대 Windows나 GNOME보다는 확실히 나음.
-
KDE에 만족하는 사람 명단에 나도 추가해줬으면 함. 지난 15년 동안 거의 모든 데스크탑 환경을 써봤는데, 예전엔 KDE가 촌스러워 보여 섣불리 제외시킨 적도 있음. 그런데 Plasma 6가 나오고 나서 써보니, 단번에 내 최애 리눅스 환경이 되었음. gnome에서 넘어온 건데, 그동안 gnome에서 쓰던 여러 확장 기능들이 KDE에는 기본 내장되어 있어 놀라웠음(도크, 클립보드 매니저, KWin 스크립트, 타일링/펜시존, 애니메이션 설정 등). 블로그 작성자의 말에 전적으로 공감함. 참고로, 많은 gnome 확장은 업그레이드 때마다 깨지거나 자주 다운됐는데, KDE는 지난 9개월간 정말 안정적이었음. 그럼에도 gnome 쪽이 미적으로 좀 더 예쁘긴 하지만, KDE는 내게 훨씬 더 높은 사용성을 선사함.
- gnome에서 KDE로 DE뿐 아니라 배포판까지 바꿔봤는데, 초반 커스터마이즈와 다듬는 데 걸리는 시간이 gnome/xFCE에 비해 확연히 짧았음. 평범한 데스크탑 워크플로우를 쓰려면 gnome에선 오히려 확장 설치, 패치 등 여러 작업이 필요했음. gnome이 유일하게 만족스러웠던 건 노트북에서였는데, 그조차도 순정 버전은 확장 없이는 안 됐음. 오랜 기간 돌아보면 gnome 개발팀의 궁극적인 비전이 뭔지 도통 모르겠고, 사용자 중심이 아니라 뭔가 기업용 '수렴' 환경을 꿈꾸는 것 같음. 그리고 gnome 팀이 사용자 피드백에 꽤 적대적이라는 이야기도 종종 들음.
- 집과 직장에서 KDE만 쓰고 있는데, 정말 환상적인 환경임! 예전 스타일의 흔들리는 창, 데스크탑 큐브 등 효과를 쉽게 토글할 수 있는 점도 사소하지만 즐거운 요소임.
- 나도 오래전 Xfce 유저였는데(Gnome/KDE는 사양이 낮은 구형 PC에서 너무 무거웠음), 지금은 KDE가 아직도 '로딩' 스플래시 창이 남아있지만(!) 일단 실행되고 나면 제공되는 기능들이 정말 뛰어남. Plasma뿐 아니라 Krita, Kate, 오피스 스위트 등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완성도도 최고임.
-
gnome에서 막 갈아탔는데,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중임. gnome도 설정이 가능한데 통합성이 떨어진 느낌임. 내 선호가 표준이 아니라서 그런지 버그도 많아 보임. 예를 들어 도크를 왼쪽에 놓고 싶고, 상단바 기능도 전부 도크로 옮기고 도크만이 화면을 차지하며 평소엔 도크가 자동 숨김되길 바람. 단순해 보이지만, 기본 설정만으로는 불가능하고, gnome tweaks(별도 설정 앱), 익스텐션까지 합쳐 세 군데에서 따로 조작해야 겨우 구현 가능함. 결과적으로 복잡함을 숨기면서 더 복잡해지는 셈임. 그나마 구현해도 도크가 줌콜 중에 절반쯤 숨겨놓고, 스크린 잠금 해제하면 예전 상단바 자리의 빈 공간이 잠깐 보이기도 함. KDE에서는 그런 문제를 아직 안겪었음. 런처 아이콘과 앱에 'K'자가 너무 많고 브랜딩도 거슬리지만, 런처 아이콘은 바꿀 수 있고 원하는 앱 쓸 수 있음.
- KDE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높은 커스터마이즈 가능성과 모든 설정이 하나의 UI 툴에서 관리된다는 점임. gnome은 원하는 대로 만들려다 정말 진이 빠졌음.
- 나도 도크 때문에 비슷한 생각을 함. Ubuntu 도크는 내가 원하는 대로 기본 왼쪽에 있고 항상 노출됨(또는 자동숨김). 참고로, 리눅스 도크에서 애플처럼 마우스오버마다 자동 스케일 효과를 못 내는 이유는 애플이 그 효과를 특허로 등록했기 때문임.
- K 자 브랜딩은 초창기 KDE 앱 개발자들의 자부심과 희생의 흔적임. 기존 앱을 K버전으로 갈아만드는 걸 즐겼던 시절임. 그걸 존중하는 의미로 생각하면 괜찮지 않을까 함.
- 익스텐션이 필요한 게 왜 나쁜 일인지 모르겠음. gnome 확장 20개쯤 써봤고, 그중 1/3쯤 계속 씀. 이런 확장성 덕분에 gnome 한 번으로 윈도우XP 스타일, 맥 스타일 도크, i3형 타일링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 물론 모든 커스터마이즈 항목을 코어에서 직접 다 챙기면 더 매끄러운 경험이겠지만, 결국엔 어느 정도는 생태계 외부에 맡기는 게 현실적임. 아니면 애플처럼 UX디자이너가 만든 거의 커스터마이즈 불가 환경이 되는 셈이고, 난 그런 건 원하지 않음. 익스텐션은 현실적인 선택임.
- 나도 솔직히 저런 브랜딩과 아이콘은 취향이 아니지만, UI 전반에서 일관성을 준다는 점에선 의미 있다고 생각함
-
5년 전 기준으로는 gnome이나 맥보다 KDE가 더 못생겼다고 느꼈음. 패딩, 폰트, 색상 등 일관성 문제였음. 요즘은 Niri를 데일리로 쓰는데, 스크롤링 WM의 워크플로우와 텍스트 파일 하나로 모든 설정을 하는 극한의 심플함, 경량성이 정말 나한텐 딱임.
- 5년 전 이후로 분명 많이 나아졌을 거라 생각함! KDE 커뮤니티에서는 매년 커뮤니티 전체 목표를 선출해 팀과 예산까지 따로 운영하는데, 2020/21년쯤 '전반적인 일관성 개선' 목표를 두고 HIG 전면 개편, 컨트롤 라이브러리 정비, 전제품 클린업 등 대대적인 정비가 있었음. 앞으로도 꾸준히 계속될 예정임. 그리고 Union이라는 차세대 테마/디자인 시스템도 준비 중인데, 아주 신중히 진행 중임. 평판 회복이 얼마나 어려운지 체득했기 때문에 릴리즈 퀄리티를 희생하지 않는다는 교훈을 얻음. 이걸 비롯한 연간 업뎃은 플래그십 개발자 행사 피드 등에서 찾아볼 수 있음.
- Kubuntu 랩탑의 KDE Plasma 6는 정말 보기에 멋짐, 고해상도 OLED로 보면 더욱 그렇고(난 주로 맥 유저였음). gnome이 예고 없이 디자인을 이리저리 바꾸는 것에 질려서 넘어온 것도 크고, gnome이 '맥 데스크탑 클론', KDE가 '윈도우 데스크탑 클론'이라했지만 정작 나는 KDE가 훨씬 마음에 듦.
- System76의 Cosmic을 한 번 체크해보길 추천함. 곧 베타가 나오고, 나도 알파와 git main으로 몇 달 써봤는데 굉장히 안정적임. 외관도 끝내주고, 매우 반응성도 뛰어나며, 내 경험상 가장 쉽고 편한 리눅스 데스크탑임. i3/sway에서 벗어나게 만든 타일링 WM 기능도 내장되어 있고, 비전문가도 무리 없이 쓸 수 있는 데스크탑 패러다임임. 관련 링크
- '패딩, 폰트, 색상 불일치'라면... 그건 Mac OS Tahoe 이야기가 아닐까!
- KDE 기본값은 한때 정말 볼품이 없었지만 지금은 많이 나아졌음. 아직도 아쉬운 구석이 있지만, KDE는 사용자 입맛대로 얼마든지 바꿀 수 있음. 그리고 설정 전부를 GUI로 제공해서(gconf 찾으러 안 돌아다녀도 됨) 훨씬 편함. 예전엔 macOS를 더 선호했고 지금도 그렇지만, MacOS Tahoe는 혼란 그 자체라 점점 리눅스 노트북을 더 많이 쓰게 됨. UI 불일치가 거슬리는데, Tahoe도 마찬가지라 어차피 감수해야 한다면 차라리 리눅스를 쓰겠음.
-
리눅스 데일리 드라이버로는 몇 년간 써본 적 없지만, KDE가 지금도 이렇게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정말 멋짐. 내장 브라우저 Konqueror가 1999년쯤 KHTML 렌더링 엔진을 세상에 처음 내놨고, 이게 포크되어 WebKit이 됨. 지금은 WebKit 기반이 웬만한 웹뷰의 90% 가까이를 차지함. 정말 대단한 일임!
- 왜 리눅스를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궁금함
-
나에게 KDE는 정말 놀라울 정도로 훌륭함. 매우 완성도 높은 패키지로, 쿼ick 런처, 스크린샷 툴, 창 관리 기능 등 다 좋음. libinput gestures과 묶으면 macOS처럼 터치패드 3손가락 데스크탑 스와이프까지 지원되고, 스와이프하는 도중 애니메이션이 일시정지되는 등 경험이 뛰어남. 노트북에서 생산성이 크게 올라감. 하단 바 아이콘 관리나 커스터마이징, 설정 패널의 명확성 등 모든 게 매끄럽게 다듬어져 있음. KDE Connect 덕분에 연동도 완벽하게 이뤄짐. KDE는 진정한 소프트웨어 파워하우스임
-
이런 칭찬글을 자주 보지만 솔직히 내 경험과는 상당히 다름. KDE에서 다른 데스크탑 환경에 비해 버그를 훨씬 자주 겪었음. 예를 들자면 이 버그 때문에 KDE를 사용할 수조차 없었고(아직 X11에서는 남아있는 듯함, 지금은 Wayland로 넘어감), Exposé도 창 전체가 사라지는 버그를 늘 겪음.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밖에 해결방법이 없음. 여러 배포판에서 겪었고, gnome은 밋밋하지만 일관적으로 잘 동작함.
- 동일한 문제로 나도 KDE 대신 gnome을 사용 중임. KDE Neon, Kubuntu, Fedora KDE 등 웬만한 KDE 계열 배포판은 다 써봤는데, 설치 하루 만에 망가지는 일이 잦았음. 대부분 SDDM 문제가 컸음. 바꾸는 게 낫겠지만, gnome이 워낙 잘 돌아서 굳이 손댈 필요를 못 느낌.
- Wayland를 사용하고 싶었지만, NVIDIA든 AMD든 표시 오류로 창이 전부 까맣게 나오는 문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X11을 쓰는 중임. 이상하게도 Wayland+Intel 사용 시엔 이런 현상이 없었음
-
몇 년간 KDE를 개인 데일리로 써왔음. 직장에서는 MacOS를 써야 하는데 굉장히 다운그레이드된다는 느낌임. 거의 모든 면에서 KDE가 쉽고 직관적임. 내가 써본 데스크탑 중 단연 최고임.
- '심각한 다운그레이드'라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점을 말하는지 궁금함. 요즘 주요 데스크탑 환경 모두 충분히 쓸 만하고, 95%는 어플 실행과 창 이동/리사이즈 작업인데, 이건 다 비슷해 보임.
- 아쉽게도 애플 소프트웨어 대부분이 예전보다 버그투성이 되거나, 마치 Playskool이 디자인한 듯 단순화돼서 활용성이 심하게 떨어짐
-
gnome의 단순함과 데스크탑 은유를 선호하는 편이지만 지금은 niri를 주로 씀. 그래도 KDE는 정말 뛰어남. 빠르고, 예쁘고, 커스터마이즈 쉽고, 쓰는 재미가 있음. 다만 옵션이 너무 많고, 이 모든 게 항상 UI에 드러나 있는 점은 내 성향상 마음이 불편해짐. 굳이 옵션을 만지고 싶은 충동을 못 참고 그런 게 아니라, 옵션이 늘 보인다는 사실 자체가 불안감을 느낌. (몇몇 간격 문제도 거슬리긴 한데, 뭐 참을 만함) 그래도 차이는 미미하고, KDE가 내 아이 컴퓨터에 깔려 있는데 나도 종종 무리 없이 써서 만족함.
- '이런 UI를 써도 감정지적 패닉 없이 사용할 수 있다'라는 문구가 패키지 겉면에 들어가면 정말 최고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