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어 알제브라 작은 책
(github.com/the-litte-book-of)- 선형대수 기본 개념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함
- 행렬, 벡터, 선형 변환 등 핵심 주제들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정리함
- 수식보다는 직관적 예시와 설명 위주로 구성함
- 수학 및 컴퓨터 과학 입문자에게 적합한 자료임
- 실질적인 응용 사례도 함께 제시하여 이론과 실습의 연결을 도모함
소개
이 자료는 선형대수의 기본 개념과 주요 원리를 직관적으로 정리한 소책자 형식의 자료임. 복잡한 수식보다는 핵심 아이디어, 기본 용어, 실제 예시에 집중하여, 초보자가 선형대수의 핵심 내용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목적임
주요 내용 구성
- 행렬과 벡터: 선형대수의 기초인 행렬과 벡터의 뜻, 연산 방법, 기하학적 의미를 간단 명료하게 설명함
- 선형 변환: 벡터 공간에서의 선형 변환 개념, 대표 예시 및 실생활 적용 사례를 제시함
- 고유값과 고유벡터: 행렬의 구조와 데이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고유값(eigenvalue), 고유벡터(eigenvector) 개념을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함
- 연립방정식: 실제 문제 해결 시 사용되는 연립선형방정식의 해법과 그 수학적 배경 설명함
- 차원, 랭크, 기저: 벡터 공간의 차원, 기저, 랭크와 같은 기본 용어 정의와 시각적 예시 제공함
특징 및 장점
- 복잡한 이론보다 핵심 개념과 시각적 직관을 우선시함
- 수학, 데이터사이언스, 컴퓨터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실무 시나리오에서 어떻게 선형대수가 쓰이는지 쉽게 연결해줌
- 예비 대학생, 자가 학습자, 초보 개발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입문용 자료임
활용 예시
-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물리적 시스템 모델링 등에서 선형대수 활용에 대한 초간단 안내도 포함함
- 기본 개념을 익힌 뒤, 실제 활용 단계로 나가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음
Hacker News 의견
-
선형대수학은 수학에서 가장 심오하고 흥미로운 분야 중 하나로 거의 모든 수학 분야와 실용적인 양적 분야에 응용됨을 느꼈음
-
하지만 기본적인 벡터, 스칼라, 내적, 행렬, 가우스 소거법 등 기초를 배우는 과정은 매우 지루함을 경험했음
-
특히 행렬 곱셈의 규칙이나 의미도 깊지만 동기로 설명하기 어렵고, 그냥 "이게 원래 그렇다"고 배워야 한다는 점이 힘들었음
-
보통은 기본 정의를 배우고 가우스 소거법까지 나아가는 표준적 방법을 많이 사용하지만, 다중 선형 함수로 부터 시작하거나 실제 응용(회전, 마코프 체인)에서 접근하는 방식을 본 적도 있음
-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도록 만드는 것은 교육적으로 거의 악몽에 가까우며, 어느날 갑자기 모든 것이 연결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림
-
내 경험상 꼭 그래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 먼저 선형변환을 정의하고 시각적으로 번역, 회전, 반사 등 예시로 보여주면서 설명할 수 있음
- 선형변환의 덧셈과 스케일링을 정의하고, 벡터를 R^d로 표현하지 않아도 기하학적 화살표와 평행사변형 규칙만으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함
- 선형변환의 합성과 그 결과 역시 선형변환임을 보여주면서 연산의 구조를 직관적으로 익히게 할 수 있음
- 덧셈과 합성이 실수의 덧셈과 곱셈과 매우 유사하게 동작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행렬 곱셈 규칙을 발견하게끔 유도할 수 있음
- 좌표계나 기저를 도입하면 복잡한 선형변환의 목록 대신 행렬 하나로 표현할 수 있음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됨
-
나는 선형대수 어느 부분도 지루하지 않다고 느꼈고, Ax=b에서 x=b/A로 푸는 순간부터 바로 빠져들었음
- 가우스 소거법은 실질적인 스도쿠 같은 재미가 있어서 즐겼고, 이 방법을 익히고 나서는 학부 선형대수 과정의 2/3 정도를 쉽게 풀 수 있었음
- Strang의 강의로 공부했으며, LU, subspace, QR, spectrum 순서대로 배웠음
- 내 수학 실력은 뛰어나지 않지만 이 과목은 직관적으로 바로 감이 왔음
-
예전에 Khan academy로 선형대수 과정을 공부했음
- 렌더링 로직을 구현하려고 공부하면서 배운 내용을 직접 구현할 수 있었고, 즉각적으로 피드백이 와서 매우 유용했음
-
그래픽스 프로그래밍 또는 시각적으로 배우는 걸 좋아한다면, 선형대수의 기초를 매우 동기부여되고 보람차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있음
- 아핀대수(affine algebra)도 중요하다 생각함
- 관련 주제로 석사 논문을 쓰고 있음
-
나이가 들수록 "수학이 어려운 게 아니라, 수학을 가르치는 게 어렵다"는 생각이 점점 더 강해짐
-
-
더 시각적이고 직관적인 선형대수 개요가 궁금하다면 몇 년 전에 내가 만든 mini-book이 있음
- 3Blue1Brown의 선형대수 강의와 교재를 함께 보는 것이 매우 좋은 조합임
-
3Blue1Brown의 선형대수 비디오는 정말 엄청난 퀄리티임을 느꼈음
- 나는 경제학자로 선형대수를 매일 사용함
-
7.4 정규직교 기저(orthonormal basis) 이후로 github readme preview 페이지에서 tex 수식 렌더링이 멈추는 현상을 봤음
-
렌더링 불가 메시지(빨간 박스)로 대체되고, 페이지별 렌더링 제한이 있는 게 아닌가 의문이 듦
- 그 시점부터 epub 버전으로 전환해서 읽었음
- 그래도 github이 이 정도로 잘 렌더링해주는 점은 칭찬할 만함
- 그 시점부터 epub 버전으로 전환해서 읽었음
-
-
학부 선형대수 과정을 수강했지만 실무에서 써본 적 없는 입장으로, 실질적인 선형대수 응용을 익힐 좋은 방법을 궁금해 함
- 답변: 위쪽 쓰레드에도 힌트가 있는데, 예를 들어 기계학습, LLM, RSA 등이 대표적임
- 다변량 통계, 3차원 공간에서 곤충의 움직임, 빛의 평면에 클러스터링 된 점들을 "최적의 평면"에 사영(projection)하는 등에서도 사용됨
- 이것 자체가 바로 고차원 데이터셋을 직선, 평면, 저차 다양체에 맞추는 것이며, 오차(평면까지 거리) 등도 관련되며 SVD는 이미지 선명화 등에 사용됨
- 본인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일을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 응용 분야가 결정되므로, 전산학 학생이라면 앞으로 가능성이 무궁무진함
- 답변: 위쪽 쓰레드에도 힌트가 있는데, 예를 들어 기계학습, LLM, RSA 등이 대표적임
-
최근 선형대수 입문서를 고르려다 고생을 많이 했음
-
첫 번째 과정, 두 번째 과정, 제대로 된 책, 잘못된 책 등 선택지가 너무 많아 헷갈렸음
-
LADR4e(Linear Algebra Done Right 4th edition)도 알아봤지만, 내 증명실력이 아직 부족한 상황임
-
Serge Lang의 책은 설명이 명확해서 좋아함
-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는 기본기를 간결하게 다루며, 행렬 계산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함
- 참고로 Lang의 Linear Algebra는 좀 더 이론적임
-
Jim Hefferon의 "Linear Algebra"와 강의 녹화본은 굉장히 접근하기도 쉽고 잘 짜여져 있음
- 무료로 제공되며, 연습문제와 해설집도 모두 무료임
-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접근하려면 Dianne Hansford와 Gerald Farin의 <Practical Linear Algebra: A Geometry Toolbox>(초판은 The Geometry Toolbox: For Graphics and Modeling) 추천함
- 여기에 Edgar Goodaire의 <Linear Algebra: Pure & Applied>를 더하면 직관적-기하학적 접근부터 순수 수학적 접근까지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음
- 설명도 이해하기 쉬움
- Stephen Boyd 등 저자의 Introduction to Applied Linear Algebra: Vectors, Matrices, and Least Squares 도 무료로 얻을 수 있으니 추천함
-
"No bullshit Guide to Linear Algebra"가 매우 좋았음
- 공부하며 명확하게 이해가 되는 유일한 자료였음
-
-
-
그래픽스 없이 배우는 선형대수는 이상하다고 느낌
- 25년 전 학교에서 배울 때 교사가 항상 도식으로 시각적 직관을 설명해서, 처음 벡터 공간의 추상 정의(덧셈, 스칼라곱)는 난해했지만 화살표를 그려주는 순간 모든 게 이해됐음
-
선형대수 때문에 힘든 사람이 있다면 Sheldon Axler의 "Linear Algebra Done Right" 강력 추천임
- 일부 개념들이 장황해 보이지만 꼭 필요한 부분임
- N x N 행렬을 다루려면 자연스럽게 N^2개의 원소를 구분해야 함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 행렬을 다루지 않고도 추상기반에서 충분히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으며, 오히려 동기를 느끼기도 좋음
-
단일 .tex 파일의 구성과 포매팅이 매우 잘 되어 있어서 소스코드만 봐도 내용을 읽을 만큼 좋았음
- GitHub이 마크다운에서 LaTeX 수식 렌더링을 생각보다 잘 처리해줘서 놀랐음
-
CC 라이선스 교재는 언제나 좋다고 생각함
- 이번 교재는 굉장히 미니멀해서 설명, 그림, 증명이 거의 없어 기초 학습에는 보조자료가 필요할 수 있지만, 핵심 내용만 담은 치트시트로는 충분해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