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 by GN⁺ 2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KDE 프로젝트가 자체 리눅스 배포판인 KDE Linux의 알파 버전을 공개했음
  • Arch Linux 기반의 불변(immutable) 구조를 채택했으며, 패키지 설치 대신 FlatpakKDE Builder를 이용하는 방식
  • Wayland 전용이며, X.org 지원 및 BIOS 기반 시스템 지원은 계획이 없음
  • 시스템 이미지는 EROFS를 사용하여 원자적 업데이트 및 롤백 기능을 제공함
  • 향후 세 가지 에디션 제공 및 보안 업데이트, 패키지 관리 등에서 기존 배포판과 차별화됨

KDE, 자체 리눅스 배포판 알파 공개

개요 및 발표

  • KDE 프로젝트는 Akademy 2025에서 KDE Linux라는 자체 리눅스 배포판의 알파 버전을 공개함
  • 이 배포판은 "KDE의 모든 기술을 가장 진보적으로 구현한 최고의 결과물"을 목표로 하며, 가정용, 기업용, OEM 설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확장 가능성을 추구함
  • 현재 초기 개발 단계로 미완성 기능과 거친 부분이 많으며, 완성된 리눅스 데스크톱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실험판의 성격임

개발 동기와 배경

  • KDE Linux 개발에는 Harald Sitter를 비롯해 다수의 KDE 주요 기여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기존 KDE neon은 Ubuntu LTS 기반이라 오래된 기술과 불필요한 패키징 작업, 지나치게 커스텀된 빌드 프로세스 문제 등으로 한계에 도달했다고 언급함
  • KDE Linux는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최신 기술 활용 가능성과 배포, 운영의 자유도를 높이려는 목적임
  • 주요 목적은 KDE 소프트웨어 공급 방식을 스스로 관리하려는 것이며, 기존의 Linux Mint, ElementaryOS와 같이 데스크톱 환경 진영이 자체 운영체제를 갖는 자연스러운 흐름과 맥락을 공유함

아키텍처와 기술적 특징

  • Arch Linux 패키지를 기본 OS로 사용하지만, KDE Builder로 소스 빌드하거나 Flatpak으로 앱 관리함. Pacman은 제공하지 않음
  • X.org 세션을 지원하지 않고, Wayland만 사용하며, 구형 NVIDIA 카드 등 일부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수동 설정 필요함
  • UEFI 시스템만 지원하며, BIOS-only 시스템 지원 계획 없음
  • 루트 파일시스템(/)은 가변 Btrfs 볼륨, /usr는 EROFS 기반의 읽기 전용 볼륨을 사용하여 원자적 업그레이드와 손쉬운 롤백 구조 구현
  • 시스템 업데이트는 Discover 또는 CLI에서 updatectl을 이용하며, EROFS 파일을 최대 5개까지 캐싱해 손쉬운 버전 롤백 가능

패키지와 사용자 경험

  • 사용자는 기본 시스템에 직접 패키지를 설치할 수 없으며, Flatpak 또는 Snap(Discover 통합은 미지원), 그리고 Distrobox(컨테이너 내 타 배포판 앱 설치 및 통합)만 지원함
  • Podman 세팅 등 알파 단계의 버그가 존재하나, 점차 개선 예정임
  • 기본 포함 소프트웨어는 Gwenview, Okular, Haruna, Kate, Konsole, Firefox 등이며, Bash, curl, Linux 6.16.5, GCC 등 필수 CLI 도구들이 탑재됨
  • Emacs, tmux, pip, Fish 등 일부 유용한 유틸리티 부재

커스텀 이미지와 관리

  • 시스템 기본 패키지는 사용자가 직접 수정 불가. 단, 프로젝트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mkosi 도구와 관련 설정 파일로 커스텀 이미지 제작 가능

에디션 및 향후 로드맵

  • 장기적으로 Testing, Enthusiast, Stable 세 가지 에디션을 제공할 계획임
    • Testing은 개발/QA 용도로 Git에서 매일 빌드됨 (현재 배포 중)
    • Enthusiast는 베타 및 일반 사용자, Stable은 일정 품질 지표에 도달한 릴리즈 소프트웨어만 포함
  • 베타 출시 전까지 Arch User Repository 사용 탈피, 공식 KDE 인프라로 전환 필요 등 과제가 남아있음

보안, 관리 및 거버넌스

  • 보안 공지 메일링 리스트, 자동 알림 시스템 등은 미제공. 사용자는 Arch의 보안 트래커KDE 보안 권고를 직접 모니터링해야 함
  • 아키 기반의 불변형 시스템 특성상 보안 패치 적용이 지연될 수 있으며, 패키지 관리자가 없어 시스템 설치 소프트웨어 목록 관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음
  • 실질적 거버넌스는 '장로 위원회' 모델을 따르며, 중요한 분쟁은 Sitter가 최종 결정권을 가짐

프로젝트의 향후와 의의

  • 배포판의 직접 개발과 유지보수를 통해 오픈소스 데스크톱 환경의 자체 책임감 및 한계를 경험하고, 왜 전통적인 대형 배포판들이 복잡한 선택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이 존재함
  • 만약 프로젝트가 중단될 경우를 대비해 EOL(서비스 종료) 시 타 배포판으로 자동 전환하는 계획을 마련함
  • 알파 버전 특성상 미흡한 부분이 많으나, KDE가 독자적으로 기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프로젝트
Hacker News 의견
  • KDE Linux는 Arch Linux 패키지를 기반으로 한 immutable(불변) 배포판임을 강조하지만, “Arch 기반 배포판”은 아니라고 함. Pacman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Arch는 베이스 운영체제로만 활용됨. 그래서 Steam이 없는 SteamOS와 비슷한 계열이라는 인상임

    • Linux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해킹성과 다양한 설정 가능성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번 배포판은 이런 부분을 희생하며 대신 아이패드만 쓰지 않는 부모님, 조부모님에게는 적합한 선택일 수도 있을 것 같음. 이런 유저층이 아마 타겟일 것 같음
    • 배포판이 immutable하고 패키지 관리자를 생략하거나 특정 목적(여기서는 KDE의 완성도 보장)으로 미리 설정된다면, 실제로 어떤 베이스를 쓰는지가 크게 의미 없어진다고 생각함
    • SteamOS/Proton과 쉬운 Wine 설정까지 통합해주면 꽤 주목받을 만한 배포판이 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함
    • ChromeOS가 Gentoo를 기반으로 하지만 패키지 관리자를 제공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음
    • Bazzite가 이런 류의 좀 더 범용적인 예시라고도 할 수 있음
  • 모든 것이 Flatpak을 통해 설치된다는 점이 인상적임. Flatpak 기술과 프로젝트 유지 관리가 요즘 어떤지 궁금함. 4개월 전만 해도 Flatpak은 관리 인력이 부족하고, 주요 변경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유지보수 모드에 들어간 상태라는 평이 있었음 관련 링크

    • Flatpak이 꽤 잘 동작한다고 생각함. 배포판 저장소를 우선시하지만, 일부 소프트웨어가 패키지화되지 않아서 Flatpak으로 쉽게 설치해버렸음. 굳이 직접 패키징할 수도 있지만 아직 귀찮아서 안 하고 있음
    • 최근에는 데스크톱에서 오히려 flatpak을 어느 정도 우선시함. 최신 버전 확보, 샌드박스 보안, 설정 및 데이터의 표준 위치 보장 등 장점이 있음. 홈 디렉토리에 사용자 단위로 설치할 수 있어서 OS 재설치할 때 옮기기도 쉬움
    • Debian 13을 설치하며 기본 파티션 크기로 셋업했는데, 두 개의 플랫팩만으로 /var 파티션이 10GB 플랫팩 데이터로 가득 찼음. 기본 파티션 크기가 매우 비효율적이었다고 생각하고, flatpak 자체도 복잡하고 번거로운 부분이 많음
  • KDE Linux는 Wayland만 지원하고 X.org 세션 계획이 없음. 이 말은 Wayland 버그가 다 해결됐다는 뜻일지 궁금함. 예전에는 “이젠 다 고쳐졌다”는 약속을 믿고 써봤다 항상 데였다가, 이번엔 정말 내부적으로 사용(도그푸딩)해서 개선되고 있는지 기대감이 있음

    • Debian stable을 사용하면 소프트웨어가 보안 패치와 가끔 백포트 외에는 몇 년씩 뒤처짐. Wayland, KDE 등은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한 릴리즈에서 깨진 문제도 이후 릴리즈에서는 해결되는 경우가 많음. 예측 가능성과 안정성이 필요한 서버라면 Debian이 좋지만 데스크톱이나 워크스테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함
    • 나도 비슷한 상황이었음. Debian 10, 11에서 Wayland 세션 써보다 하루도 못 버티고, Debian 12에서는 그래도 일주일 정도 사용하다 결국 큰 장애를 만남. 그런데 이번 Debian 13은 출시 이후 픽할 문제도 없이 잘 사용 중임
    • 대부분 문제는 해결된 것 같음. 사람마다 겪는 문제가 다르지만, 난 거의 8년간 Arch나 Fedora에서 Wayland만 사용했고, 문제를 경험하지 않음. 예전엔 X로만 돌아가던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이제는 무엇이었는지조차 기억 나지 않음
    • 배포판 중에서 소프트웨어에 버그가 “전혀 없다”고 약속한 곳은 없었던 것 같음. 나도 Wayland를 좋아하진 않지만, 이미 오랜 기간 많은 사람들이 사용 중임
    • Wayland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게 언제인지 궁금함. 나는 몇 년 전 아무런 정보 없이 KDE Plasma로 전환했는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문제를 겪은 적이 없음
  • 베이스 OS에 포함/허용되는 앱을 배포판이 지정하는 점이 불만임. 플랫팩 버전의 일부 KDE 앱 경험이 별로라서 직접 OS 이미지에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Discover로 다운로드할 경우 Flatpak으로 설치됨. 개발진이 직접 플랫팩 버전도 테스트해봤지만, 사용자 경험이 별로였다고 솔직히 인정함 원문 링크

    • Nathan(품질 보증 담당자)은 알파 및 현 시점의 상황을 얘기하는 것임. 아직 모든 것이 확정된 건 아님. KDE는 Flatpak 프로젝트 기여자이기도 하며, Plasma까지 Flatpak으로 제공하는 실험도 진행 중임. 지금 진행형 이야기이므로 고정관념을 갖지 말라는 조언임
    • 한편, Flatpak이 사용성 면에서 불만족스럽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면서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Flatpak만을 통한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한 점이 아이러니하다고 느낌
    • 이 시스템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용도의 환경으로 보여짐. Silvetblue 등과 유사하게 “사무실 보안 전용” 느낌이 강함
    • 참고로, 여기서 언급하는 Dolphin은 GameCube+Wii 에뮬레이터가 아니라 KDE의 파일 브라우저임
  • 네온(Neon)이 롤링 릴리스여서 쓴 적이 없고, 이 배포판도 immutable이면서 Flatpak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관심이 안 감. 독립형 바이너리나 AppImage에는 불만이 없지만, Flatpak이나 Snaps는 신뢰 못함

    • Arch도 롤링 릴리스 배포판이며(본인들은 “Arch 아님!”이라 주장하지만), Arch는 안정성 면에서 매우 좋지 않다고 생각함. 패키지 호환성 깨짐에 대해 “릴리스 로그를 확인했어야지” 정도로만 안내하고, 깨지는 걸 알면서도 별 경고 없이 배포함. 전문가 수준의 제대로 된 롤링 릴리스 배포판을 원한다면 SUSE Tumbleweed가 더 좋음. 여기선 패키지를 더 철저하게 테스트하며, 문제 있는 변화는 배포하지 않음
    • 엄청 성의 없이 다른 프로젝트를 폄하하는 댓글이 왜 이토록 위에 올라오는지 의문임. 전체적으로 이런 분위기라 놀라움
    • Flatpak이 새로운 systemd 같은 존재가 된 느낌임
    • Neon을 쓸 때 항상 불편함이 심했음
  • 굳이 부정적으로 말하지 않더라도, Neon, ElementaryOS 등 과거에도 비슷한 시도가 여러 번 있었음. 이런 프로젝트는 배포판 개발로 리소스가 분산되고, 오히려 데스크탑 환경 자체의 개선에 힘을 덜 쏟게 됨. GNOME은 Ubuntu나 Fedora를 직접 관리하지 않지만 여전히 리눅스 데스크톱 경험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음

    • 대부분 자원봉사자들이라 서로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 각자 원하는 일을 하면 됨
    • 사실 GNOME도 Fedora Rawhide 기반인 Gnome OS라는 자체 배포판을 운영함. 일단 개발자 레퍼런스 시스템 용도이지만, 일반 사용자에게도 사용할 만한 완성도를 지님
    • Fedora도 GNOME 유지보수자들에게는 부업 같은 존재이며, Neon도 KDE에 그와 비슷함
    • 원문 기사에서 이미 네온 등 자체 배포판의 장단점에 대해 더 깊이 다루고 있음. GNOME과 KDE의 차이점은, 다른 각도에서 보면 Kubuntu/Fedora KDE Spin과 같지 않냐는 질문임
    • GNOME은 GNOME OS를 직접 관리하고 있음
  • MacOS처럼 immutable 베이스에, 각각 패키징된 앱, 그리고 CLI 도구를 위한 brew가 올라가는 구조와 흡사함. 이런 구조면 업무용으로도 꽤 괜찮을 것 같음

  • 난 아직 리눅스 유저는 아니지만, 여기서 말하는 immutable이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지 궁금함. 예를 들어 Elixir나 IDE를 설치도 못 하는지, 커스텀 OS 튜닝에는 관심 없지만 앱 설치가 막혀 있으면 누구를 위한 건지 의문임

    • immutable은 베이스 시스템 자체에서 개별 패키지 업데이트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임. 마치 Docker 이미지처럼 전체 베이스 이미지 업그레이드로만 진행됨.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추가 설치에는 제한이 없지만, 방식을 Flatpak 등으로 제한할 순 있음(Fedora Silverblue처럼)
    • 이 의미는 베이스 OS + 라이브러리층을 건드리지 않고, 필요한 소프트웨어(Elixir나 IDE 등)는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함께 샌드박스 환경에 설치됨. 더 이상 전체 시스템에 직접 설치하지 않음
  • 이번 배포판이 드디어 패키지 관리 문제를 해결했는지 궁금함

    • 그 해답은 ChromeOS 방식임. 패키지 관리자가 없고 시스템에 패키지를 직접 설치, 제거, 업데이트할 수 없음. iOS나 Android처럼 전체 OS 이미지 단위로 업데이트 받음
  • immutable이 ChromeOS처럼 시스템에 직접 패키지 설치가 불가능하고, 별도의 컨테이너 내에서 자유롭게 소프트웨어(GUI 포함)를 설치하는 구조인지 궁금함. 그렇다면, 구형이지만 쓸만한 노트북에 ChromeOS Flex를 대신할 수 있는 좋은 옵션이 뭔지 질문임

    • 그게 바로 immutable이라는 개념임. 리눅스에서는 가끔 atomic이라 부르기도 함
    • 개인적으로 snap과 flatpak 모두 사용 경험이 좋지 않았어서, 이런 방식이 아니라면 좋겠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