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P by soulee 2달전 | ★ favorite | 댓글 10개

개인이 SaaS나 작은 물건을 팔려고 하면 해외는 Stripe, LemonSqueezy 등이 있지만 한국은 대부분 PG 가입에 사업자등록증+보증보험+각종 서류가 필요해 쉽지 않습니다.

저도 간단한 MVP를 만들면서 이런 장벽 때문에 고생하다가, 최근에 개인도 결제를 받아주는 PAYAPP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입비나 별도 비용이 없어서 MVP 테스트용으로는 꽤 괜찮아 보입니다.

다만 개발자 문서가 부실해서 직접 FastAPI 기반으로 샘플 코드를 만들어봤습니다.
혹시 다른 대안 PG를 알고 계시면 추천도 환영합니다

개인간 결제 허용하면 탈세, 돈세탁 창구가 되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해외 같은 경우에는 Stripe, LemonSqueezy, PayPal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는 개인간 결제를 받아주는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사실 해외라고 탈세나 돈세탁에 대한 위험이 다를거라고 생각하진 않는데요,

저도 자세히는 모르지만, 아마 국내 규제 혹은 사기/기만에 대해 PG사에서 책임져야 하는 기업의 부담으로 인해 개인 거래를 받아주지 않는것 같습니다.

아마 그런 부분을 부담하기 위해 PayApp이라는 PG에서는 일반적인 PG보다 더 높은 수수료를 청구 하는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이나 해외의 경우에도 돈세탁 우려는 항상 존재할텐데 왜 해외에는 있고 국내에는 없을까요?

이건 국내법이 끼어들어서 어렵지 않을까요? 대충 이용방법 읽어보니 첫 정산 시에 이런저런 심사를 하는거 아닌가 싶은데...

결제 연동하려면 문서찾으며 헤매는 시간이 대부분인데, 이렇게 동작하는 예제를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PAYAPP 도 아래와 같이 정산요청시 서류 심사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결국 동일하게 서류는 다 접수해야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네요.

첫 번째, 저희 페이앱과의 서류심사가 아직 완료되지 않으신 경우.
두 번째, 보증보험을 가입하셔야 하는 조건이 되셔서 안내를 받으셨는데 아직 보증보험이 완료 처리되지 않으셨을 경우입니다.

서류 심사가 필요한 것은 맞습니다만 사업자등록증이 필요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https://payapp.kr/homepage/guide/guide3.html

모든건 다 보증 개념입니다. 개인간 거래라고 간편하게 하고 싶다라고 생각해도
구매자 입장에서는 내가 지불한 금액에 대해 누군가 보호를 해주지 못한다면... 과연 결제를 할수 있을까요? 신뢰가 가지 않는 결제앱을 통해 결제를 하고 싶은 구매자가 얼마나 있겠습니까.
결제 회사도 사고에 대한 보증을.사업자등록증, 보증보험, 각종 서류 를 챙김으로써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것이죠.
저희 회사도 예약서비스인데 다른 업체에서 예약을 무제한 기간으로 받아서 돈만 챙기고 잠수 탔다고 최대 2개월 이내만 예약 가능으로 바뀌었습니다.

좋은 프로젝트 공유 감사합니다. MVP 시연에 상당히 유용하겠네요.

페이앱도 실계약을 진행하면 보증보험이 필요합니다...
국내에 Stripe같은 PG사가 빨리 들어오면 좋겠습니다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