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5시간전 | ★ favorite | 댓글 1개
  • YouTube가 AI로 동영상을 임의로 개선했으나, 사전 안내나 동의 없이 적용함
  •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에 미세한 변화가 생긴 것을 감지함
  • 이 과정에서 피부·의상·귀 등의 세부 요소가 비자연적으로 변형
  • 크리에이터들은 이러한 의도치 않은 AI 효과가 신뢰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
  • AI가 현실을 무단으로 중재함으로써 현실과의 연결이 약화될 우려가 있음

YouTube, 이용자 동의 없이 동영상에 AI 화질 보정 수행

Rick Beato의 경험

  • Rick Beato는 구독자 500만 명이 넘는 음악 유튜브 채널을 운영함
  • 최근 업로드한 영상에서 "머리카락이나 피부가 이상해 보임" 을 느꼈으며, 얼굴이 화장한 듯한 효과를 인지함
  • 변화가 미묘하게 느껴졌으나, 비교 전에는 명확하게 특정하기 어려움

AI 기반 영상 보정의 실제

  • 지난 몇 달간 YouTube는 AI를 이용해 동영상의 특정 부분을 조정
  • 셔츠의 주름, 피부 표면, 귀 등이 미묘하게 강조 또는 변형
  • 이 변화는 직접 비교하지 않으면 거의 알아채기 힘든 수준
  • 그러나 일부 유튜버들은 콘텐츠의 자연스러움이 저하되고 원치 않는 AI스러운 느낌이 부여됨을 지적함

업계 전반의 변화와 우려

  • 점점 더 많은 현실 정보가 AI를 거쳐 사전 처리되어 전달됨
  • 크리에이터와 시청자 간의 직접적인 현실 기반 소통이 약화될 수 있음
  • AI 개입이 느리게나마 현실에 대한 신뢰를 침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됨

크리에이터들의 반응

  • Beato와 친분이 있는 음악 유튜버 Rhett Shull 또한 자신의 영상에서 비슷한 이상 현상을 발견함
  • 그는 강한 오버샤프닝과 AI 특유의 질감이 자신의 온라인 목소리를 왜곡한다고 우려함
  • "내가 원하면 직접 처리했을 것"이라는 언급과 함께, 시청자와의 신뢰 저하 가능성을 지적함

결론

  • YouTube의 비밀스러운 AI 화질 보정은 사용자의 현실 경험과 온라인 정체성 간의 경계 흐림을 야기함
  • 무단 AI 중재가 점차 공동체 신뢰 및 현실 감각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짐
Hacker News 의견
  • 온라인에서 글이 자동으로 "수정"되거나 "개선"되는 현상을 상상하니 등골이 오싹해짐, 내가 기사나 책을 출판하자마자 인간 고유의 목소리가 사라지고 이상하게 익숙하지만 불쾌한 느낌의 결과물이 되는 현상임, 만약 누군가가 내가 쓴 글의 껍데기를 쓰고 있는 듯한 기분임
    • 이미 상황은 망가진 상태임, 최근에는 에디터를 고용하지 않는 이유가 대부분 LLM 사용을 의심하기 때문임, 내가 요즘 읽는 책들 중에도 AI가 쓴 게 아닐까 의심하게 됨, 하지만 사실 스타일 가이드의 꼼꼼한 적용이나 인간 에디터의 편집도 독특함을 없애버림, LLM만 탓할 수는 없는 문제임
    • 아날로그 자료를 수집하기에 최적의 시기임
    • 이런 걸 막기 위해서는 체크섬이나 디지털 서명이 필요해짐
    • 최근 저널리즘에서는 인간이 시드 스토리라도 썼다면 운이 좋은 것임
    • 이런 상황은 마치 "나는 내 누이에게서 태어났다"라는 장면과 비슷함 (Kototsubo, Johei Kambayashi 소설 참고)
  • "YouTube는 항상 새로운 도구 개발과 실험을 한다"라는 Beato의 말을 듣고, 내 머릿속에서는 "내 생계가 YouTube에 달려 있다"로 자동 번역됨
    • 혹시 그 멘트도 AI가 편집했는지 궁금함, 사실은 "YouTube는 세상의 재앙이다"라고 말했을 수도 있음
    • 소비자 입장에서는 YouTube가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비디오를 감상하기 가장 까다로운 플랫폼임, 광고를 피하거나 Shorts를 다 비활성화하려면 반드시 애드블록을 써야함
    • Beato가 얼마 전에는 악질적인 저작권 주장에 시달려 많은 금전적 손해를 입었고, 채널 중단 위협까지 겪었다고 밝힘
    • Beato는 뮤지션이자 프로듀서지만, YouTube 영상 제작을 더 손쉬운 생계 수단으로 삼고 있음, 실제로 뮤지션들과 일하는 게 얼마나 답답한 일인지 여러 번 언급함
    • YouTube가 내 라이프스타일을 뒷받침해준다며 만족스러운 상황이라면 굳이 비판을 쏟아붓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함, 이 회사들은 이미 충분히 욕을 먹고 있음, 영상 개선 실험이 논란거리일 순 있지만, YouTube의 과거 정치적 행보에 비하면 큰 문제는 아님
  • 기사에 실제 예시나 이미지 비교가 없는 점이 아쉬움, 다른 기사들도 유사하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 가장 큰 변화가 귀의 주름이 달라진 것 정도임, 직접 영상을 훑어봤으나 거의 설명만 있고 실제 사례가 거의 없음, 실험 성격상 이런 잡음 자체가 피드백 역할을 하는 것 같음 관련 레딧 링크
  • YouTube에서 공식 입장을 냄: 선택된 Shorts에서 전통적인 머신러닝으로 화질 개선 실험 중이며 GenAI나 업스케일링은 아니라고 밝힘, 노이즈 제거와 또렷함을 위한 과정으로 스마트폰 영상처리와 비슷함, 크리에이터와 시청자 의견을 반영해서 계속 개선하겠다고 함 YouTube 공식 답변 링크
    • 항상 이런 안내문에서 "[회사]는 항상 최고의 경험을 위해 노력 중"이란 문구를 볼 수 있는데, 마치 "우리가 좋은 일 하는 걸 들켜버렸네요! 고마워요!"라는 느낌임
    • Shorts는 어차피 광고 수익만 얻고 바로 버려지는 콘텐츠이니, 이 정도 개선은 꽤 합리적이라고 생각함
    • TV에서도 수년간 영화를 "개선"해왔는데, YouTube가 머신러닝으로 그걸 한다고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봄, 귀가 좀 더 선명하게 나오는걸로 화낼 필요가 있을까 싶음
  • 특이한 경험이 있었음, Gmail을 통해 LinkedIn 메시지 알림을 받았는데 본문 내용이 LinkedIn 원본과 다름, 단 두 단어만 달랐지만 오히려 더 이상하고 찝찝한 느낌이었음
    • 혹시 발신자가 LinkedIn 메시지를 수정한 게 아닐까 싶음, 이메일에는 수정 전 원본이 남았을 수도 있음
  • YouTube가 AI로 영상 손질을 할 때 사용자가 선택할 권리를 주는지 답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모든 걸 말해주는 것 같음, YouTube PM에게 시작하기 전 충분히 고민 좀 해달라고 하고 싶음
    • 그들이 충분히 생각하지 않았다고 볼 근거는 없고, 이번 실험 역시 이펙트의 효과를 데이터로 확인하기 위한 것일 수 있음, 우리 입장에서는 원치 않는 변화지만 만약 사용자 참여율이 높아진다는 결과라도 나오면 또 다를 수 있음
    • 이미 오랫동안 회사들은 유저보다는 AI, 광고, 그리고 어린이들을 더 오래 디바이스에 붙잡아 두는 것에 집중 중임
    • PM 입장에서는 "그래서 뭐 어쩔건데, Odysee에 영상 올릴거야?" 하는 생각임, YouTube가 워낙 독점적이기 때문에 일반 유저 목소리는 큰 영향을 못 미침
  • AI가 정말로 세상을 뒤바꿀만큼 훌륭하다면, 왜 다른 솔루션들과 똑같이 억지로 제품에 끼워 넣는 것처럼 보이는지 의문임
    • 인터넷도 똑같은 질문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함
  • YouTube가 일부 Shorts에 잡음 제거를 위한 처리 실험을 했다고 하는데, 이미 유명 채널들은 영상을 잘 조명하고 색보정을 끝낸 경우라서 실제로 별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임, 하지만 과한 잡음 제거는 생성형 영상 같은 인위적인 느낌을 주고, 잡음이 적으면 인코딩 최적화가 쉬워지므로 효율 개선 목적일 수도 있음
    • Shorts 자체를 아예 없애자는 청원을 내고 싶은 심정임
    • 설명대로라면 영상 최적화를 위한 기술 확장일 뿐, "AI"라는 단어 덕분에 논란되는 것임
    • 노이즈를 없애서 인코딩하기 쉬워진다면 결국 또 다른 손실 압축 방식일 뿐임, AV-1 코덱으로 인코딩하는 것과 원리는 다르지 않음
  • 최근 휴가지에서 Philip K Dick 전자책을 사려고 했는데, 가격이 싸니 혹시 해적판이거나 오류 가득한 버전, 정부 승인을 위한 검열판, 아니면 AI가 개선해버린 판이 아닐까 괜히 의심하게 됨, 이런 가능성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현실의 진정성이 흔들린 듯한 불안감이 큼, 데이터의 진본성을 검증할 방법으로 체크섬 공유 같은 아이디어도 있지만 결국 진본성은 영원하지 않음을 느낌
    • Philip K Dick을 너무 많이 읽은 것 같음, 현실 자체보다는 자기정체성의 혼란을 주제로 생각해보면 더 어울릴 듯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