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P by GN⁺ 3일전 | ★ favorite | 댓글 2개
  • Obsidian의 Bases 플러그인은 메모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처럼 관리할 수 있는 기능
  • Markdown 파일과 속성을 그대로 활용하여 데이터 관리 가능
  • Bases 뷰는 Bases 전용 문법을 이용해 생성 및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음
  • 프로젝트, 여행 계획, 도서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음
  • 사용자는 별도의 외부 서비스 없이 로컬 환경에서 모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됨

Obsidian Bases 소개

  • Obsidian Bases는 메모 애플리케이션 Obsidian의 Core 플러그인으로, 사용자가 어떤 노트 세트라도 강력한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줌

데이터 관리 방식

  • Obsidian Bases를 활용하면 프로젝트, 여행 계획, 독서 목록과 같은 여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 Bases가 표시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로컬 Markdown 파일과 해당 파일의 속성에 저장됨
  • 외부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개인 로컬 환경에 안전하게 보관 가능함

Bases 문법과 뷰 구성

  • Bases의 뷰(view) 는 Bases 전용 문법을 사용해 표현함
  • 이 문법은 .base 확장자 파일로 저장하거나, Markdown 파일 내 코드 블록에 임베드할 수 있음
  • 사용자는 필터, 속성, 레이아웃 등 다양한 요소를 활용해 맞춤형 데이터 시각화가 가능함

핵심 기능

  • Base 생성 및 임베드: 새로운 베이스를 만들어 임베드하는 방법을 안내함
  • 뷰: 필터, 속성, 레이아웃 탐색을 지원함
  • 함수: 수식 및 필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함수 지원
  • Bases 문법: 베이스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 제공

활용성 및 이점

  • 별도의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없이도 메모 기반 데이터 관리 구현 가능함
  • 다양한 노트 유형과 정보를 한 곳에서 유연하게 통합 및 정리 가능함
  • 개발자와 IT 전문가가 Obsidian 내 자산을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임

노트들의 메타데이터를 관리 열람하고 집합을 만들 수도 있는 기능이네요.
노트별로 저장해 둔 frontmatter와도 연동이 되는 것 같고 좋네요.

Hacker News 의견
  • 혹시 궁금한 분들을 위해 말하자면, 이 기능은 이제야 공개적으로 출시됨. 이전까지는 얼리액세스 비용을 낸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었음. Reddit 쓰레드에도 이 기능에 대한 좋은 논의가 있으니 참고 추천함 https://old.reddit.com/r/ObsidianMD/…

    •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 공식 문서에는 언급이 없지만 혹시 아는 사람 있음? Base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사용할 때 템플릿이나 기본 frontmatter(예: 생성일자)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함. Base 도입 전에는 직접 억지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했지만, 그리 깔끔하지 못했음.
      meta-bind-js-view
      {memory^inputText} as title
      ---
      const toShow = context.bound.title || "TKTK";
      const str = `\`\`\`meta-bind-button
      label: New Project Idea - ${toShow}
      icon: ""
      hidden: false
      class: ""
      tooltip: ""
      id: ""
      style: primary
      actions:
       - type: templaterCreateNote
        templateFile: Templates/Project.md
        folderPath: Project Ideas
        fileName: ${toShow}
        openNote: true
      \`\`\``;
      return engine.markdown.create(str)
      
  • Obsidian을 개인 CRM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꽤 유용해 보임. 나는 Dataview로 데이터를 쿼리하고 있는데, 이 기능이 이를 대체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려고 함 https://blacksmithgu.github.io/obsidian-dataview/ 내가 자주 궁금해 하는 질문은 이런 것임

    • 내가 이 사람과 마지막으로 연락한 게 언제인지
    •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
    • 오랫동안 연락 안한 사람이 누구인지
  • Obsidian Bases가 무엇인지 설명이 부족하다고 느꼈지만, 아래에 링크된 Reddit 포스트의 한 댓글이 도움이 되었음:

    • "노트에서 어떤 검색어·문장을 찾는다고 했을 때, Bases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고정 검색을 보관하는 기능임. 다시 검색할 필요 없이 그냥 Bases 파일 내로 들어가면 새로운 노트들이 기본 테이블 형태로 바로 추가되어 있음. 또한 수정일처럼 파일을 변경할 때마다 업데이트되는 속성도 뷰에 추가할 수 있음. 오랫동안 안 본 파일이나 노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함. 옛 개념이 새로운 기능에 그대로 적용되기도 하지만, 직접 돌이켜보지 않으면 잊기 쉬움"

    • 공식 문서 첫 문장에 이미 정의되어 있음: "아무 노트 집합이든 강력한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함". 진짜 이게 전부임. 데이터베이스 뷰이고, vault는 데이터베이스, 행은 각 파일임. 뷰를 만드는 화려한 GUI가 있어서 뷰 내에서 실시간 편집도 가능함. 기존에 인기 많던 dataview-plugin을 훨씬 사용자 친화적으로 대체하는 느낌임. 표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보다는 덜 단단해서 어리둥절할 수 있음

    • 또 다른 요약: "Bases는 노트의 Properties와 Tags 기준으로 필터링과 정렬이 가능한 테이블 또는 카드 뷰를 제공함"

  • 나는 Obsidian을 쓰는 유저임. Obsidian sync 서비스까지 유료로 사용하면서 Obsidian의 철학을 정말 좋아함. 그런데 말하는 게 조금 어색할 수도 있지만, 솔직히 사용이 헷갈림. 플러그인 사용이나 서비스가 원하는 방식 등을 이해하는 게 어려움. 지금은 그냥 데일리 노트만 쓰고 있는데, 뭔가 놓치고 있는 게 정말 많다는 느낌임

    • Obsidian 주변엔 지나친 과장과 유행이 많아서 솔직히 좀 민망함. Obsidian은 본질적으로 markdown 파일 편집기임. 기본 기능만으로도 충분함. 여러 추가 기능들이 많지만, 꼭 필요한 게 생겼을 때 커뮤니티 플러그인을 찾아보면 됨. 처음부터 이것저것 플러그인을 넣으려다 오히려 오버웰밍, 혼란스러움, 그리고 왜 Influencer들이 인생이 바뀌었다고 하는지 의문만 남게 됨

    • 문제는 사용자 본인이 아니라 생산성 인플루언서들이 Obsidian을 더 대단한 무언가로 느끼게 만든다는 점임. 그냥 markdown 파일 모음에 UI를 예쁘게 얹은 것임. Vault를 Cursor/VSCode에서 열어서 코딩 기능을 사용해보고 나서 Obsidian에선 왜 평범한 글쓰기용 에이전트가 없는지 의문이 들었음. 유튜브 영상들은 다 mind map, 복잡한 파일 구조, 특이한 플러그인 등을 강조하지만, 사실 LLM이 vault 전체를 검색해서 답을 뽑아주는 요즘 시대엔 이런 것들 대부분이 시간 낭비에 불과해짐

    • 자기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걸 해결하는데 Obsidian 기능을 적용하는 게 중요함. 주어진 기능을 무리하게 내 삶에 억지로 적용하려고 애쓰지 않음

    • Siyuan을 대체제로 강력 추천함. Obsidian 플러그인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들을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음

    • 내가 정말 힘들다고 느끼는 건 데이터를 한 데 모으는 게 예상보다 훨씬 어려움.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추천해 준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트래킹하려고 했음. 각 추천마다 페이지를 만들고, 추천인·감상 여부·장르·나와 아내가 같이 볼만한지 같은 Property를 태그로 달 수 있음. 그런데 이 추천 리스트를 한 눈에 보고, 특히 아내가 포함되어 있는 추천만 따로 보고 싶은 뷰를 만들기조차 정말 복잡함. 태그 검색은 할 수 있지만 금방 복잡해지고, 북마크도 깔끔하지 않음. 쿼리를 하려면 또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하고, 이것도 직관적이지 않음(아마 문법과 스타일이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음). 단순히 x, y 태그가 붙은 아이템만 쿼리하려면 복잡한 dataview 쿼리를 왜 짜야하는지 이해가 안 됨. 최근에 관련 업데이트가 좀 있었던 걸로 아는데,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았음. 거의 모든 툴의 끝 목표가 '대시보드'임에도 불구하고, Obsidian에선 이런 게 기술적으로 익숙한 나 같은 유저한테도 너무 어려움. 시간내서 배우면 되겠지만, 이걸 또 하나의 연구 프로젝트로 만들고 싶진 않음. 불평한 김에 혹시 아래에서 친절하게 답해줄 분이 있을까 약간 기대함. 이 새기능이 실전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데이터베이스 마인드셋을 가진 나로선 흥미로움

  • 좋은 아이디어임. 하지만 기능 구현이 실망스러움. 여러 셀이나 행을 한번에 선택하지 못하고, 20줄 이상의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는지 전혀 모르겠음. 문서를 Obsidian Bases로 옮기기 시작한 걸 후회함

  • 예전 쓰레드도 하나 찾았음. 다른 것도 있는지 궁금함

    • (2025년 5월은 기부자 전용 베타가 발표됐을 때고, 이 스레드는 공식 출시 및 수많은 변경 이후임)
  • 이 기능을 곧 써볼 예정임. 예전에 Dataview를 썼었는데, 기능은 훌륭하지만 내 취향엔 너무 번거롭고 배우는 곡선이 있었음. 이번엔 이런 점이 좀 개선된 것 같아서 기대 중임

  • 데이터가 실제로 어디에 저장되는지 궁금함. 문법을 보면 필터와 뷰를 위한 predicates가 정의되어 있는데 "행"이 실제로 어딘지 안 보임. file.name, file.ext와 같은 특별한 속성이 있긴 한데, 어디에 설정하는지, 어떤 파일을 가리키는지, CSV인지 JSON인지 문서에 설명이 부족함

    • 각 행은 마크다운 파일 하나씩이고, 열은 그 파일 내 YAML frontmatter properties임. file.로 시작하는 특별 속성은 파일 자체의 메타정보임(file.name은 파일이름, file.ext는 확장자). Base view는 .base 파일의 YAML로 정의되거나 마크다운 파일 내 코드 블록으로 삽입할 수도 있음. 만들어진 뷰는 markdown 테이블이나 CSV로도 내보낼 수 있음. 여기서 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함 https://help.obsidian.md/bases/syntax
  • 이 기능이 처음 발표될 때가 기억 남. Dataview 스타일 워크플로에 정식 지원이 생겨서 기쁨. API 쪽에도 확장 기능 지원이 로드맵에 추가된 걸 확인했음 https://obsidian.md/roadmap/ Canvas 및 다양한 노트 타입과 연동이 특히 기대됨

    • Canvas 안에 BaseEmbed 할 수 있고, Base에서 Canvas 노트 목록화도 가능함

    • Dataview와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이 다른지 궁금함. Dataview 유저지만, 지금 당장은 Bases가 Dataview보다 어떤 점이 나은지 바로 안 보임. 물론 나는 파워유저는 아님

  • 내가 아직도 꼭 필요한 기능 하나는, OneNote에서처럼 노트에 스크린샷을 인라인으로 쉽게 붙여넣을 수 있는 기능임

    • 사실 OneNote가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잘 모르겠음. 하지만 Obsidian 파워유저 입장에서 노트에 스크린샷을 자주 붙여넣음. 스크린샷 파일명을 템플릿으로 지정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어서, 붙여넣는 노트의 이름과 타임스탬프를 파일명으로 삼는 것도 편하게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