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DNS, 연령 확인 우회 기능 추가
(news.ycombinator.com)- NextDNS가 연령 확인 우회 기능을 새로 도입함
- 이 기능은 웹사이트의 연령 확인 절차를 회피하는 데 활용 가능함
- 사생활 보호와 편의성 증대를 동시에 추구함
- 일부 웹사이트에서 연령 차단 우회 시 편리함 제공함
- 전통적 인터넷 필터링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임
NextDNS가 연령 확인 우회 기능을 도입한 배경
- NextDNS는 DNS 기반 필터링 서비스로, 광고 차단, 추적 방지, 보안 기능을 제공함
-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Bypass Age Verification" 기능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요구하는 나이 확인 절차를 통과하지 않고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함
- 본 기능은 나이 인증이 필수인 콘텐츠에 대해 지속해서 인증 과정을 요청받는 번거로움을 해소함
개인 정보 보호와 편의성 측면
- 이 기능의 도입으로, 사용자들은 불필요한 개인 정보 노출 없이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편리함을 누림
- 기존 방식의 나이 확인 수단(신분증, 가입 정보 제공 등)을 거치지 않아도 됨
잠재적 영향과 업계 반응
- NextDNS의 이번 업데이트는 인터넷 상의 연령 제한 정책에 도전하는 신호로 해석됨
- 해당 기능이 콘텐츠 접근 규제와 관련하여 미래에 어떠한 논의로 이어질지 주목받고 있음
결론
- NextDNS의 "Bypass Age Verification" 기능은 DNS 필터링 솔루션의 새로운 편의성과 사생활 보호라는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이 기능을 통해 기존에 접근이 어려웠던 페이지로 쉽게 접근함을 기대할 수 있음
Hacker News 의견
-
장기적으로 효과가 없을 수도 있지만, 이런 행동 자체가 정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함. 정부 문서를 업로드하게 만드는 프라이버시 악몽을 우리 모두가 막아야 한다고 봄. 이런 움직임이 규제 기관들에게 자극이 돼서, 유권자들의 주목을 받아 결국 정책 변화로 이어지길 진심으로 바람
- 요즘 특히 성인 사이트들이 연령 확인을 위해 신분증이나 셀카 업로드를 강요하는 추세임. “이런 규제에 반발해서 유권자들이 변화를 이끌 것”이라는 바람이 있지만 솔직히 말해, 인터넷 포르노의 익명성을 지키는 게 유권자들을 정치적으로 움직일 만큼 강한 동력이 될지는 의문임
- 신분증 업로드 요구를 없애려는 시도 자체가 대단한 일임. 이렇게 용감하게 행동하는 기업이 있다는 데 깜짝 놀랐음. 어른 중 누구도 정부 추적 때문에 신분증을 웹에 올리고 싶어 하지는 않음. 나도 자식이 어릴 때는 브라우저 사용을 같이 하거나 포르노 차단 브라우저를 써서 크게 문제 없었음. 아이가 좀 더 크고 나서도 가볍게 컴퓨터 사용 지도를 해줬음
- 이런 아이디어가 아무리 좋아 보여도 신분증 인증 같은 민감한 기술은 민간 기업이 맡으면 안 되고 반드시 정부가 관리해야 함. 이미 정부가 내 신분증을 가지고 있는데 왜 웹사이트에 또다시 업로드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음. 단순 나이 확인이면 정부 포털에서 OAUTH2를 통한 SSO만으로 나이 정보만 연동 가능함. 미국의 경우 정부 서비스를 위해 그런 계정 만드는 것과 비슷함. 다만 이럴 경우 정부가 어떤 사이트를 방문했는지 알게 되고, 법적으로 이 정보 저장·이용을 금지시키는 규정이 필요함. 정부가 교묘히 트래픽 감청에 나서면 어차피 무의미해질 수도 있음. 좀 더 똑똑한 방법이라면 24시간만 유효한 나이 인증 코드를 발급해서 신뢰받는 업체에만 전달하게 하는 것임. 코드 유출을 방지하려면 무겁게 형사처벌을 두면 억제 효과가 있을 것임. 더 뛰어난 아이디어가 분명히 나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함. 제3자 기업이 신분증 업로드를 요구하는 건 선택적 무능 혹은 부정부패 때문이라고 봄
-
NextDNS 구독자로서, 이번 시도는 멋지긴 하지만 걱정도 됨. 이런 기능을 공식 서비스로 넣었다가 NextDNS가 규제에 걸려 문을 닫는 상황은 원치 않음. “DNS 트릭” 정보만 공개해서 사람들이 직접 설정하도록 하는 정도면 좋겠음
-
신분증을 아무 웹사이트에나 넘기는 건 명백한 프라이버시 재앙임. 그래서 이런 서비스를 만든 취지는 이해함. 중요한 건 이게 사용자들에게 시간만 벌어줄지, 아니면 더 강력한 규제 도입을 재촉할지임. 어쨌든 중요한 논의를 촉발시킴
- 대다수 국가에서는 인터넷 차단 규제가 최종 사용자보다는 제공업체(프로바이더)에만 적용됨. 그래서 해외에 있는 VPN 공급자의 경우 규제 집행이 매우 어렵다고 봄. 미국에서조차 주 경계 너머의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손대기 힘듦. 관련 판례로 Marquette National Bank of Minneapolis v. First of Omaha Service Corp 참고 가능함
- 신분증이든 뭐든 공직자들의 인터넷 사용내역이 유출된다면, 이런 제도가 얼마나 빨리 철회되는지 볼 수 있을 거라고 믿음. 뉴스에서 정부 인사의 포르노 시청 기록을 읽어주는 날이 오기를 기대함
-
참고로 영국에서는 이런 식의 “우회 서비스” 홍보가 불법일 가능성이 높음. Ofcom(영국 방송통신규제기관)도 연령 확인 우회를 조장하는 콘텐츠를 플랫폼에서 허용, 공유하면 불법이라고 명확히 밝힘. 자세한 내용은 BBC 기사 참고
- NextDNS는 연령 확인이 의무화된 컨텐츠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규제에 해당하지 않음. 우회 기능을 홍보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함
- 영국이 프라이버시 및 인터넷 자유 관련해서 중국 수준의 통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음
- 컨텐츠 플랫폼이 VPN 광고를 못 한다면, VPN/DNS 제공업체가 독립적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는지 궁금증이 생김
- 영국에 살지 않는 사람들은 영국법에 신경 쓸 이유가 있을지 의문임
-
제품 소개를 보면 NextDNS는 SafeSearch 강제 적용과 아동 보호 모드 등 자녀 보호 기능도 탑재하고 있음. 자체적으로 우회 기능을 포함하는 게 오히려 더 유익하다고 느낌. 이런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공식적으로 연령 확인 우회가 허용돼야 한다고 봄
- 사실, 영국의 Online Safety Act에 따르면 이런 제품이 연령 확인 우회가 허용될 여지가 있어 보임. 법 조항 링크 참고. 다만, 법 조항이 너무 애매해서 이 서비스에 실제로 적용되기 어려울 것 같음. 현실적으로 연령 확인 우회 서비스를 포괄하지 않는 법 공백이 있을 리 없다고 생각하고, 관련 소송을 통해 해석이 분명해지길 바람
-
나는 부모 입장에서 아이들을 인터넷, 특히 성인 사이트로부터 보호하려고 함. VPN은 자녀 보호에 매우 유용함. VPN을 설치해서 성인 사이트를 차단하거나 의심스러운 접속 시 알림을 받도록 함. VPN 업체들이 자신들의 기술을 “검열 반대” 또는 “프라이버시 보장”이라고 홍보하는 게 솔직히 당황스러움. 실제로는 검열자에게 더 유리한 도구임. 반면 DNS 서비스는 원래부터 악성코드, 성인 광고 차단 등 검열 기능에서 시작했는데 요즘은 오히려 검열 우회 기능까지 넣고 있음. 단순히 네트워크, DNS 제공자를 바꿨다고 해서 검열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사실 DNS, 네트워크 제공자를 선택하게 해주는 것은 “검열 반대”라기보다는 각자 스스로 어떤 필터를 쓸지 고를 자유를 주는 것임. 나는 검열을 없애는 게 아니라 누구나 자기 기준으로 차단 대상을 직접 결정하는 걸 “검열 반대”로 해석함
- 필터링 기준을 자체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검열이라고 부를 수 없음. 진짜 검열은 선택의 자유가 완전히 박탈됐을 때를 말함
- 이미 집에서 라우터만으로 차단 기능을 쓸 수 있는데, VPN을 써도 결국 라우터와 같은 역할임. 그런 점에서 “가상머신이 소프트웨어 실행에 좋다”는 말과 비슷함. 왜 굳이 가상환경을 쓰는지 곰곰이 생각해 볼 이슈임
- VPN이 아니라 VPN에 딸린 필터링 서비스가 문제임. 본질적으로 VPN은 상관이 없음. 마치 터보가 필요해서 V8 엔진을 샀다는 얘기와 같음
-
NextDNS는 1년에 $20 투자로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함. iOS를 훨씬 더 쾌적하게 만들어주고, NextDNS 개발자의 철학에 기여할 수 있어서 만족함
-
나는 NextDNS로 자녀 기기에서 성인 사이트 등을 차단하고 있음. 회사의 근본 철학이 바뀌는 게 아닌지 우려됨. 혹시라도 이런 시도가 미성년자 차단 기능에 영향을 준다면 원치 않음
-
“DNS 트릭”의 원리가 궁금함. 이 부분이 제일 흥미로움
- 아마 DNS 해석을 조작해서 연령 확인이 필요 없는 국가의 CDN/POP로 우회하거나, TCP 프록시를 통해 트래픽 발신지를 해당 국가로 바꿔주는 포워딩 방식일 것임. 대신 이런 식이면 트래픽 전반의 지연이 늘어남
-
특별히 의견이 없지만, 예전에 pi-hole 쓰다가 가족 전체를 NextDNS로 바꿨음. 가정당 $20 정말 잘 쓴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