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y Crocker가 상자 크기를 줄여 레시피를 망쳤음
(cubbyathome.com)- 미국에서 오랫동안 애용되던 Betty Crocker 박스 케이크 믹스가 최근 몇 년 사이 용량이 지속적으로 축소됨
- 원래 18.25온스였던 제품은 현재 13.25온스로 줄어들어, 이는 27% 축소이자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 사례로 지적됨
- 이 변화로 인해 수십 년간 이어져 온 가족 전통 레시피들이 더 이상 동일한 결과를 내지 못해, 특히 초콜릿 크링클 쿠키 같은 인기 간식이 망가짐
- 소비자들은 단순한 용량 축소뿐만 아니라, 일부는 믹스 속 발효제 성분 비율까지 바뀌었다고 지적하며 결과물이 달라졌다고 불만 제기함
- 제과제빵은 정밀한 과학이라는 점에서, 이번 변화는 세대를 이어온 가정의 레시피와 추억을 무너뜨리는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70년 동안 사랑받아온 박스 믹스, 이제 할머니들이 외면하는 이유
- Betty Crocker 케이크 믹스는 수십 년간 미국 가정에서 사랑받아온 제품임
- 초기 용량은 18.25온스였으나, 지난해 15.25온스 → 13.25온스로 줄어듦
- 이는 단순히 적은 케이크 양이 아니라, 오랜 기간 유지되어온 가정 레시피의 실패로 이어짐
전통 레시피의 붕괴
- 예시: Judith라는 할머니의 초콜릿 크링클 쿠키 레시피
- 원래는 믹스 한 박스 + 달걀 2개 + 오일 ⅓컵으로 24개 쿠키 완성
- 현재는 20개 미완성 쿠키로 결과물이 크게 떨어짐
- Judith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레시피”라고 표현하며 좌절감을 드러냄
- 이 레시피는 15년 이상 지역 포틀럭 모임과 행사에서 상징적 존재였음
슈링크플레이션의 영향
- 원래 용량 대비 27% 감소는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 사례로 분석됨
- 소비자들이 더 많은 양을 구매해 보완할 수 있지만, 원칙 문제 때문에 반발하는 경우가 많음
- 단순히 양의 문제가 아니라 결과물의 질까지 변해 레시피 전체가 붕괴됨
소비자 반응과 불신
- Reddit 등 커뮤니티에서는 성분 변화 의혹도 제기됨
- 특히 발효제 비율 조정으로 오븐에서 부풀었다가 식으면서 줄어드는 현상 보고됨
- Betty Crocker 측은 성분 변경 여부에 대해 아직 공식 답변 없음
전통과 과학의 충돌
- 제과제빵은 정밀한 측정과 일관성이 필수적인 분야임
- 이번 변화는 단순한 가격 인상이 아니라 세대를 이어온 가정의 전통과 추억을 무너뜨리는 사건으로 인식됨
- 일부는 새로운 레시피를 공유하며 대안을 찾고 있지만, 상실감이 강하게 남아 있음
Hacker News 의견
-
한 10년 전부터 가족 전통 레시피를 'from scratch' 버전으로 표준화하려고 결심했음, 어머니는 매우 불만족했음. 레시피를 정리하면서 옛날 방식과 기술도 연구했고, 복사·전달 중에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았음.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 단백질·탄수화물 양, 밀가루의 분쇄 크기 등도 표준화해서 MKS 단위로 명확히 기록했음(가급적 부피보단 질량 기준 선호). 어머니가 레시피가 달라진 것에 화가 나지만, 30년대 이후 박스·캔 재료를 쓰는 레시피는 수축 인플레이션에도 강점이 있음. 대신 박스 레시피에 들어가는 첨단 화학 기술은 집에서 재현하기 어렵지만, 재현성을 위해서는 작은 희생이라고 생각함. 케이크나 쿠키처럼 세대마다 손봐야 하는 레시피엔 사용자들이 재료가 변했을 때 점검할 수 있는 노트를 덧붙였음. 재료는 시간이 지나면 바뀔 수밖에 없음. 일부는 단종되고, 일부는 품종 자체가 달라져 맛이 달라짐(예: 바나나 맛은 60년 전과 다름, Gros Michel 품종이 사라져 isoamyl acetate 함량 차이 영향). 가끔 옛 품종 바나나를 맛볼 기회가 있지만, 파나마병 때문에 더 이상 상업적으로 유통되진 않음
-
어머니가 레시피가 달라진 것에 속상해하는 이유를 이해함. 우리 엄마처럼 레시피를 가족과 조부모와의 연결고리처럼 소중하게 여길 수 있음. 글씨체, 옛날 인덱스 카드, 어릴 적 기억나는 접시와 같은 레시피의 물리적 역사가 더 중요함. 할머니가 영어로 쓴 손글씨 레시피는 아직도 할머니 목소리로 읽히는 느낌. 나는 프리사이즈가 굳이 필요 없는 요리엔 머릿속으로 레시피 업데이트를 하고 있음. 레시피를 문서화할 때 최소한 원본 사진이나 복사본을 함께 남기는 걸 추천함. 내가 가진 전문 요리책도 오리지널 저널 일부와 현대적인 해설이 같이 실려 있음. 이렇게 역사와 요리를 모두 지킬 수 있음
-
가족 레시피 변형은 단순한 데이터 오류가 아니라 오랜 세월 입맛으로 인정받은 생명력 있는 문화 유산임. 마치 버전 컨트롤에서 무작위 커밋을 남긴 뒤 "에러 수정"이라고 적는 셈임. 어머니가 레포지터리 접근권을 회수하지 않은 것이 신기할 지경임 :) 해커답게, 표준화된 레시피는 별도 브랜치처럼 따로 관리해서 스스로 재현하는 걸 추천함. 어머니는 필요하면 메인 브랜치에 머지할 수 있으니, 각자 방식대로 요리와 추억을 간직할 수 있음
-
나도 가족 레시피를 디지털화하면서 정확한 용량이 명확하지 않은 "1 캔", "1 바" 같은 표현과 많이 씨름했음. 어떤 재료는 더 이상 그런 단위로 판매하지 않거나 크기가 바뀐 경우도 많음. 예를 들어 캔디 바 파운드 케이크용 "1 can of Hershey’s syrup"은 실제로는 어떤 크기인지, 심지어 "1 Hershey’s bar"가 표준 사이즈가 언제 어떻게 바뀌었는지 모름. 다행히 어머니가 정확한 수치를 기억해줘서 정리할 수 있었음. 가족 레시피를 정확한 단위로 적어두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됨. 다음 목표는 모든 단위를 되도록 질량 기준으로 전환하는 작업임. 주방 저울로 재는 것이 컵 단위로 포장 압축 상태를 고민하는 것보다 훨씬 정확하고 쉽음
-
Astral Codex Ten - Your review: My Father's Instant Mashed Potato Recipe: 단일 표준 버전으로 레시피를 통일하지 않을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를 소개함
-
이 레시피 표준화 작업을 어디엔가 공개하면 좋겠음.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 것이고, Netflix에서 미니 시리즈로 나와도 볼 의향이 있음
-
-
내가 shrinkflation에서 제일 싫은 점은 그 음흉함임. 쿠키 박스 안쪽을 움푹하게 만들어 쿠키 한 개를 빠뜨리는 수법에 속는 느낌, 정말 기분 나쁨. 그런데 만약 할머니의 비법 레시피가 산업용 케이크 믹스라면, 과연 '비밀 레시피'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음. 대개 밀가루, 이스트, 초콜릿 혹은 설탕 조합이니까 손쉽게 복구할 수 있을 것 같음
-
집에서 산업용 케이크 믹스를 재현하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음. 제빵사로 일해본 경험에 따르면, 베이커리에서는 집에 없는 다양한 재료(각종 검질, 전분, 덱스트린, 글리세라이드, 계면활성제, 캡슐화 향료, 정교한 팽창제 비율 등)를 씀. 박스 믹스에 표기된 'modified food starch'도 실제로는 여러 가지가 있고, 용도도 천차만별임(겔화, 점도 조절, 묽게 등). 이런 이유로 집에서 똑같이 따라 하려다가 오히려 '박스 안의 화학'을 이길 수 없고, 오히려 분자 미식 분야처럼 되어버림
-
케이크 믹스의 장점을 잘 모르겠음. 나는 정기적으로 케이크를 굽는 사람은 아니지만, 만들 때는 항상 집에 있는 기본 재료(밀가루, 설탕, 팽창제, 코코아가루 등)로 직접 만듦. 건식 재료 혼합하는 데 5분이면 충분하고 모두 싸게 구할 수 있음
-
박스 믹스를 표준 단위로 삼는 게 실용적임. 레시피에 '케이크 믹스 1상자'라고 적혀 있으면 남는 믹스 1/10 상자를 보관할 이유 없이 편리함. 바로 쓰기 좋음
-
-
"완벽한 쿠키" 레시피가 박스 케이크 믹스, 달걀 2개, 중성 오일 1/3컵이라는 게, 마치 Friends 시트콤에서 Phoebe가 할머니의 비밀 쿠키 레시피가 사실 Nestle Tollhouse 패키지 레시피였던 에피소드를 떠올리게 함(Friends 에피소드 링크)
-
미국 문화에서 꽤 독특한 현상임. 특정 용도가 아닌, 그냥 시판 믹스를 베이스로 여러 레시피에 사용하는 행위. 레시피에 들어가는 건 사실 밀가루, 코코아 파우더, 베이킹파우더, 소금이 미리 혼합된 거에 불필요한 첨가물이 섞였을 뿐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재료를 각각 사서 쓰는 게 훨씬 저렴하고 간단하다는 점을 잘 모름
-
가장 큰 문제는 달걀 수가 정수 단위라 박스 30% 크기를 줄였을 때 재현이 어려움. 달걀 크기는 등급이 있지만 구체적인 사이즈를 다 따지는 사람은 거의 없음. 심지어 완벽히 맞춰도 조리 시간과 온도가 미세하게 달라짐
-
예전부터 가끔 궁금했던 점인데, 모두가 같은 초콜릿칩 가방 레시피를 따라해도 집마다 쿠키 맛이 조금씩 다름. 우리 집 쿠키는 항상 일관성이 있었지만, 다른 집이나 행사에서 맛보면 또다른 차이가 있음. 이게 누군가와의 차별점이자 재미였음
-
기사에서 직접 찾진 못했지만, 이런 식의 레시피 흔적은 실제로 아주 흔함. 예를 들어 greenbean 캐서롤이라는 요리는 Campbell 사의 카피라이터가 만든 레시피임
-
만약 이런 레시피의 기원이 실은 Betty Crocker 마케팅부라면, 이런 방식으로 기존 노하우를 없애는 건 꽤 허무한 일임. 상품을 바꾸기 전에 실제 고객들의 사용 패턴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게 정말 중요함
-
-
이 기사 내용이 내 얘기 같음! 우리 엄마는 수십 년간 브라우니로 유명했고, 그 레시피도 박스 제품(Betty Crocker)임을 항상 밝힘. 몇 년 전 박스 레시피가 바뀐 걸 눈치챘는데, 다행히 옛날 박스가 남아서 자세히 계량 비교를 했고, 제조사에도 문의함. 그 결과 믹스 자체는 그대로고, 단지 양만 줄었음을 알게 됨. 그래서 옛날 용량 단위에 맞춰 따로 계량하고, 남은 분량은 따로 보관해뒀음. 박스 자체는 계속 바뀌지만, 안의 가루는 사실상 동일하니, 옛날 레시피만 유지하면 예전과 똑같이 재현할 수 있음. 지금 우리 집의 "비밀 레시피"는 옛 박스 뒷면 방식 그 자체임
브라우니 믹스 (Betty Crocker) 3와 3/4컵 달걀 2개 물 1/4컵 식용유 1/3컵 동봉된 Hershey's 시럽 패킷
13x9 팬: 350°에서 28-30분, 9x9 팬: 35-40분, 8x8 팬: 325°에서 50-55분.<br> 리디자인 이후 박스 용량이 3컵으로 줄었고, 레시피엔 달걀이 2개에서 1개로, 물·기름 양 등도 달라졌음
-
브랜드 박스 크기를 줄이면 장기적으로 엄청난 딜레마임. "1박스"라는 단위는 레시피와 마케팅 모두에 최적화된 금과옥조임. 수많은 레시피가 "자사 케이크 믹스 1개" 기준인데, 이렇게 갑자기 용량을 바꾸면 소비자가 레시피를 사용할 수 없게 됨.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충성까지 잃고, 당장 몇 센트 아끼다가 고객 신뢰까지 날아감
-
요즘 장보면 다 거인이라도 된 느낌임. 10온스 시리얼 한 박스가 고작 두 그릇 용량임. 실질 가격을 공개하고, 용량은 유지하면 좋겠음
-
소비자도 가격 변동에 민감하지만, shrinkflation에는 훨씬 큰 반감을 가짐. 가격 인상은 이해할 수 있지만, 몰래 용량을 줄이는 건 신뢰를 깨뜨리는 행위임. 이런 브랜드는 진짜 위험한 줄 타기 중임
-
수량 축소보다 각각의 개별 제품이 작아지는 게 더 짜증남(둘 다 나쁘긴 함). 옛날보다 훨씬 작아진 Totino’s pizza rolls처럼, 가끔은 유년기의 추억이나 위로로 사서 먹는데 사이즈까지 바뀌면 괜히 더 아쉬움
-
가격 인상보다 용량 축소가 더 매력적인 유인책임. 민감한 소비자는 같은 가격이라도 용량 줄인 쪽을 선택하게 되고, 단위 가격으론 별 차이가 없어도 실제로는 브랜드마다 저울질이 시작됨
-
미국에서는 저가 시리얼이 요즘 품질도 좋아지고 대용량으로 나오기 시작함. 예전엔 Cinnamon Toast Crunch 카피도 어설펐지만, 요즘엔 싸고 맛있게 복제 제품이 나옴. 내가 사먹는 제품은 대놓고 Cinnamon Crunch라는 이름임
-
유럽의 슈퍼마켓은 가격표에 1kg 단위 가격이나 표준 단위 가격을 반드시 표기하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음
-
-
미국 밖 독자를 위해 설명하자면, 이런 현상은 2차 세계대전과 관련 있음. 전쟁 시기 배급받던 세대는 박스 믹스가 설탕보다 더 구하기 쉬웠고, 보관도 편해서 레시피 대부분이 '집에 있는 걸로 만들 수 있는' 기준으로 맞춰져 있음. 무엇보다 박스 케이크 믹스는 본질적으로 화학의 집약체이고, 단순한 셀프 라이징 밀가루와도 큰 차이가 있음
-
케이크 믹스 박스에 처음엔 달걀이 필요하지 않았다고 들었음. 그런데 당시 주부들은 이게 너무 간단해서 오히려 무언가 한 역할을 못 한 듯해 싫어했다고 함. 그래서 일부러 신선한 재료(달걀 등)를 직접 추가하도록 레시피 구성을 바꿨더니 대히트였음. 관련 유튜브 영상
-
셀프 라이징 밀가루 개념을 건너뛴 듯함! 아마 미국만의 재료일 것 같음(내 나라에는 없음). 우린 뭐든 올퍼퍼스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 혹은 이스트를 별도로 써야 해서, 하나만 보관하면 공간도 적게 차지하고 낭비도 줄어듦
-
-
이 문제는 미국에 매우 특화된 현상처럼 느껴짐. 내가 자란 곳의 레시피는 제3자 포장 단위나 프리믹스에 맞춘 적이 한 번도 없음. 색다른 경험임
-
Neal Stephenson의 소설 Reamde에서 이런 현상을 "recombinant cuisine"(재조합 요리)라고 부르고, 미국 중서부 특유의 것이라고 했었음. 지역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정말 미국식 문화임
-
대체로 이런 일이 문제는 없지만, 드물게 영향을 받는 레시피도 있음. 예를 들어 통조림이 필요한 레시피들은 "15온스(425g) 다진 토마토" 기준인데, shrinkflation 때문에 지금은 12.5온스(350g)로 변화. 이제 아예 15온스 캔을 구할 수 없음. 꽤 답답한 상황임
-
90년대에 독일에 갈 때마다 현지 친구가 브라우니 믹스를 부탁했었음. 미국 믹스맛이 현지 제품보다 월등히 낫다고 여겨졌음
-
"제3자 포장 단위 기반이 아닌 레시피"라고 해도, 실제로는 편의성 높은 측정법이 그 나라 단위로 표준화된 경험일 수도 있음
-
-
스레드 내 대부분 사람들이 실제로 케이크를 만들어 본 적 없이, 박스 믹스가 단순히 계량된 밀가루, 베이킹소다, 설탕만 담겨 있다 생각하는 것 같음
-
케이크는 인류 역사만큼 오래된 음식이고, 나도 해마다 몇 번이고 직접 만들어 먹음. 건식 재료는 대체로 밀가루, 설탕, 팽창제임. 실력 차이는 주로 베이킹 테크닉에서 나오고, 재료 혼합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음
-
기본 케이크는 정말 간단함. 파운드케이크(버터 케이크)는 계란, 버터, 밀가루, 설탕을 동량에 베이킹파우더만 약간 넣으면 됨. 그리고 박스 믹스는 국가별로 천차만별임. 미국에서만 쓰는 제품이라 전 세계 90%에서는 구할 수도 없음
-
케이크는 따라만 하면 정말 간단함. 빵이 훨씬 더 어려움(반죽과 성형에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 케이크는 재료 섞고 붓기만 하면 되니까, 실패할 일이 적음. 변수가 있다면 밀가루 품질 정도인데, 지역마다 레시피가 다르게 나올 순 있어도 빵에 비하면 훨씬 관용성이 큼
-
-
나는 패스트리류를 시판 믹스로 만들고 싶은 유혹 자체를 느낀 적 없음. 이미 현대인의 식사가 너무 가공식품에 치우쳤는데, 패스트리는 오히려 정성을 들여 제대로 만든 음식을 즐기는 소확행임. 고급 요리사도 충분히 좋은 재료만으로도 멋진 디저트를 만들 수 있으므로 괜한 첨가물이나 화학성분 필요 없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