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P by neo 6일전 | ★ favorite | 댓글과 토론
  • 엔지니어링 매니저의 핵심 질문은 얼마나 코딩에 관여해야 하는가이며, 이는 단순히 개인 취향이나 리소스 배분 문제가 아닌 포지셔닝(Positioning) 의 문제임
  • 포지셔닝은 군사 리더십에서 온 개념으로, 상황 인식(Situational Awareness)운영 명확성(Operational Clarity) 을 균형 있게 유지해야 효과적임
  • 네 가지 포지셔닝 구역:
    • 위기 모드(낮은 상황 인식, 낮은 운영 명확성) → 학습 & 안정화
    • 애매모호(높은 상황 인식, 낮은 운영 명확성) → 모범적 리딩
    • 맹비행(낮은 상황 인식, 높은 운영 명확성) → 수동적 코딩
    • 명확성(높은 상황 인식, 높은 운영 명확성) → 전략적 방향 제시
  • 장기적으로는 상황 인식 우선이 팀 성공의 기반이며, 코딩은 특정 시점에서 상황 인식 확보와 팀 지원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됨
  • 중요한 것은 고정된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환경 변화에 따라 포지션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임

포지셔닝의 개념

  • 포지셔닝은 리더가 어디에 위치해 지휘·통제(Command and Control) 를 발휘할지 결정하는 것
  • 너무 전면에 나서면 세부에 매몰되고, 너무 뒤에 있으면 현황 파악이 불가해져 지휘력이 약화됨
  • 엔지니어링 매니저도 코딩 여부를 “해야 하나?”가 아니라 “어디에 위치해야 팀이 성공할 수 있는가?” 로 전환해야 함

포지셔닝 프레임워크

  • 두 축: 상황 인식(Situational Awareness)운영 명확성(Operational Clarity)
  • 네 가지 구역:
    • 위기 모드 (Low SA, Low OC)
      • 매니저와 팀 모두 이해 부족, 실행 단절
      • 우선 단기 목표 설정으로 안정화 후 직접 코딩으로 기술·팀 이해도 확보
    • 애매모호 (High SA, Low OC)
      • 매니저는 이해도 높지만 팀은 혼란
      • 직접 팀과 함께 일하며 모범을 보이고, 신뢰와 책임감을 형성
    • 맹비행 (Low SA, High OC)
      • 팀은 잘 움직이지만 매니저는 기술적 이해 부족
      • 버그 수정·프로덕션 지원 같은 제한적 코딩으로 빠른 이해도 확보
    • 명확성 (High SA, High OC)
      • 이상적 상태, 매니저는 전략·위험관리·문화 구축에 집중
      • 다만 방심은 위험, 변화 탐지 위해 제한적으로 코딩 관여 가능

포지셔닝은 동적(Dynamic)

  • 팀 상황과 외부 환경에 따라 구역이 변함
    • 갑작스런 장애 → 위기 모드로 전환
    • 사업 방향 전환 → 애매모호 구역으로 이동
  • 따라서 매니저는 고정된 위치에 머무르기보다 지속적으로 위치를 점검하고 조정해야 함

상황 인식의 우선성

  • 장기적으로는 상황 인식 강화가 우선 과제
  • 상황 인식이 기반이 되어야 명확한 목표·역할 정의가 가능
  • 코딩은 상황 인식을 빠르게 확보하거나 팀의 문제를 직접 풀어주는 데 유용한 수단

결론

  • 엔지니어링 매니저가 얼마나 코딩해야 하는지에 정답은 없음
  • 중요한 것은 현재 팀의 상황(상황 인식 vs 운영 명확성) 을 진단하고, 이에 맞는 포지셔닝을 취하는 것
  • 코딩은 단순히 생산성이 아닌 리더십 도구로 활용할 때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고성과 팀을 만들 수 있음