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Wiki - 어떤 코드베이스든 이해하기
(aitidbits.ai)- DeepWiki는 GitHub 저장소를 즉시 탐색 가능한 위키 형태로 변환해서 볼수 있게 해주는 도구
- Fast / Deep Research 모드, 라인 단위 인용 기능 등으로 코드 탐색, 환경 설정, 설계 분석 등 다양한 개발 상황에서 신뢰도 높은 답변 제공
- MCP 서버와 연동되어 Claude, Cursor 등 주요 AI IDE와 자연스럽게 통합 사용 가능
- 엔지니어링 평가, 구현 예시 확인, 오픈소스 기여, PR 리뷰 등 다양한 개발 실무 전 과정에서 높은 생산성 향상
- DeepWiki를 이용하면 코드 이해 시간을 크게 단축하며, 팀 온보딩과 리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소개 및 도구 개요
- DeepWiki는 Cognition 팀(Devin AI 엔지니어를 개발한 팀)이 만든 GitHub 저장소 탐색 도구임
- 저장소 주소에서 github.com을 deepwiki.com으로 바꾸는 것만으로 자동 생성된, 네비게이션 가능한 위키를 바로 사용할 수 있음
- 낯선 코드베이스, 오픈소스 평가, 고급 기능 구현, 신규 팀 온보딩 등 다양한 상황에서 효율의 극대화 경험 가능
- 코드를 직접 읽거나 검색하지 않고, 질문 기반으로 구조와 동작을 파악할 수 있음
DeepWiki 주요 동작 방식
- DeepWiki는 무료 Devin 계정으로 공개 및 비공개 저장소 모두 지원
- 공개 저장소는 바로 질문 가능하며, 비공개 저장소는 Devin 계정이 필요함
- Fast 모드는 코드 그래프 기반으로 즉시 답변 제공, Deep Research 모드는 여러 파일을 읽어서 신뢰도 높은 답변 제공
- 모든 답변에는 클릭 가능한 소스 코드 인용 포함, 실제 위치로 빠르게 이동 가능해 잘못된 요약(환각) 방지 효과 있음
DeepWiki 활용법
웹사이트 또는 AI IDE에서 활용
- deepwiki.com에 GitHub URL을 붙여 넣거나, 공식 DeepWiki MCP 서버를 통해 AI IDE(Claude, Windsurf, Cursor 등)에도 바로 연동 가능
- MCP 서버는 인증 없이 사용 가능하며, IDE 설정에 추가하기만 하면 DeepWiki를 상시 활성화된 쿼리 도우미로 활용 가능
- 코드베이스의 맥락 및 구조를 언제든 참조하고 질문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
실제 활용 사례
-
1. 오픈소스 프로젝트 평가
- 신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사용 전, 유지보수 상태/보안/라이선스 등 주요 평가 항목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
- 설정 파일, 네트워크 호출, 라이선스 조항 등 정확한 코드 위치와 링크로 안내 받아 신속한 판단에 활용
-
2. 신규 개발 환경 설정
- “로컬에서 어떻게 실행하나?”와 같은 질문 시, 환경 설정 방법, 의존성 그래프, 관련 스크립트 등을 원본 인용과 함께 빠르게 제공
- README, Dockerfile, 스크립트 등 다양한 파일을 자동으로 참조해 초기 세팅 부담 상당히 감소
-
3. 구현 예시 차용
- 타 프로젝트에서 독특한 인증 흐름, 상태 저장 방식 등 구현 디테일을 요약된 마크다운으로 받아 활용 가능
- 예시: tmux를 활용한 다중 coding agent 제어 구조를 DeepWiki로 분석하여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용
-
4. 맞춤 온보딩 가이드
- “큐 프로세서의 재시도 처리 흐름 설명” 등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질문에 대해 선임 개발자 같은 상세한 안내와 코드 링크 제공
- 사용자 맞춤화된 온보딩 자료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음
-
5. 첫 기여 탐색
- 신규 팀 또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시 “good first issues”를 자동 탐색
- TODO, 실패 테스트, 미완성 문서 등 초보자도 접근하기 쉬운 시작점을 제시
-
6. 쿡북(repo cookbook) 스타일 저장소 활용
- Anthropic Cookbook, Gemini Cookbook 등 예제 중심 저장소 내에서 원하는 예제 및 코드 조각을 빠르게 탐색 및 생성 지원
-
7. 맥락 인식형 코딩 에이전트 구축
- 코드 구조, 설계, 코딩 스타일 등 전반적 맥락 파악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정보 생성
- Sidekick Dev 등 도구와 연동하여 context 파일(cursorrules.md, claude.md 등)을 자동 생성해 코딩 에이전트 활용도 높임
- DeepWiki의 무료 MCP API로 온보딩, 테스트 생성, AI pair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응용 가능
-
8. Pull Request 리뷰 및 빠른 파악
- 동료가 PR을 올렸을 때 즉시 구조화된 변경 요약을 DeepWiki에서 생성해 신속한 리뷰 및 맥락 파악
- 단순 변경점 파악이 아니라 전체 코드베이스 내 위치와 영향까지 이해 가능해, 효율적 리뷰 진행에 기여
DeepWiki 사용 추천 시점
- 익숙하지 않은 스택, 오랜만에 보는 컴포넌트, 복잡한 공개 저장소 탐색 시 DeepWiki가 가장 우선순위 도구임
- 기존 grep 검색 대신 위키 요약 탐색→몇 번의 후속 질문→관심 파일로 바로 이동 순서로 빠른 온보딩 경험 가능
DeepWiki에 바라는 점
- 1. 대화형 사이드킥 모드 – IDE 옆에 DeepWiki를 상시 켜두고, 함수 호출 위치 등 구체 질문을 실시간 요청하는 기능
- 2. 목표 기반 온보딩 – 저장소와 목표(예: 오픈 이슈 수정)를 입력하면 필요한 파일, 함수, 명령어를 단계별 안내하는 경로 제공
결론 및 사용 권장
- DeepWiki는 http://deepwiki.com 에서 곧바로 사용 가능
-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 최고의 코드 이해 및 온보딩 도구로 추천할 만함
Hacker News 의견
-
명확한 삭제 요청 방법이 없어서 아쉬움이 큼, 우리는 LibreOffice 문서로 이런 잘못된 정보가 생성되길 원하지 않았음에도 deepwiki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게 됨: https://deepwiki.com/LibreOffice/core/2-build-system (참고: LibreOffice는 Buck이라는 빌드 시스템을 사용한 적이 없음)
-
호기심에 질문함: LibreOffice에는 .buckversion, BUCK, .buckconfig 같은 파일이 있는데, 이 커밋에서 Buck을 사용한 흔적이 보임, 10년 전 일이긴 하지만 Buck을 잠깐이라도 도입한 역사적 배경이 있는지 궁금함
-
deepwiki에 법적인 어투의 요청을 예의 있게 보냈더니 바로 응답해 내 프로젝트를 인덱스에서 빼줌
안녕하세요, 저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보안과 사용자 보호를 위해 연락드립니다
deepwiki가 제 GitHub 조직 내 프로젝트를 인덱싱하지 못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묵시적으로 저의 프로젝트에 대한 트레이닝 및 작성에 법적 권한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 통지로 저는 그 권한을 명확하고 영구적으로 철회함을 밝힙니다
만약 필요하다면, 향후 deepwiki가 제 프로젝트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게시한다면, 이는 의도적 명예훼손으로 간주할 수 있음도 알려드립니다
LLM은 의지를 가지지 못하니, 잘못된 정보 출판은 전적으로 인간의 의지에 달린 일임을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nrad Buck -
실제로 deepwiki를 사용해본 경험에서는, deepwiki가 만들어내는 결과물이 속임수 같은 쓰레기는 아니었음
-
-
Deepwiki를 무턱대고 비난하고 싶진 않음, 특정 부분(특히 시스템 다이어그램)은 상당히 인상적이고 시간을 절약해줌을 느낌
다만 내가 관리하는 lib들은 그렇게 대중적이지도 않지만 연간 수백만 다운로드가 있음에도 deepwiki가 생성한 문서 내용이 틀린 경우가 많아서, 사용자에게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준다는 점이 아쉬움 -
DeepWiki라는 도구 자체는 참 괜찮게 느껴짐
코드베이스 곳곳의 문서를 모아서 한곳에 정리해주는 시도도 괜찮고, 없는 문서도 나름 예측해서 채워주려고 함
"특정 항목의 타입이 <X>입니다, 여기에 설명이 있습니다"와 같은 기존 보조 도구들보다 한 수 위의 자동화 코드 어시스턴스 예시라 생각함
일부 정보는 자동화로도 충분히 도움을 주지만, 때로는 사람의 관점이 꼭 필요함
"숙련된 시니어 엔지니어처럼 다뤄야 한다"는 조언에 동의함
LLM은 인내심에선 믿을만한데(어리석은 질문도 지치지 않고 답해줌), 진짜 시니어처럼 행동하길 기대하긴 어려움
요청하지 않으면 바보 같은 아이디어에 반론을 제기하거나 더 나은 아이디어로 제안해주지 않음
또 ‘억지로 반론해달라’고 시키면 필요 이상으로 반박하는 경향도 있음-
주석이나 문서가 하나도 없는 저장소에서 deepwiki를 시도 중임
10분 넘게 기다려도 아무 반응이 없어 흥미롭다고 생각함, Lingo source 프로젝트라 deepwiki가 이미 포기한 것 같음 -
DeepWiki는 이미 큰 가치를 더해준다고 느낌
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유지관리하는데, DeepWiki를 자주 자원봉사자들에게 추천해서 복잡한 코드베이스를 탐색하게 함
하지만 이름만 남아 있는데 실제 하는 일이 바뀌었거나, 표준(RFC, 공식 문서 등)대로 하지 않는 struct/패키지/함수에 대해 DeepWiki가 꽤 그럴듯하게 헛소리를 한다는 것도 여러 번 경험함
비판이라기보단 유지관리자들 리팩터링 관행이나 코드 가독성 문제도 큰 원인이라 생각
코드 가독성, 테스트는 앞으로도 자유 기여자가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 포인트가 될 것이라 예측함
-
-
Elkjs 프로젝트에서 deepwiki를 사용하는 것 같지만, 솔직히 마음에 들지 않음 https://deepwiki.com/kieler/elkjs/5-usage-guide
원하는 정보를 찾기 힘들었음
예를 들어 메인 설정 json 객체 구조를 deepwiki에서는 찾지 못했음
결국 “AI가 만들지 않은” 원래 Elk 프로젝트 공식 문서 페이지 https://eclipse.dev/elk/documentation/…에서야 찾을 수 있었음
물론 이건 한 가지 예시일 뿐임- “사용한다”고 하기엔 다소 과장인 것 같음
https://github.com/kieler/elkjs 공식 저장소 어디에도 deepwiki 관련 링크가 없음
누구든 그냥 deepwiki에 신청만 하면 GitHub 리포지토리 하나씩 만들어낼 수 있음
deepwiki가 있다는 것만으로 그 프로젝트에서 공인 또는 리뷰했다는 의미가 아님
본인들 마음대로 난입해서 존재할 뿐, 일종의 SEO 스팸처럼 느껴짐
- “사용한다”고 하기엔 다소 과장인 것 같음
-
내가 어느 정도 잘 아는 오픈소스 저장소들을 deepwiki에서 확인해봄
위키가 있는 건 LLVM(https://deepwiki.com/llvm/llvm-project) 하나뿐임
첫 화면을 보면 상위 디렉토리 일부만 이상하게 나열되어 있고, 컴파일 파이프라인 다이어그램이 잘못된 내용임
예를 들면 Clang-AST는 clang 프론트엔드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최적화 파이프라인에서 벡터화, 명령 선택 흐름이 어색하게 꼬여 있음
GlobalISel 같은 중요한 파트가 완전히 빠져있고, 하이라이트된 백엔드 선택도 이상함
LLVM의 주요 합성 패스(InstCombine) 등 정말 중요한 부분들을 완전히 빠뜨림
세부 페이지를 들어가 봐도 LLVM IR, 패스 매니저, 패스들의 정규화 전략에 대한 언급도 없음
TableGen의 역할도 전혀 다루지 않고, 사실 LLVM 백엔드 개발에서 TableGen과 그 에러 메시지 이해가 가장 어려운 부분임
deepwiki가 한 페이지에서 3만여 라인과 같이 엄청 큰 파일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데, 수만 라인급으로 여러 파일에 쪼개진 clang codegen이나 InstCombine 같은 핵심은 완전히 무시됨-
나도 비슷한 경험을 했음
내가 잘 아는 프로젝트들의 다이어그램 품질이 엔지니어링 수준에 한참 못 미쳤음 -
흥미로운 지적임
(내가 deepwiki 내부 동작까지는 모르지만) 파일 크기, 커밋 수, 숫자 기반 메타데이터를 제거하거나 또는 모든 파일을 하나로 합쳐서 경로+파일명 마킹으로 처리한다면 결과물이 크게 달라질지 궁금함
-
-
deepwiki는 이전에 playwright에서 pure CDP 기반 브라우저 자동화로 대형 코드베이스 리팩토링 할 때 큰 도움이 되었음
도구 만든 팀에게 박수를 보냄
자동 생성 오버뷰와 다이어그램도 훌륭하지만, 진짜 강점은 하단의 “딥 리서치” 추가 질문 기능임
복잡한 코드베이스(puppeteer, playwright, chromium 등)를 deep research하는 것에서 OpenAI, perplexity보다 훨씬 낫다고 생각함 -
개인적으로 deepwiki로 내 리포지토리 문서를 생성해봤는데, 꽤 유익했다고 느낌
일부 단순한 부분에 지나치게 깊게 파고들고 중요한 부분을 대충 넘어가는 경향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패키지가 무엇을, 왜 하는지에 대해 꽤 자세한 요약을 제공해줌 -
이 글은 원래 짧은 기술 블로그였어야 할 것 같은데, 왜 세일즈맨처럼 영업문구처럼 느껴지는지 궁금함
“우리는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코드를 만들고 있습니다. LLM인 Claude가 이미 Anthropic 코드의 대부분을 작성합니다. 이제 도전과제는 코드를 생산하는 게 아니라 이해하는 것입니다.”라는 문장부터 뭔가 AI가 쓴 것처럼 느껴짐
글 전체가 너무 AI 특유의 문체로 가득 채워져 있어 읽으며 집중이 안 됨
아마도 저자가 AI가 본인보다 글을 더 잘 쓴다고 느낀 결과일 수 있겠으나, 본인 목소리로 직접 쓰기를 꼭 권하고 싶음
요즘 누가 어떤 부분에서 AI에게 프롬프트를 작성시켰는지 생각하면서, "dockerfile, README, 스크립트에 대한 의존성 그래프까지 제공하니 바로 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같은 AI 생성 텍스트는 애써 무시해버림- 동의하는 부분도 있지만, 네가 인용한 앞 부분 두 문장은 오히려 영어 문법 오류가 많아 AI가 작성했다고 보긴 어렵다고 생각함
-
매우 좋은 리뷰라 생각함 (deepwiki는 정말 놀라움!)
코드가 오픈소스였다면 더 좋았을 것 같음
최근 몇 가지 오픈소스 시도를 발견함 -
만약 내가 deepwiki처럼 제3자에게 내 코드를 맡기는 것이 꺼려진다면? 오픈소스 또는 로컬에서 자체적으로 돌릴 수 있는 대안이 있을까?
- 내 방식은 다음과 같음:
- 전체 저장소를 Repopack으로 하나의 텍스트 파일로 아카이브함 https://github.com/yamadashy/repomix
- LLMLingua-2로 파일을 압축해 토큰 수를 줄임 https://github.com/microsoft/LLMLingua
(토큰이 적을수록 더 많은 컨텍스트를 LLM에게 줄 수 있어 LLM이 리포지토리를 더 잘 이해함) - 압축된 텍스트 파일 내용 전체를 ChatGPT, 또는 로컬 LLM 입력란에 복사 붙여넣기
- LLM에게 문서 생성을 요청함
예: “이 코드는 저장소 전체 소스임. 현재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차례 목차를 만들어달라”고 요청
목차가 괜찮으면 첫 장 생성을 요청, 반복해서 전체 문서를 완성하는 식으로 진행 - Typescript/Javascript 코드베이스라면 esbuild 같은 번들러를 2단계에서 활용하면 토큰 절감에도 도움됨
- LLMLingua-2에 관심 있다면, 설치 없이 바로 쓸 수 있는 내 Typescript 포트도 있으니 참고 부탁함: https://atjsh.github.io/llmlingua-2-js/
- 내 방식은 다음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